지식과 정보가 있는 모바일 뉴스 - 티타임즈 https://www.ttimes.co.kr 어떤 자극적인 표현도 덧붙이지 않겠습니다. 과다한 설명도 자제하겠습니다. 정확하고 간략한 정보만 전달하겠습니다. 판단은 독자가 직접 하도록 비워두겠습니다. Ten Lines News ‘티타임즈’. Ttimes ko-KR <![CDATA["값싸게 휴머노이드 공급하는 누군가 나타난다면 그가 제2의 잡스다” (한재권 한양대 교수) - 티타임즈]]> /article/2025022115527710844 /article/2025022115527710844 Sun, 23 Feb 2025 06:00:01 +0900 이재원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황정현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AI도 눈치를 가져야 진짜 AI가 된다. 세상을 글로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몸을 가진 AI가 세상을 느껴야 한다. 결국에는 휴머노이드 로봇으로 모든 것이 수렴될 것이다. 휴머노이드 로봇을 값싸게 공급하는 누군가가 나타난다면 그가 제2의 스티브잡스이다. 산업혁명이다.” (한재권 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


LLM과 AI 챗봇 다음은 무엇일까요? 많은 전문가들이 궁극의 AI 에이전트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될 것이라고 합니다. 글로 배운 지능을 넘어 신체지능(피지컬 인텔리전스)를 갖추고, 신체를 가지면서 인간의 오감에 도전하는 AI 말이죠.

]]>
<![CDATA[반등하는 네이버, 카카오 실적과 전망은? - 티타임즈]]> /article/2025022116587755971 /article/2025022116587755971 Sat, 22 Feb 2025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강기훈 PD, 이사민 기자

딥시크 쇼크 이후 네이버와 카카오는 갈림길에 서게 됐습니다. '글로벌 빅테크를 추격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것인가?' 혹은 '미국과 중국에 밀린 변방국이 될 것인가?'의 기로이죠. 두 회사 모두 빠르게 변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이해진 창업자가 사내이사 복귀를 선언했구요, 카카오는 오픈AI와 협력을 발표하면서 자체 AI서비스를 준비 중입니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지난해 실적도 최근 공개됐는데요, 지난해 실적과 네카오의 동력 분석을 통해 국내 빅테크회사들의 경쟁력을 분석해봅니다.



]]>
<![CDATA[손정의는 오픈AI와 어떤 빅픽처를 그리고 있나? - 티타임즈]]> /article/2025022018327754071 /article/2025022018327754071 Thu, 20 Feb 2025 18:32:27 +0900 배소진 기자, 강민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AI업계에 큰 손이 돌아왔습니다. 10년 전부터 AGI의 시대가 온다는 것을 강조하던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이 드디어 AI에 '풀베팅'을 시작한 것입니다. 그가 점찍은 회사는 오픈AI입니다. 막대한 투자금을 쏟아부으며 역대급이 될 것이라 예고된 AI 인프라 전쟁에 든든한 뒷 배가 되어주고 있죠. 특히 2016년 인수한 ARM을 통해 자체 AI반도체 칩 설계까지 뛰어들며 두 회사의 동맹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인류의 1만배 지성을 가진 초인공지능(ASI)을 보고 싶다는 손 회장 일생의 소망이 오픈AI와 샘 올트먼을 통해 과연 실현될 수 있을까요?



]]>
<![CDATA[자발적 고독이 정치적 광기를 만들고 있다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5021817007712208 /article/2025021817007712208 Tue, 18 Feb 2025 17:30:01 +0900 김동규 PADO/편집장, 김수빈 PADO/에디터, 강기훈 PD, 이사민 기자


미국도 '혼자를 선택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혼자 밥을 먹고, 혼자 볼링을 치고, 밖으로 나오지 않는 사람들 말이죠. 이미 신축 주택은 방마다 TV를 설치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문제는 이런 고립과 고독이 민주주의의 기반인 지역공동체를 무너뜨리면서 정치적 양극화, 정치적 광기, 민주주의의 붕괴를 가져오고 있다는 것이죠.

]]>
<![CDATA[강수진의 챗GPT 프롬프트 강좌 ⑥ 62세 할머니가 손주 위해 만든 동화제작 프롬프트 - 티타임즈]]> /article/2025021715117758519 /article/2025021715117758519 Mon, 17 Feb 2025 17:30:01 +0900 황정현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프롬프팅 엔지니어 강수진 박사의 프롬프팅 강좌 여섯 번째 시간, 62세 할머니가 곧 태어날 손주를 위해 만든 동화제작 프롬프트 첨삭 사례입니다. 프롬프트만 작성할 수 있어도 시니어들도 더 자동화된 삶을 누리고 소일거리도 찾을 수 있다는 사실!

]]>
<![CDATA[명함이 학생증이다. 일하는 것만한 배움터가 없다 (박웅현) - 티타임즈]]> /article/2025021416187727628 /article/2025021416187727628 Sun, 16 Feb 2025 06:00:02 +0900 박웅현 TBWA/조직문화연구소장,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황정현 PD, 장민주 PD

“살아내는 것만한 성장이 없고, 일하는 것만한 배움터가 없다.”


우리는 늘 성장을 갈망합니다. 뒤처질까 긴장하며 트렌드를 좇고 공부를 하면서 말이죠. 과연 내 안에 축적되는 진짜 성장과 진짜 공부는 무엇일까요?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요? ‘책은 도끼다’ ‘여덟 단어’의 박웅현님과 함께 일상에서 공부하고 성장하는 법을 생각해봅니다.

]]>
<![CDATA[강수진의 챗GPT 프롬프트 강좌 ⑤ 경영진을 위한 뉴스요약 프롬프트 - 티타임즈]]> /article/2025021315137790104 /article/2025021315137790104 Sat, 15 Feb 2025 06:00:01 +0900 황정현 PD, 홍재의 기자

프롬프팅 엔지니어 강수진 박사의 프롬프팅 강좌 다섯 번째 시간, 실제 프롬프트로 만든 서비스 예시입니다. 기업 경영진들에게 꼭 필요한 뉴스를 골라 자동으로 요약해주는 서비스를 만드는 프롬프트, 공연예약 사이트에서 관람후기를 요약해주는 프롬프트 그리고 한 시각장애인이 직접 만든 온라인쇼핑 상품설명서 요약 서비스 프롬프트를 소개합니다.

]]>
<![CDATA[비디오를 붓으로, TV를 캔버스로 만든 백남준이 예술사에 기여한 것 - 티타임즈]]> /article/2025021315097780352 /article/2025021315097780352 Fri, 14 Feb 2025 17:30:01 +0900 장민주 PD


예술가들은 기술을 어떻게 실험의 재료로 삼았을까요? 예술사에서 가장 상징적인 인물이 백남준입니다. 1960~70년대 백남준은 미술사에서 처음으로 TV를 예술의 도구로 사용하면서 비디오 아트의 시작을 알린 인물입니다. 그의 작품들이 어떻게 미디어 아트로 이어졌는지 알아봅니다.



]]>
<![CDATA[강수진의 챗GPT 프롬프팅 강좌④ 챗GPT를 사고하게 하는 마법의 한 줄은? - 티타임즈]]> /article/2025021315087726519 /article/2025021315087726519 Thu, 13 Feb 2025 17:30:02 +0900 강기훈 PD,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프롬프팅 엔지니어 강수진 박사의 프롬프팅 강좌 네 번째 시간, 챗GPT가 좀 더 사고할 수 있도록 만드는 마법의 한 줄은 무엇일까요? 예를 들면 1st, 2nd, 3rd를 쓰면 챗GPT가 좀 더 논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만들어줍니다. 또 대조적인 것을 보여주면 더 잘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건 좋은 예시이고 이건 하면 안돼” 이렇게 가르쳐주는 거죠. 사람에게 시킬 때와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
<![CDATA[경영진 "AI로 마법을!!" 실무자 "바빠 죽겠는데 뭘 또 배워“ - 티타임즈]]> /article/2025021216577731817 /article/2025021216577731817 Wed, 12 Feb 2025 17:30:02 +0900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AI 잘 못쓰는 회사의 문제점은 무엇일까요? 경영진과 실무진이 AI를 바라보는 데서 기인하는 'AI간극' 때문이라고 합니다. 경영진은 AI를 마치 도깨비 방망이 보듯 하면서 무엇이든 만들어낼 수 있는 도구라고 생각하구요, 반대로 실무진은 그런 경영진의 잘못된 욕구를 충족시켜주기에는 이미 격무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죠. AI 현실을 양쪽다 직시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AI를 잘 쓰는 'AI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현 상황에서 AI서비스가 어떻게 소비되고 있고, 어떻게 개발되고 있는지를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박종천 개발자가 직접 만들고 있는 'AI 이메일' 서비스는 어떤 모습으로 탄생하게 될지, 그리고 시장에서 이미 쓰이고 있는 AI서비스는 어떤 모습인지 알아봅니다.

]]>
<![CDATA[“AI로 무엇을 할 것인가? 상상력이 필요한 때이다” - 티타임즈]]> /article/2025021116577755544 /article/2025021116577755544 Tue, 11 Feb 2025 17:30:01 +0900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얼마전 젊은 청년이 기계에 끼여 사망했다고 하더라구요. 참 안타까운 사건인데. 그럴 때 “스톱”이라는 한마디로 기계를 멈출 수 있는 그런 시대를 AI로 만들어야 해요.“

세계적 석학인 황승진 스탠포드대 경영대학원 석좌교수의 한국기업에 대한 고언 2탄입니다. 황 교수는 ”AI를 통해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할지, 지금은 정말 상상력이 어느 때보다 더 필요한 때“라며 ”자칫 우리가 낙후될 위험이 있다“고 호소합니다.

]]>
<![CDATA[GPU를 넘어 AI산업 전체를 먹겠다는 엔비디아의 구상! - 티타임즈]]> /article/2025021016087778811 /article/2025021016087778811 Mon, 10 Feb 2025 17:30:02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황정현 PD

최근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발언을 들어보면 AI산업 전반을 모두 장악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GPU와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에서부터 AI 모델, AI 에이전트와 디지털 트윈 설계 플랫폼, 여기에다 AI PC까지 내놓겠다는 것인데요. 한마디로 AI 관련 전 분야를 수직계열화하겠다는 의지입니다. AI 산업에 대한 엔비디아의 구상을 김지현 SK경영경제연구소 부사장과 알아봅니다.

]]>
<![CDATA[LLM보다 더 큰 게 온다. AI 제2의 파고가 오고 있다 - 티타임즈]]> /article/2025020718377719797 /article/2025020718377719797 Sun, 9 Feb 2025 06:00:02 +0900 황정현 PD,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LLM보다 더 큰 게 오고 있어요. AI가 비즈니스 곳곳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겁니다. 중국이 AI 기술을 제품 개발에, 업무 프로세스에 본격적으로 넣기 시작한다면 나중에 가면 우리나라 기업들은 하청업체로 떨어질 수 있다는 겁니다.”

세계적 석학인 황승진 스탠포드대 경영대학원 석좌교수가 한국 기업와 정부에 고언을 쏟아냈습니다. 한국의 기업들이 AI를 제품과 서비스, 공정 전반에 결합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다면 AI의 두 번째 파급효과에서도 뒤쳐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
<![CDATA[딥시크는 어떤 회사인가? 오픈소스로 어떻게 돈 벌까? - 티타임즈]]> /article/2025020718257727611 /article/2025020718257727611 Sat, 8 Feb 2025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황정현 PD, 최형균 기자

딥시크는 왜 직원의 절반을 수학과 물리학 전공자들로 뽑을까요? 왜 경력직보다 대학과 대학원을 갓 졸업한 사람들로 뽑을까요? 오픈소스로 기술을 공개한 딥시크는 앞으로 어떻게 돈을 벌려는 것일까요? 딥시크가 어떤 기업인지 해부합니다.

]]>
<![CDATA[트럼프 2.0 시대 국제정세 5가지 시나리오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5020518207745603 /article/2025020518207745603 Fri, 7 Feb 2025 17:00:02 +0900 김동규 PADO/편집장, 김수빈 PADO/에디터, 강기훈 PD, 이사민 기자


트럼프 취임 이후 국제 정세는 충격의 연속입니다. 불법이민 단속, 관세 전쟁, 파나마와 그린란드에 이어 가자에 대한 영토 야욕까지. 그래서 '글로벌라이제이션'이라는 한 단어로 정리되는 '자유주의 세계화' 질서는 끝났다는 파이낸셜타임스(FT)의 수석 외교 칼럼니스트 기디언 래크먼이 상상하는 다섯 가지의 국제정세 시나리오를 소개합니다. ① 아메리카 퍼스트의 성공 ② 미국 없는 세계화 ③ 리더 없는 세계의 무질서 ④ 우발적 전쟁 ⑤ 새로운 강대국 간의 거래입니다.

]]>
<![CDATA['딥시크 쇼크' 전문가 진단④ 프롬프트 엔지니어의 ‘챗GPT vs 딥시크’ 실력테스트 시연 - 티타임즈]]> /article/2025020617457769825 /article/2025020617457769825 Thu, 6 Feb 2025 17:45:59 +0900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각종 벤치마크를 보면 딥시크의 R1이 오픈AI o1을 넘어섰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실제로도 그럴까요? 국내 1호 프롬프트 엔지니어인 강수진 박사가 오픈AI의 o1과 딥시크 R1, 제미나이, 클로드 등을 직접 구동해 비교해 봅니다. 딥시크를 잘 사용할 수 있는 프롬프팅 팁은 보너스입니다.

]]>
<![CDATA[‘딥시크 쇼크’ 전문가 진단③ 딥시크 쇼크의 승자와 패자는? - 티타임즈]]> /article/2025020417567793973 /article/2025020417567793973 Tue, 4 Feb 2025 17:56:35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강기훈 PD, 황정현 PD

‘딥시크 쇼크’ 전문가 진단 3탄, 강정수 블루닷 AI센터장 편입니다. 딥시크가 중국의 테크기업과 IT 전략, 그리고 오픈AI 애플 메타 구글 엔비디아 등 미국의 빅테크에는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딥시크 쇼크의 승자와 패자는 어디일까요?

강 박사는 “딥시크는 AI의 테무”라면서 딥시크 쇼크의 승자 1번은 화웨이 될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또한 메타와 애플 역시 위너가 될 수 있다는데요. 하지만 오픈AI와 앤트로픽은 확실한 루저이고 엔비디아와 구글은 위너가 될 수도 루저가 될 수도 있다고 분석합니다.

]]>
<![CDATA[‘딥시크 쇼크’ 전문가 진단 ② AI산업은 더 가속화, 모든 기업이 ‘AI팀’ 꾸려야 - 티타임즈]]> /article/2025020317167746732 /article/2025020317167746732 Mon, 3 Feb 2025 17:30:02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장민주 PD


‘딥시크 쇼크’ 전문가 진단 2탄, 김지현 SK 경영경제연구소 부사장 편입니다. 딥시크 쇼크는 한국의 기업과 투자자, 정부에 어떤 함의를 던져주는 사건일까요?

김 부사장은 “반도체, 데이터센터, AI 에이전트 등 전방위로 발전이 가속화할 것이고 한국 기업들이 더 많은 투자와 실험에 나서야 한다”며 “완구회사, 조명회사 등 모든 제조사들이 AI팀을 구성해 AI를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그는 또 “HBM과 GPU, NPU 등 반도체 수요와 데이터센터 수요가 더 커켰다”면서 “정부와 기업의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
<![CDATA[‘딥시크 쇼크’ 전문가 진단 ① 딥시크는 어떻게 저비용 고효율 AI를 만들었을까? - 티타임즈]]> /article/2025020216437751633 /article/2025020216437751633 Sun, 2 Feb 2025 17:00:02 +0900 홍재의 기자, 박성수 PD, 강기훈 PD, 장민주 PD

저비용 고효율 AI 모델을 개발한 딥시크 충격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딥시크의 기술을 적용하려는 기업, AI 전략을 새롭게 짜려는 국가가 늘고 있고 미중간의 AI 갈등도 고조되고 있습니다.

티타임즈는 국내 최고의 AI 전문가들을 모시고 긴급진단을 시작합니다. 첫번째 순서는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센터장입니다. 딥시크가 어떤 기술로 미국 빅테크보다 더 적은 비용으로 고효율의 AI 모델을 만들 수 있었는지, 딥시크를 둘러싼 오해와 진실은 무엇인지, 향후 AI 산업, 반도체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들어봅니다.

]]>
<![CDATA[엔비디아는 어떤 기술로 피지컬AI도 다 먹겠다는 걸까? - 티타임즈]]> /article/2025013117327714610 /article/2025013117327714610 Sun, 2 Feb 2025 06:00:02 +0900 황정현 PD, 최형균 기자, 홍재의 기자

“피지컬 AI에 대한 오해를 풀고 넘어가자.”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CES2025에서 화두로 제시한 ‘피지털 AI’의 정확한 개념은 무엇일까요? 엔비디아는 어떤 기숧로 언어모델을 넘어 피지털 AI 생태계까지 다 먹겠다는 것일까요? 국내 최고의 테크 전문가 김지현 SK 부사장과 함께 알아봅니다.

]]>
<![CDATA[LLM 잘 만들어서는 돈 못버는 이유 - 티타임즈]]> /article/2025013117307790259 /article/2025013117307790259 Sat, 1 Feb 2025 06:00:02 +0900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LLM은 결국 상향평준화 된다."


딥시크 R1이 몰아치기 전 촬영된 영상에서 30년 경력의 박종천 개발자가 강조한 말입니다. 오픈AI와 앤트로픽을 비롯해 오픈소스 진영까지 합세하면서 LLM 성능 경쟁은 결국 상향 평준화로 마무리 될 것이라는 예측이었죠. 챗GPT가 등장할 때만 해도 LLM 모델을 개발하는 회사가 미래를 독식할 것 같았지만 실제 상황은 다르게 펼쳐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정말 높은 가치를 받게 될 회사는 어디일까요? 바로 데이터 회사입니다. 대표적으로 지난 12월에 100억 달러 투자를 유치한 데이터브릭스가 있습니다. LLM 회사보다 더 많은 투자금을 데이터브릭스가 유치한 이유는 뭘까요?

]]>
<![CDATA[변기를 뒤집어 작품이 된 뒤샹의 ‘샘’, 화장실에 두어도 작품이 될까? - 티타임즈]]> /article/2025013113197750430 /article/2025013113197750430 Fri, 31 Jan 2025 18:00:02 +0900 장민주 PD


20세기 미술의 가장 상징적인 작품으로 불리는 변기가 있죠. 바로 소변기를 뒤집어서 예술로 만들어버린 뒤샹의 ‘샘’입니다. 그런데 이 변기를 화장실에 두어도 여전히 미술품일까요? 미술관을 벗어난 예술 작품이 여전히 예술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요? ‘밤에 듣는 미술관’ 9편은 예술이 공간에 대해 도전해온 현대미술사입니다.


]]>
<![CDATA[비용부터 성능까지 오픈AI 추론모델 o1. o3의 모든 것 - 티타임즈]]> /article/2025012415307747040 /article/2025012415307747040 Thu, 30 Jan 2025 06:00:02 +0900 강민재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최근 오픈AI가 12개 새 기능을 내놓았는데요. 표철민 AI3 대표와 하나씩 정복해봅니다. 이번 2편에서는 여러 가지 일을 한꺼번에 챗GPT와 진행할 수 있는 ‘프로젝트’ 기능, 챗GPT 서치 무료사용자 확대 및 개선, o1의 정식 API 제공, 누구나 고급 음성모드를 가져다가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리얼타임 API 개선, 데스크톱 앱의 강화, 새로운 추론 모델인 o3와 o3 미니 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합니다.

]]>
<![CDATA[우리 회사의 AI 도입 수준. 몇 단계에 해당할까? (김유신 상무) - 티타임즈]]> /article/2025012415287741155 /article/2025012415287741155 Wed, 29 Jan 2025 08:00:02 +0900 김유신 한화시스템/상무,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장민주 PD

AI 시스템은 도입으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성능을 유지하면서 기업 전반으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도구와 기술의 선택을 고민해야 합니다. MLOps와 같은 시스템과 프로세스로 모델을 더 효율적으로 배포, 재학습 시키고 여러 부서들 간 소통 체계도 갖춰야 겠죠. 그래야 AI 도입의 초기 단계에서 성숙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는 것이 한화시스템 김유신 상무의 설명입니다.

]]>
<![CDATA[데이터가 있는 기업, 데이터가 없는 기업. AI 도입에 앞서 가장 점검해야 할 것은? (김유신 상무) - 티타임즈]]> /article/2025012415257736334 /article/2025012415257736334 Wed, 29 Jan 2025 06:00:02 +0900 김유신 한화시스템/상무, 이소민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장민주 PD

기업 내부에 AI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든, 새로운 AI 서비스를 출시하는 것이든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AI 학습에 필요한 고품질의 데이터가 잘 확보되어 있는가' 입니다. 데이터가 있는 기업은 어떻게 거버넌스를 확보할 수 있는지, 데이터가 없는 기업은 데이터를 어떻게 초기에 확보할 수 있는지 그리고 각각의 상황에 맞게 어떻게 데이터 플랫폼을 구성하면 좋을지 한화시스템 김유신 상무의 강의를 통해 알아봅니다.

]]>
<![CDATA[중국 ‘딥시크 충격’ 긴급진단 - ‘엔비디아 독점에 종말이 올 것인가?’ - 티타임즈]]> /article/2025012819377747819 /article/2025012819377747819 Tue, 28 Jan 2025 19:37:29 +0900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딥시크는 엔비디아, 오픈AI, 구글 등이 주도해온 AI 경쟁의 패러다임이 잘못된 것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AI 경쟁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 것이다.”(강정수 박사)


무명의 중국 투자회사가 만든 AI 모델 딥시크(DeepSeek)가 전 세계에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지난 20일 출시된 딥시크의 추론 AI모델 R1이 오픈AI의 추론모델 o1과 성능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딥시크 R1은 엔비디아의 고성능 칩인 H100, H200 없이 저능성의 H800 2,000개로만 모델을 만들면서 학습비용이 600만달러 미만으로 오픈AI 등의 10분의 1에 불과하고, 사용자들의 토큰당 사용비용을 95%나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입니다.


실리콘밸리의 대표적인 벤처투자자 마크 안드레센은 "딥시크 R1은 지금까지 본 것 중 가장 놀랍고 인상적인 혁신 중 하나"라며 "AI 분야의 '스푸트니크 모멘트'"라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스푸트니크 모멘트는 옛 소련의 세계 최초의 위성 스푸트니크 발사 당시 미국의 충격과 공포를 상징하는 말입니다. 과연 엔비디아 독점은 종말을 고할까요? 미국의 AI 지배력은 끝나는 것일까요? 대규모 투자를 전제로 하는 기존의 AI 경쟁, 미국의 대중 정책과 관련해 어떤 논란이 제기될지 강정수 박사로부터 들어봅니다.

]]>
<![CDATA[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에 곧 탑재될 6가지 에이전트는? - 티타임즈]]> /article/2025012410207775838 /article/2025012410207775838 Tue, 28 Jan 2025 06:00:02 +0900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복잡한 업무를 AI가 대신해준다는 상상, 벌써 몇 년째 계속되고 있죠. 그 시기가 이제 눈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매주 진행되는 스케줄 업데이트를 AI가 대신해주고, 회사 데이터베이스에서 견적서를 꺼내와 고객사에 메일 초안도 써주죠. 이런 일들이 쌓이고 나면 AI가 결과들을 취합해 성과 관리까지 해줍니다. 미래의 일이 아닙니다. 곧 업데이트 될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파일럿 에이전트 기능에서 만나볼 수 있는데요, 언제? 어떻게? 도입될지 송치훈 한국마이크로소프트 모던 워크 솔루션 영업 부문 리드에게 들어보시죠.

]]>
<![CDATA[마이크로소프트가 제시하는 AI를 위한 보안, AI를 활용한 보안 - 티타임즈]]> /article/2025012410087761522 /article/2025012410087761522 Mon, 27 Jan 2025 06:00:02 +0900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연간 사이버범죄 피해액을 다 합치면, 미국의 연간 GDP와 중국의 GDP에 이어 전세계 3위에 달하는 경제 규모라는 것 알고 계신가요? 최근 사이버범죄 규모의 연간 증가율은 15%로 전세계 어떤 나라의 GDP 성장률보다도 높다고 합니다. 그만큼 사이버범죄가 늘어나고 있고 그 피해액 또한 급증하고 있다는 것인데요, AI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앞으로의 피해는 더욱 심각할 것이라는 예측이 다수입니다.


AI를 도입하는데 있어 그만큼 안전성에 대한 구축이 선결돼야 한다는 것인데요, 반대로 AI는 사이버범죄를 막는데 있어서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AI를 활용해 사이버보안을 고도화 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적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이그나이트2024를 통해 전해진 최신 AI보안 소식을 들어보시죠.

]]>
<![CDATA[[AI Transformation Week] AI에이전트 구축을 위해 해결해야 할 3가지 - 티타임즈]]> /article/2025012409567713471 /article/2025012409567713471 Sun, 26 Jan 2025 06:00:01 +0900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AI에이전트 시대를 맞이해 AI도입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막상 AI를 도입하려면 풀어야 할 숙제들이 만만치 않죠.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하고 사용하는 것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AI 모델들을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Azure를 기반으로 AI도입을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AI도입을 위해 실전에서 필요한 해결 방안들을 들어보시죠.

]]>
<![CDATA[2025년 한 해를 관통할 IT업계 키워드 3가지 - 티타임즈]]> /article/2025012417287791354 /article/2025012417287791354 Sat, 25 Jan 2025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이재원 기자


]]>
<![CDATA[미니멀리즘은 그냥 단순함이 아니라 치열함이 숨어 있는 단순함 - 티타임즈]]> /article/2025012311017754944 /article/2025012311017754944 Fri, 24 Jan 2025 18:00:01 +0900 장민주 PD


우리는 일상에서 미니멀리즘을 추구하고자 노력합니다. 그렇다면 예술에서 미니멀리즘은 무엇일까요? 칼 안드레, 도널드 저드, 댄 플래빈 등의 미니멀리스트들은 끊임없이 질문했습니다. 예술에서 정말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그냥 줄이고 비우는 단순함이 아니라 치열하게 본질을 찾는 과정이라는 것이죠.



]]>
<![CDATA[AI 광고에 올인하는 메타 매출이 급증할 가능성은? (강정수 박사) - 티타임즈]]> /article/2025012315227776217 /article/2025012315227776217 Thu, 23 Jan 2025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최형균 기자, 장민주 PD

강정수 박사의 테크산업 전망 두 번째 편입니다. 우선 메타 이야기입니다. 메타는 클라우드 회사도 아니면서 데이터센터에 엄청난 공을 들이고 있죠. 광고로 돈 버는 메타는 AI를 어떻게 활용하려는 것일까요? 가장 주목해야 할 것은 AI로 이용자들이 더 많은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여기에 광고를 붙이는 것이죠. 메타는 성공할 수 있을까요? 또 올해 주목해야 할 것 가운데 하나가 AI가 재편할 방산산업입니다. 마분지로 만든 드론이 탱크를 순식간에 박살내는 시대에 AI를 이용한 방산 스타트업은 어떻게 방산 공룡을 무너뜨릴까요?

]]>
<![CDATA[동남아 도박, 사기, 납치에 얽힌 중국, 미국, 필리핀의 국제정치학(국제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5012116377773498 /article/2025012116377773498 Tue, 21 Jan 2025 17:30:02 +0900 김동규 PADO/편집장, 김수빈 PADO/에디터, 이소민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장민주 PD

최근 중국 유명 배우가 태국에서 납치돼 미얀마에서 발견이 되어 국제적인 이슈가 되었죠. 앞서 필리핀에서는 국민도 아닌 젊은 여성이 시장에 당선됐는데 거대한 도박사이트를 시청 건물 뒤에서 운영하다 발각된 사건도 있었습니다. 이처럼 정부군도 접근을 꺼리는 미얀마 국경지대 일대에서 벌어지는 도박, 사기, 납치 등에는 필리핀, 중국, 나아가 미국까지 엮인 국제정치학이 숨어 있습니다.

]]>
<![CDATA[강수진의 챗GPT 프롬프팅 강좌 ③ 추론모델 o1의 프롬프팅은 달라야 한다 - 티타임즈]]> /article/2025012016257713009 /article/2025012016257713009 Mon, 20 Jan 2025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박성수 PD, 강기훈 PD, 황정현 PD

프롬프팅 엔지니어 강수진 박사의 프롬프팅 강좌 세 번째 시간, ‘o1 모델’ 편입니다. o1 모델은 기존의 프롬프트 작문법이 잘 통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는 “단계적으로 생각해봐”하는 프롬프트를 습관처럼 뒤에 붙이는데요. 이 경우 o1 모델은 오히려 결과가 더 못하다고 합니다. 그냥 “이 문제를 풀어줘”처럼 단순한 명령어가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죠. 아무래도 추론모델이기 때문에 추론을 방해하지 마라는 뜻이기도 한 것 같습니다. o1 모델의 독특한 프로프팅 방법을 소개합니다.

]]>
<![CDATA[오픈AI, 앤트로픽 날아다니는데, 왜? 돈은 MS, 아마존만 챙길까 - 티타임즈]]> /article/2025011715447789116 /article/2025011715447789116 Sun, 19 Jan 2025 06:00:02 +0900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AI 주도권을 두고 벌어지는 경쟁이 여전히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오픈AI는 거의 보름에 걸쳐서 12개의 신기능들을 발표하며 또 다시 혁신 기업의 이미지를 가져가고 있고, 앤트로픽은 클로드를 지속적으로 고도화 시키면서 LLM 성능 경쟁에서 일정 부분 우위를 지키고 있죠.

그런데 막상 돈을 버는 건 여전히 MS, 아마존이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향후 AI전쟁의 주도권을 쥘 기업도 오픈AI와 앤트로픽이 아닌 MS와 아마존이라는 분석이 다수죠. 그 이유를 30년 경력의 박종천 개발자가 설명해 드립니다.

]]>
<![CDATA[강수진의 챗GPT 프롬프팅 강좌② 내 의도에 맞게 답을 얻는 3가지 팁 - 티타임즈]]> /article/2025011512597775140 /article/2025011512597775140 Sat, 18 Jan 2025 06:00:02 +0900 이소민 영상디자이너,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프롬프팅 엔지니어 강수진 박사의 프롬프팅 강좌 2편입니다. 챗GPT는 긴 지문을 주면 앞에만 잘 읽고 중간은 빼먹는 경우도 많습니다. 내 의도에서 벗어난 결과물을 내놓을 때도 많죠. 어떻게 해야 내 의도를 정확히 지시할 수 있을까요?


강수진 박사의 요지는 김훈 작가처럼 프롬프팅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챗GPT도 사람처럼 장황한 것을 싫어하기 때문이라는데요. 간단하고 짧은 문장으로 시작할 것, 단문과 두괄식으로 쓸 것, 의미가 하나인 명확한 동사를 쓸 것, 기호를 정확히 사용할 것 등입니다.

]]>
<![CDATA[올해 빅테크 전망① 엔비디아 주도는 계속되고 테슬라는 운명이 결판난다 - 티타임즈]]> /article/2025011514367743273 /article/2025011514367743273 Thu, 16 Jan 2025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올해 가장 주목해야 할 빅테크는 역시 테슬라와 엔비디아입니다. 강정수 박사와 함께 두 회사의 올해 이슈를 정리합니다.


강 박사는 테슬라에 대해 “올해는 테슬라의 운명을 가를 한 해”라고 강조합니다. 텍사스 오스틴에서 FSD 자율주행 공개테스트 때문인데요. 성공할 경우 전 세계적으로 자율주행에 대한 광풍이 일어나면서 세계 자동차 회사들은 테슬라냐 구글(웨이모)이냐의 선택의 기로에 설 수밖에 없다는 분석입니다.


최근 국내에서는 엔비디아와 브로드컴의 주도권 경쟁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았지만 강 박사는 “두 회사 사이 주도권 경쟁을 이야기할 단계가 아니다”며 “올해도 엔비디아가 주도하게 될 것”이라고 말합니다. 엔비디아의 경우 최신 AI칩 블랙웰과 새로운 먹거리로 삼은 로봇산업 성공여부가 관건이 될 것 같습니다.

]]>
<![CDATA[강수진의 챗GPT 프롬프팅 강좌① 답변 잘 받기 위한 1~4형식 프롬프트 - 티타임즈]]> /article/2025011512077759817 /article/2025011512077759817 Wed, 15 Jan 2025 17:30:02 +0900 황정현 PD, 홍재의 기자

챗GPT는 쓰는 사람을 알아봅니다. 어떻게 프롬프트를 입력하느냐에 따라 답변이 천차만별입니다. 그래서 국내 최고의 프롬프팅 엔지니어 강수진 박사의 프롬프팅 강좌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1편은 프롬프팅 기본편 ‘답변 잘 받기 위한 1~4형식 프롬프트’입니다. 영어에도 1~5형식 문장이 있듯이 프롬프트에는 4형식이 있습니다. 답변이 너무 겉핥기이고 깊이가 없다면 4형식, 단답식을 원하면 1형식 프롬프트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CDATA[챗GPT 12개 신기능 해부① 소라, 캔버스, o1 어디까지 써보셨나요? - 티타임즈]]> /article/2025011416007734325 /article/2025011416007734325 Tue, 14 Jan 2025 17:30:01 +0900 강민재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최근 오픈AI가 12개 새로운 기능을 매일 하나씩 내놓았는데요. 표철민 AI 3 대표와 하나씩 정복해봅니다. 1편에서는 o1 정식모델, 사용자들도 활용할 수 있는 GPT 강화학습 알고리즘, 스토리보드와 스타일 프리셋 기능을 넣은 소라, 코딩과 글쓰기를 AI와 협업해 가면서 할 수 있는 캔버스, 애플과의 제휴, 산타모드와 화면공유 기능을 자세히 리뷰해보겠습니다.

]]>
<![CDATA[[CES2025] “중국은 한국을 뛰어넘는 수준, 일본은 한‧중과 다른 길 가기 시작” - 티타임즈]]> /article/2025011312457745940 /article/2025011312457745940 Mon, 13 Jan 2025 12:45:10 +0900 차경진 교수, 장민주 PD, 최형균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차경진 한양대 교수, 황재선 SK디스커버리 부사장, 윤종영 국민대 교수의 CES2025 현장랩업입니다. 세 명의 전문가들이 공통으로 말하는 소감은 첫째, AI의 일상화, 실용화입니다. AI가 돈을 내고 쓸 수 있는 수준까지 왔고, AI가 들어가지 않은 제품을 찾기가 더 쉬었다고 강조합니다. 또 하나는 무서운 중국입니다. 스마트홈 기기에서는 TCL과 하이센스 등 중국기업이 사실상 재패했다는 평가입니다. 한국기업을 뛰어넘는 수준을 보여주면서 한국기업을 밀어낼 수도 있다는 우려입니다. 그리고 이미 한국기업이 뛰어넘은 소니, 파나소닉 등 일본기업은 이제 한국기업, 중국기업과 다른 길을 가면서 경쟁을 시작했다고 평가합니다. LVCC홀부터 유레카홀까지 CES2025에 대한 총평을 정리합니다.

]]>
<![CDATA[[CES2025] 젠슨 황은 왜 ‘피지컬AI’를 새로운 화두로 제시했을까 - 티타임즈]]> /article/2025011214407752452 /article/2025011214407752452 Mon, 13 Jan 2025 06:00:02 +0900 이재원 기자, 장민주 PD, 최형균 기자, 황정현 PD

이번 CES2025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CEO의 “언어모델 다음은 피지컬AI” “로봇의 챗GPT 순간이 오고 있다”는 발언이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한재권 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와 함께 젠슨 황이 ‘피지컬AI’ 화두를 던진 배경이 무엇인지, 엔비디아의 피지컬AI 개발플랫폼 ‘코스모스’의 전략은 무엇인지 분석합니다.


언어모델이 언어데이터를 학습해 언어로 된 결과물을 생성한다면 피지컬AI는 물리세계에서 사람의 ‘행동’을 학습해 ‘행동’을 생성하는 AI입니다. 대표적인 분야가 로봇과 휴머노이드입니다. 그리고 코스모스는 로봇이 가상현실에서 사람의 행동을 학습할 수 있도록 물리법칙을 구현한 디지털 트윈입니다. 이에 대해 한 교수는 “젠슨 황은 엔비디아 없이는 AI를 개발할 수 없게 만드는 ‘원숭이 꽃신 전략’을 로봇에도 구현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
<![CDATA[[CES2025] 베끼던 중국기업이 콘셉트와 비전까지 제시하기 시작했다 - 티타임즈]]> /article/2025011216247779973 /article/2025011216247779973 Sun, 12 Jan 2025 19:00:02 +0900 홍재의 기자, 이재원 기자, 장민주 PD, 박성수 PD,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CES 10년차인 황재선 SK디스커버리 부사장의 한중일 가전 투어입니다.

황 부사장은 “한중일 대결의 성격이 바뀌었다”고 강조합니다. 일본기업들은 내수 중심에서 글로벌 AI회사들과 파트너십을 맺으면서 글로벌 지향으로 방향을 전환하고 있고, 중국기업은 한국기업을 모방하던 것을 넘어 콘셉트와 비전까지 제시하기 시작했다는 것입니다. 여전히 삼성과 LG에 관람객들이 가장 많이 모이고는 있지만 긴장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황 부사장은 이어 “AI 경쟁이 제품경쟁에서 서비스와 고객경험 경쟁으로 바뀌고 있다”고 분석합니다. 가전회사들이 홈 에이전트를 통해 공간의 맥락을 해석하고 어떠한 최적화된 경험을 선사할 것인지에 재집중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
<![CDATA[[CES2025] 생성형AI가 붙으면서 글래스와 메타버스가 일취월장했다 - 티타임즈]]> /article/2025011214507716549 /article/2025011214507716549 Sun, 12 Jan 2025 17:00:02 +0900 전진수 전 대표, 장민주 PD, 최형균 기자, 강기훈 PD

메타버스 전문가인 전진수 슈퍼랩스 전 대표의 LVCC관 AR‧VR 디바이스 투어입니다. 올해 CES2025에서는 생성형AI가 메타버스와 AR‧VR 디바이스에 결합되면서 더 진전된 공간컴퓨팅 경험이 선보였습니다.


컨트롤러 없이 제품을 만지고 열어보며 쇼핑할 수 있고, 사물과 사람을 스마트폰으로 스캐닝하면 3분안에 3D 가상공간에 올려주는 롯데정보통신의 메타버스 플랫폼 ‘칼리버스’, 책을 가져다 대면 엄마의 목소리로 32개국어로 읽어주는 웅진씽크빅의 ‘북스토리’를 살펴보겠습니다. 특히 주목할 것은 중국기업들의 스마트글래스 약진입니다. TCL와 XREAL의 스마트글래스는 애플과 메차의 디바이스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고 하는데요. 영상으로 체험해보시기 바랍니다.

]]>
<![CDATA[AI에이전트가 집안으로 들어오면 가족의 삶은 어떻게 달라질까? - 티타임즈]]> /article/2025011214237728571 /article/2025011214237728571 Sun, 12 Jan 2025 14:23:58 +0900 차경진 교수, 장민주 PD, 최형균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차경진 한양대 교수와 함께하는 CES2025 LVCC 스마트홈 투어 2편입니다. AI 에이전트가 가정으로 들어오면 가족의 삶은 어떻게 달라질까요?


이를 가장 잘 보여준 회사가 LG전자입니다. LG전자가 내세운 키워드는 공감지능인데요. 아빠, 엄마, 아이 심지어 반려동물까지 가족 구성원의 맥락과 상황을 읽고 IOT 기기를 최적의 상태로 제어해 홈에서의 새로운 경험을 선사하겠다는 LG전자의 홈AI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또한 엔트로픽과 협력해 AI 기반 패밀리 케어 시나리오를 제시한 파나소닉의 웰빙회사, 에너지회사로의 전환도 따라가 보겠습니다.

]]>
<![CDATA[[CES2025] 차경진의 LVCC 센트롤홀 투어① - 삼성과 소니가 제시한 홈과 자동차의 미래경험 - 티타임즈]]> /article/2025011118487766379 /article/2025011118487766379 Sun, 12 Jan 2025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차경진 /교수, 장민주 PD,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최형균 기자


차경진 한양대 교수와 함께하는 CES2025 LVCC 웨스트홀 투어입니다. 우선 소니와 삼성관을 집중 투어합니다. 소니는 엔터테인먼트로 피봇팅했다고 할만큼 AI로 콘텐츠를 만드는 기술을 대거 선보였습니다. 또 혼다와 합작으로 만든 자동차 아필라(AFEELA)를 전시하며 자동차 안에서의 엔터테인먼트 경험과 콘텐츠 구독서비스도 소개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침대와 현대차를 전시하며 가족과 반려견, 식물까지 AI로 연결해 장소를 불문하고 돌보는 헬스케어 생태계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차경진 교수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시죠.



]]>
<![CDATA[[CES2025] 중국 스타트업 대거 참여에도 한국 스타트업 유레카파크 휩쓴 비결 - 티타임즈]]> /article/2025011118127769322 /article/2025011118127769322 Sat, 11 Jan 2025 19:30:02 +0900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강기훈 PD, 최형균 기자


이번 CES2025에서는 중국 타이완 홍콩 일본 스타트업들이 대거 참여했는데요. 그럼에도 한국 스타트업들이 CES 혁신상을 휩쓰는 등 스타트업들이 모인 CES의 유레카파크의 분위기를 주도했습니다. 특히 127개 한국 스타트업이 참여한 K스타트업 통합관은 2년 연속 최고혁신상을 배출하고, 14개 기업의 15개 제품이 혁신상을 받았습니다. 한국 스타트업들의 현지 투자자 네트워킹, 피칭 행사 등의 스케치를 담았습니다.



]]>
<![CDATA[[CES2025] 최재홍의 LVCC 모빌리티 투어 - 자율주행차, 보트, UAM, 전장 트렌드 - 티타임즈]]> /article/2025011118367768100 /article/2025011118367768100 Sat, 11 Jan 2025 18:36:43 +0900 최재홍 /교수, 장민주 PD, 강민재 영상디자이너, 배소진 기자


최재홍 교수의 CES2025 현장 투어입니다. LVCC 웨스트홀의 모빌리티 투어인데요. 아마존이 인수한 죽스와 웨이모의 자율주행차 경쟁, 브런스윅스의 자율주행보트, 삼보모터스의 UAM(도심항공교통), BMW 등 자동차 회사들이 연합해 인수한 히어(Here)의 초정밀 지도기술, 그리고 초소형 라이다를 선보인 한국의 SOS LAB까지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그런데 모빌리티관에 왜 아마존, 퀄컴이 부스를 차렸을까요?



]]>
<![CDATA[[CES2025] 외국 바이어들이 가장 관심 가진 한국 스타트업은? - 티타임즈]]> /article/2025011017107760333 /article/2025011017107760333 Fri, 10 Jan 2025 17:10:06 +0900 이사민 기자, 장민주 PD, 배소진 기자, 황정현 PD

스타트업들의 격전지인 CES2025 유레카관에는 한국 스타트업들을 만나기 위해 K스타트업 통합관을 찾은 외국 바이어와 투자자들이 많았습니다. 종일 K스타트업 통합관에서 머물 생각으로 왔다는 바이어들도 눈에 띄었습니다. 이들이 보고 느낀 한국 스타트업들에 대한 인상을 생생히 담아봤습니다. 이들이 가장 주목한 한국스타트업 두 곳도 소개합니다.

]]>
<![CDATA[[CES2025] 엔비디아, AMD, 퀄컴의 온디바이스AI 경쟁 - 티타임즈]]> /article/2025010918297719214 /article/2025010918297719214 Thu, 9 Jan 2025 18:29:00 +0900 이재원 기자, 장민주 PD, 박성수 PD,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인공지능 경쟁은 추론 경쟁으로 옮겨가면서 이번 CES2025에서도 데이터센터용 칩을 공급하던 반도체 회사들의 전략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 AMD, 퀄컴 등이 디바이스에서의 연산능력을 높여주는 소비자 제품용 AI칩을 대거 선보였는데요. 특히 엔비디아는 B2B AI 반도체에 이어 B2C 제품 시장까지 장악하려는 전략입니다. 이들 회사의 온디바이AI 칩 경쟁을 살펴봅니다.

]]>
<![CDATA[[CES2025] 역대 최대! 혁신상 휩쓴 K스타트업 베스트5 - 티타임즈]]> /article/2025010917207769747 /article/2025010917207769747 Thu, 9 Jan 2025 17:20:14 +0900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최형균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전세계 스타트업의 격전지, 유레카관 투어입니다. CES2025 혁신상 362개 중 165개가 한국 기업, 이 중에서도 한국 스타트업이 120개를 차지했는데요. 그중에서 많은 관심을 끈 5군데를 찾았습니다. AI를 탑재한 드론으로 교량, 터널 등 시설물의 안전을 점검하는 솔루션으로 스마트시티 부문에서 최고혁신상을 받은 시에라베이스, 이어폰처럼 끼고 있으면 가정에서 외이도염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기를 개발한 힐링사운드, GPU 메모리 확장 솔루션을 개발한 파네시아, 가정용 소변진단 솔루션을 개발한 디앤씨바이오테크놀로지, 디지털 트윈 및 실시간 위치 추적 기술의 더넥스트AI 등 티타임즈가 뽑은 혁신상 수상 기업들을 만나보시죠.

]]>
<![CDATA[[CES2025] 자동차 전장도 AI가 지배한다. 모빌리티 키워드는? - 티타임즈]]> /article/2025010817457713380 /article/2025010817457713380 Wed, 8 Jan 2025 18:30:01 +0900 이사민 기자, 장민주 PD, 최형균 기자, 강기훈 PD

이번 CES2025에는 완성차 업체들이 대거 불참했지만 자율주행, 전장에서의 AI 적용 기술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어떻게 자율주행차가 운행이 되는지 자율주행 서비스를 선보인 웨이모, 자율주행차를 전시한 죽스, 그리고 올해 자율 덤프트럭을 출시한 존디어 등을 만나보시죠. 특히 전장 분야에서 AI 적용이 돋보였습니다. 카메라와 센서로 운전자의 상황을 파악해 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내놓은 LG전자, 운전자의 뇌파를 분석해 졸음운전 방지하는 시스템을 선보인 현대모비스도 살펴보겠습니다.

]]>
<![CDATA[[CES2025] 구글, MS, 삼성SDS 등 빅테크의 AI에이전트 경쟁 - 티타임즈]]> /article/2025010816577792774 /article/2025010816577792774 Wed, 8 Jan 2025 17:00:01 +0900 이재원 기자, 장민주 PD, 황정현 PD, 박성수 PD

CES 주최측인 CTA가 “인공지능이 모든 곳을 지배하고 있다”고 밝힌 것처럼 CES 2025에서는 각 분야의 인공지능 활용 사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박테크들의 AI 에이전트 경쟁이 눈에 띕니다. 구글은 안드로이드와 같은 AI 에이전트 생태계를, 마이크로소프트는 업무에서, 아마존은 알렉사를 통해 홈에서 슈퍼에이전트를 어떻게 구축하려는지 엿볼 수 있습니다. 특히 삼성SDS의 업무용 AI 에이전트가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클라우드 기반의 생성형 AI 서비스 플랫폼 ‘패브릭스’, 개인화한 퍼스널 에이전트를 탑재한 ‘브리티 코파일럿’, 그리고 업무자동화를 위한 ‘브리티 오토메이션 플랫폼’까지 관람객들의 큰 관심을 끌었는데요.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CDATA[[CES2025] 스마트홈 사령부는 스피커가 아니라 AI 탑재한 TV - 티타임즈]]> /article/2025010718407773768 /article/2025010718407773768 Tue, 7 Jan 2025 18:40:35 +0900 이재원 기자, 장민주 PD, 최형균 기자, 강민재 영상디자이너,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CES 주관사인 CTA가 미디어를 대상으로 개최한 '테크 트렌드 투 와치'(Tech Trend to Watch) 행사에서 인공지능, 모빌리티, 스마트홈, 실버테크 등 4대 주제를 2025년 테크 트렌드로 제시했습니다.


CTA는 특히 첨단 AI 서비스에 주목했는데요. CTA는 “이미 미국 소비자의 64%가 인공지능 활용해 쇼핑을 하고 있고, 61%가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면서 “현재 AI 쇼핑 시장의 규모는 70억달러(10조원)에 달하고 10년 뒤 300억 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또한 “올해 AI는 AI에이전트, 디지털 트윈, 휴머노이드로 첨단화의 길을 걸을 것”이라며 “특히 스마트홈의 핵심은 스피커가 아니라 AI를 탑재한 TV가 될 것이고, 스마트홈이 실버테크를 흡수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CTA가 예측하는 2025년 테크 트렌드를 CES 현장에서 소개합니다.

]]>
<![CDATA[[CES2025] 인공지능이 지배할 CES2025 관전 프레임 - 티타임즈]]> /article/2025010615587743314 /article/2025010615587743314 Mon, 6 Jan 2025 17:30:02 +0900 이재원 기자, 장민주 PD,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배소진 기자

이번 CES 2025를 어떤 제품, 어떤 서비스를 중심으로 봐야 할지 막막한 분들을 위해 티타임즈가 핵심 키워드를 정리했습니다. 역시 CES 2025를 지배할 키워드는 인공지능입니다. 인공지능이 어떻게 AI에이전트, 모빌리티, 로보틱스로 구현이 될 것인지 주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관전 프레임이 될 것입니다.

]]>
<![CDATA[챗GPT내 여러 모델을 현명하게 사용하는 법 - 티타임즈]]> /article/2025010318357728744 /article/2025010318357728744 Sun, 5 Jan 2025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챗GPT 안에는 모델도 많고, 기능도 많습니다. 모델만 해도 GPT-4, GPT-4o, GPT-4o mini, o1, o1-mini 등으로 다양하죠. 비용을 줄이면서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일까요? 또 하나, 오픈AI가 최근 VC 등 외부의 투자를 받아주는 조건으로 절대 투자하지 마라고 한 5개 회사가 있습니다. 이 5개 회사를 보면 오픈AI가 꿈꾸는 야심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 5개 회사는 어디일까요?

]]>
<![CDATA[‘핵심사업에 집중하라’는 말의 진짜 의미는? - 티타임즈]]> /article/2025010317087752299 /article/2025010317087752299 Sat, 4 Jan 2025 06:00:02 +0900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대표, 김영덕 마크앤컴퍼니/벤처파트너,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최형균 기자, 장민주 PD

2023년보다 2024년이 경기가 더 나빴고, 2025년 올해는 2024년보다 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스타트업은 불황의 시기를 어떻게 헤쳐나가야 할까요? ‘현금흐름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핵심사업에 집중해야 한다’고 하는데 그 정확한 의미는 무엇일까요? 디캠프 대표를 역임한 김영덕 마크앤컴퍼니 벤처파트너로부터 스타트업의 불황기 대처법을 들어봅니다.

]]>
<![CDATA[하얀 토끼 ‘미피’를 보면 피카소, 마티스, 몬드리안이 보인다 - 티타임즈]]> /article/2025010315437740585 /article/2025010315437740585 Fri, 3 Jan 2025 17:00:02 +0900 배소진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네덜란드에서 온 하얀 토끼 미피의 70주년 생일 기념전 '미피와 마법 우체통'이 서울 인사동 센트럴 뮤지엄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미피 할아버지라 불리는 딕 부르너가 영감을 받은 현대 미술가들을 소개합니다. 미피를 보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굵은 검은선, 단색의 컬러, 극도로 단순화한 묘사일텐데요. 과연 어떤 화가들로부터 영감을 받을 것일까요?



]]>
<![CDATA[[박웅현의 인생고민 상담소] ‘나, 지금 잘 하고 있어?’ 고민이 들 때 - 티타임즈]]> /article/2025010216257728878 /article/2025010216257728878 Thu, 2 Jan 2025 17:30:01 +0900 박웅현 TBWA/조직문화연구소장,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황정현 PD, 장민주 PD

우리는 살면서 끊임없이 이런 고민을 합니다. '내가 지금 잘 하고 있는 걸까?' 사회초년병도, 5년차 10년차 30년차도 늘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입니다. 광고계의 구루 박웅현님은 이 질문에 스스로 어떻게 대답해 왔을까요? 네 명의 직장인이 묻고 인생선배 박웅현이 답합니다.

]]>
<![CDATA['가난해지는 유럽, 고속주행하는 미국' 무엇 때문일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23116087744965 /article/2024123116087744965 Wed, 1 Jan 2025 06:00:01 +0900 김동규 PADO/편집장, 김수빈 PADO/에디터, 이사민 기자, 강기훈 PD


"지금 봐서는 유럽은 안락사해가는 분위기가 아닌가 할 정도입니다. 세상이 테크로 가는 순간 미국을 따라잡을 나라가 사라져 버렸습니다."

2024년 미국은 G7 나라 중 성장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면 독일, 프랑스는 성장하는 법을 잊은 것 같습니다. 스웨덴 같은 북유럽도 복지강국에서 멀이지고 있습니다. 유럽은 왜 이럴까요? 미국은 어떤 비결일까요? 왜 갈수록 격차가 벌어질까요?

]]>
<![CDATA[에어비앤비 창업자가 직원들에 많이 맡겼더니 생긴 일 - 티타임즈]]> /article/2024123117027714479 /article/2024123117027714479 Tue, 31 Dec 2024 17:02:09 +0900 강민재 기자, 최형균 기자,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보통 회사의 대표나 조직의 리더라고 하면 '인사'가 가장 중요하다고들 하죠. 사람만 적재적소에 잘 배치하고, 조직원들을 믿고 지원해주면 조직은 잘 굴러간다고요. 그런데 미국 창업가들을 코칭하고 있는 임승찬님의 이야기는 조금 다릅니다. 한 발 뒤로 떨어져서 지켜보는게 꼭 능사는 아니라는 이야기죠. 대표적으로 에어비앤비의 브라이언 체스키가 위임형 매니저로 보낸 4년 동안 에어비앤비의 성장은 정체됐다고 하는데요, 명확한 '비전'을 제시하고 모든 조직원들이 한 방향으로 달리게 만드는게 진짜 훌륭한 리더의 덕목이라는 설명입니다.

]]>
<![CDATA[동네슈퍼 주인들이 ‘마술’이라고 감탄하는 회사 - 티타임즈]]> /article/2024122716197760298 /article/2024122716197760298 Sun, 29 Dec 2024 06:00:02 +0900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대표, 김영덕 전 디캠프/대표,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장민주 PD

“동네슈퍼가 살 길은 신선식품이다.” 동네슈퍼마켓의 숫자가 편의점과 비슷한 5만개 이상이라는 걸 아시나요? 우리나라 농산물의 60% 이상을 소규모 농가가 생산한다는 사실도 아시나요?

소규모 농가가 그 지역의 슈퍼마켓에 판매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슈퍼마켓도 살리고, 농가도 살리는 회사가 있습니다. 슈퍼는 신선식품으로 무장하고, 농가는 도매시장보다 더 많은 수익을 올리는 것이죠. GS리테일에서 슈퍼 사업을 하다 창업한 서준렬 대표에게 ‘동네슈퍼의 혁신’에 대해 들어봅니다.

]]>
<![CDATA[CES 2025! 눈 여겨봐야 할 회사는? - 티타임즈]]> /article/2024122720377712992 /article/2024122720377712992 Sat, 28 Dec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이재원 기자,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전세계 테크 회사들의 축제이자 전쟁터, CES. 미리 공부하지 않으면 원하는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습니다. 최재홍 교수와 함께 CES 2025의 핵심 키워드는 무엇인지, 100주년을 맞아 변화를 꾀하고 있는지 알아봅니다.


]]>
<![CDATA[한국의 창업가들은 왜 이렇게 눈치를 많이 봐야 하나? - 티타임즈]]> /article/2024122615497795646 /article/2024122615497795646 Thu, 26 Dec 2024 17:30:01 +0900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미국의 CEO들이 찾는 창업가 코치, 임승찬 코치가 다시 티타임즈를 찾았습니다. 지난해부터 한국인 CEO들을 코칭하면서 미국과 다른 미묘한 차이를 느낄 수 있었다는 데요, 개인의 능력의 차이라기 보다는 전반적인 문화적 차이에서 기인하는 다름이 있었다고 합니다.

'눈치', '책임감', '승리', '비전'이라는 4가지 키워드로 정리해볼 수 있다는데요, 작은 차이 같지만 그 결과는 아주 큰 간극으로 다가올 수도 있다고 하네요. 임승찬 코치의 분석을 듣고 보니 비단 CEO만의 차이는 아닌 것 같은데요, 우리 자신을 한 번 대입해보면서 들어보시면 좋지 않을까요?

]]>
<![CDATA[AI해커톤에서 나온 기발한 AI서비스들 - 티타임즈]]> /article/2024122418567724880 /article/2024122418567724880 Wed, 25 Dec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최형균 기자

많은 회사들이 AI를 접목해 자신의 서비스를 혁신하거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비즈니스에 딱 맞는 해결책을 찾아내는게 쉽지 않은 일이죠.

30년 경력의 박종천 개발자는 2가지 영역에서 그 해답을 얻을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AI를 활용해 이미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글로벌 스타트업을 참고하거나 비개발자들과 개발자가 한데 어우러져 기발한 아이디어를 발산해내는 해커톤에서 우리 비즈니스에 어울릴만한 서비스를 찾아내는 것인데요, 이미 좋은 사례가 꽤 많이 공개돼 있습니다. 박종천 개발자가 다양한 성공 사례들을 여러분들께 소개해 드립니다.



]]>
<![CDATA[공학도가 만든 딥엘은 어떻게 AI번역 최강자 됐나? - 티타임즈]]> /article/2024122417227731539 /article/2024122417227731539 Tue, 24 Dec 2024 17:30:02 +0900 이사민 기자, 박하영 기자, 장민주 PD


"인터넷의 소스만 가지고 AI 모델을 학습시키면 번역은 인터넷 평균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최고의 품질이 될 수 없는 것이죠."


수많은 AI번역 서비스가 많지만 딥엘(DeepL)은 독보적입니다. 딥엘은 독일 회사로, 현재 33개국 언어에 대해 상호 번역이 가능합니다. 정확성과 뉘앙스 사이의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비결이라고 하는데요. 딥엘의 야렉 쿠틸로브스키(Jarek Kutylowski) CEO가 전하는 AI번역의 기술과 미래를 들어봅니다.

]]>
<![CDATA[알툴즈, 줌닷컴에 이은 '앨런' AI검색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을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22317227712372 /article/2024122317227712372 Mon, 23 Dec 2024 17:30:02 +0900 홍재의 기자, 류지인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황정현 PD


30년 전부터 우리 PC에 깔려있는 알약, 알툴즈를 만드는 이스트소프트가 야심차게 내놓은 AI검색 '앨런(Alan)'. 'Alan'은 인공지능의 기초를 세운 '튜링테스트'로 유명한 과학자 앨런 튜링(Alan Turing)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자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에 검색포털 줌닷컴에서 10여년간 쌓아온 검색 데이터를 결합해 출시했다고 합니다.


"이용자의 검색 의도를 파악해 가장 좋은 솔루션을 제시하는 검색 본질에 집중했다"는 앨런의 기능들을 변형진 이스트소프트 센터장에게 들어봅니다.

]]>
<![CDATA[일회용 실시간 판촉영상, AI로 만들어주는 회사 - 티타임즈]]> /article/2024122016527786667 /article/2024122016527786667 Sun, 22 Dec 2024 06:00:02 +0900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대표, 김영덕 전 디캠프/대표, 최형균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문자나 인쇄물로 판촉? 실시간 일회용 영상으로 판촉할 수 있다!


“텍스트 광고문자, 카카오톡 판촉 등 모든 게 영상으로 바뀔 겁니다. 편의점이나 가게의 1+1, 오늘의 할인상품 팻말도 모두 영상으로 바뀔 겁니다. AI로 실시간으로 광고영상을 생성해서 마케팅하는 것이죠. 그 비용이 고객당 MMS 수준인 몇십원으로 낮아질 거예요.”


판촉과 마케팅에 필요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작할 수 있게 하는 회사가 있습니다. 바로 일만백만! 영상을 일회용처럼 만들어 판촉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김유석 대표에게 어떻게 가능한지 들어봅니다.

]]>
<![CDATA[저급한 주제의 팝아트는 어떻게 가장 비싼 예술이 되었나? - 티타임즈]]> /article/2024122010487772557 /article/2024122010487772557 Fri, 20 Dec 2024 17:00:02 +0900 장민주 PD


앤디 워홀과 로이 리히텐슈타인으로 대표되는 팝아트에는 이런 상반된 평가가 있습니다.

“팝 아티스트는 그 자신도 어떠한 깊이를 갖지 않고, 단지 그림의 표면일 뿐이다. 거기에는 어떤 의미도 어떤 의도도 놓여 있지 않다.”(롤랑 바르트)

”워홀의 주제는 사회 고찰과 폭로를 담고 있다. 전기의자의 이미지들은 사형제도에 대한 반대 메시지를 담고 있고 인종 폭동에 대한 이미지는 그들의 시민권을 지지하는 방식으로 읽을 수 있다.“ (토마스 크로)

소비사회의 아이코닉한 이미지들을 예술의 소재로 삼은 팝아트는 상업예술일 뿐일까요? 아니면 시대에 대한 고도의 회화적 기법일까요?


]]>
<![CDATA[AI시대에도 오프라인 매장이 필요한 이유 - 티타임즈]]> /article/2024121917487734136 /article/2024121917487734136 Thu, 19 Dec 2024 17:48:25 +0900 송수진 교수, 배소진 기자, 최형균 기자, 이소민 영상디자이너, 강기훈 PD

“서울시내 좋은 카페가 알려지는데 얼마나 걸릴 것 같으세요? 예전에는 미디어가 태워주기 전까지는 아무도 몰라요. 요즘은 몇 명 가서 게시물을 올리는 순간 서울시내 알 사람은 다 알아요. 상위 정보 수용자가 퍼트려서 그게 메인 스트림이 되는 구조예요. 하류에서 물을 뿌려서 상류로 보낼 수는 없어요. 상류에서 뿌리면 훨씬 더 적은 에너지로 훨씬 더 강력한 걸 만들어내는 게 정보의 흐름입니다.”


“저는 방문객 수가 왜 중요한지 모르겠거든요. 중요한 건 얼마나 많이가 아니라 어디 것을 믿고 살 거냐의 문제요. 어떤 인식을 설계할 것인가가 결국 소비를 만들어내는 근본적인 이유가 되는 거죠. 근데 이것은 양의 문제가 아닌 거죠.”


왜 AI시대에도 오프라인 매장이 필요한지, 매장의 역할이 어떻게 바뀔 것인지 성수동 신화를 만들며 '팝업스토어의 스티브 잡스‘라 불리는 최원석 프로젝트 렌트 대표로부터 들어봅니다

]]>
<![CDATA[AI에이전트 시대, 아마존 알렉사는 부활할 수 있을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21815107750866 /article/2024121815107750866 Wed, 18 Dec 2024 17:30:02 +0900 배소진 기자,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10년 전 아마존의 음성비서 알렉사가 탑재된 스마트스피커가 세상에 나왔을 때 사람들은 흥분했습니다. 하지만 챗GPT가 등장하면서 알렉사는 더 이상 스마트하지 않습니다.

아마존은 알렉사에 생성AI를 탑재해 진짜 가정용 집사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출시 일정은 계속 연기되고 있습니다. 알렉사의 업그레이드는 대체 왜 그렇게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일까요?



]]>
<![CDATA[AI검색 도전장 던진 한국판 퍼플렉시티, '앨런' - 티타임즈]]> /article/2024121717297724097 /article/2024121717297724097 Tue, 17 Dec 2024 17:30:02 +0900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박성수 PD


AI에이전트 구현의 관문인 AI검색 선점 전쟁이 치열합니다. 오픈AI, 퍼플렉시티, 라이너 등 여러 회사가 뛰어들고 있죠.

최근 줌 인터넷을 비롯해 알약, 알집, 알툴즈 등으로 유명한 이스트소프트도 뛰어들었습니다. 이스트소프트가 만든 AI검색 ‘앨런'은 어떤 차별점을 갖고 있을까요?

줌 통합검색과 시작페이지를 만든 변형진 이스트소프트 개발TF센터 센터장에게 들어봅니다.

]]>
<![CDATA[타다 출신 2명이 점심 먹을 곳 찾다가 만든 앱 ‘계단뿌셔클럽’ - 티타임즈]]> /article/2024121615587718398 /article/2024121615587718398 Mon, 16 Dec 2024 17:30:02 +0900 김영덕 전 디캠프/대표,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대표, 최형균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오리’ 김영덕 대표는 왜 네이버에 분개하게 되었을까요?


”우리는 언젠가는 한번 인생에서 휠체어를 타는 세상에 살고 있잖아요. 이동약자의 시선으로 보면 ‘이렇게 턱이 많아?’, ‘이렇게 계단이 많아?’ 느낄 수가 있을 거예요.“ (계단뿌셔클럽 박수빈 대표)


“말씀을 듣다 보니까 미운 사람이 생겼어요. 우리가 매일 쓰는 네이버에는 그런 정보가 없잖아요. 내일부터라도 1인 시위라도 해야 되지 않을까요?” (김영덕 전 디캠프 대표)


이동약자들을 위해 카페와 음식점 등에 계단이 몇 개가 있는지, 경사로가 있는지, 휠체어를 타고 접근할 수 있는지 등록하고 확인할 수 있는 앱을 만들고 있는 계단뿌셔클럽을 소개합니다.

]]>
<![CDATA[‘팝업스토어의 스티브 잡스’가 말하는 ‘성공하는 매장의 비밀’ - 티타임즈]]> /article/2024121316027713763 /article/2024121316027713763 Sun, 15 Dec 2024 06:00:02 +0900 송수진 /교수, 박하영 기자, 최형균 기자, 강기훈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오프라인 매장은 딱 오픈하는 그날 이거 되겠다, 안되겠다가 80% 판단이 끝나요. 귀신같이 끝나요. 입구에 들어가자마자 세포 레벨에서 ‘이거 아니야’를 판단해버려요. 미묘한 ‘합’의 문제예요.”

도대체 왜 어떤 매장은 성공하고, 어떤 매장을 실패할까요? 성수동 신화를 만들며 '팝업스토어의 스티브 잡스‘라 불리는 최원석 프로젝트 렌트 대표로부터 들어봅니다.





]]>
<![CDATA[SNS를 '틱톡화'했던 틱톡은 어쩌다 위기에 몰렸나 - 티타임즈]]> /article/2024121401197751177 /article/2024121401197751177 Sat, 14 Dec 2024 06:00:02 +0900 이재원 기자, 황정현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숏폼 콘텐츠의 유행을 선도한 ‘틱톡’이 미국에서 퇴출 위기에 놓였습니다. 지난 6일(현지시간) 워싱턴DC 항소 법원의 결정으로 틱톡은 내년 1월19일까지 사업권을 매각하지 않으면 미국 내 서비스를 중단해야 합니다. 미국 대통령이 매각 기한을 연장해 줄 수 있지만, 중국과 무역 분쟁 중인 미국 입장에서 그럴 가능성은 낮죠. 틱톡은 어쩌다 이런 신세가 되었는지. 1억7000만명에 달하는 미국의 틱톡 이용자가 사라지면 틱톡의 미래는 어떻게 될지 정리해 봅니다.

]]>
<![CDATA[왜 사람들은 로스코의 그림 앞에서 눈물을 흘릴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21215487788618 /article/2024121215487788618 Fri, 13 Dec 2024 17:00:02 +0900 장민주 PD


사람들이 감상하면서 가장 많이 눈물을 흘린다는 로스코의 그림. 어떤 사람들은 죽음과 알 수 없는 상실감을 떠올리고, 어떤 사람들은 평온함과 아름다움을 느낀다고 합니다. 로스코의 작품을 모아놓은 로스코 채플에는 상담사가 상주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는 왜 로스코의 그림 앞에서 감정의 홍수를 경험하게 될까요?


]]>
<![CDATA[챗GPT 쓰고, 안쓰고가 왜 AI리치와 AI푸어, 부의 격차까지 만들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21217287719689 /article/2024121217287719689 Thu, 12 Dec 2024 17:30:01 +0900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최형균 기자, 장민주 PD, 홍재의 기자, 박성수 PD

AI가 동료로 들어오면 사람은 무엇을 해야 할까요? 30년 개발자 박종천님은 세가지를 꼽습니다. 지시, 판단, 협업입니다. 챗GPT에 어떻게 일을 시킬지 고민해야 하고, 결과를 판별할 수 있어야 하며 사람들과의 소통을 더 열심히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세가지 능력이 AI 리치, AI 푸어의 격차를 심화시킬 것이라고 합니다.

]]>
<![CDATA[검색의 시대가 가고 ASK의 시대가 온다 - 티타임즈]]> /article/2024121017357710449 /article/2024121017357710449 Tue, 10 Dec 2024 17:35:39 +0900 황정현 PD,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검색의 시대가 가고 요청(ask)의 시대, 액션(action)의 시대가 오고 있다.”

AI에이전트가 가져올 패러다임 전환의 본질을 무엇일까요? AI에이전트는 사람들의 습관과 삶의 양식을 어떻게 바꿀까요? 기업은 새로운 경제주체, AI에이전트를 어떻게 활용하고 상대해야 할까요? 국내 최고의 AI전문가 ‘김지현 × 강정수’ 콤비에게 들어보시죠.

]]>
<![CDATA[[박웅현의 인생고민 상담소] “도태될까 두렵다. 어떻게 살아야 하나?” - 티타임즈]]> /article/2024120911447734912 /article/2024120911447734912 Mon, 9 Dec 2024 17:30:02 +0900 박웅현 TBWA/조직문화연구소장, 강기훈 PD,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광고계의 전설 박웅현님의 ‘인생고민 상담소’ 문을 엽니다. 성장과 삶에 대한 직장인들의 고민을 인생선배 박웅현에게 물어보았습니다. “도태될까 두렵다. 계획을 세워 더 악착같이 살아야 할까?” “인생의 목표, 큰 방향을 어떻게 잡고 살아야 하나” 박웅현님은 어떻게 조언하는지 들어보시죠.

]]>
<![CDATA[쇼핑 추천에서 결제까지? AI 에이전트 승패는 쇼핑에서 갈린다 - 티타임즈]]> /article/2024120418237753111 /article/2024120418237753111 Wed, 4 Dec 2024 18:23:32 +0900 배소진 기자,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류지인 영상디자이너, 이재원 기자


AI 검색엔진 퍼플렉시티가 최근 AI 쇼핑 기능을 선보였습니다. 자연어 형태로 원하는 제품을 입력하면 온라인 쇼핑몰들을 뒤져서 상품을 추천해주고요. 미리 배송 및 결제 정보를 입력해두면 클릭 한 번에 검색 결과에서 곧바로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습니다. 퍼플렉시티까지 참전하면서 더욱 뜨거워진 AI 쇼핑 에이전트 전쟁은 앞으로 쇼핑을 어떻게 바꿀까요?



]]>
<![CDATA[실리콘밸리 이민상담의 대모가 말하는 트럼프 2기 이민정책 - 티타임즈]]> /article/2024120219037777778 /article/2024120219037777778 Mon, 2 Dec 2024 19:03:29 +0900 이사민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과거부터 미국의 비자, 이민 절차는 악명 높았습니다. 테슬라, 인스타그램, 줌...내로라하는 테크 기업 창업가들도 어렵게 미국 이주를 한 경험들이 있죠. 특히 트럼프의 대선 승리로 최근 실리콘밸리 진출을 노리고 있는 스타트업 창업가, 유학생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2000년대 초반 닷컴 붐 시절부터 이민 변호사 일을 시작한 '실리콘밸리 이민·취업계의 대모' 주디 장(Judy Chang) 변호사를 만나 트럼프 2기에 필요한 비자 발급 및 이민 절차 팁에 대해 들어봅니다.

]]>
<![CDATA[네이버, 카카오, 쿠팡, 배민의 미래 '온플법'에 달려있다 - 티타임즈]]> /article/2024112911157747158 /article/2024112911157747158 Sat, 30 Nov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강기훈 PD,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배달의민족 수수료 문제, 티메프 판매 대금 문제, 쿠팡 검색 결과 조작 문제, 카카오 먹통 문제. 이 모든 문제를 한방에 해결할 만능법이 탄생할까요?

아주 오래 전부터 발의만 되고 늘 사라졌던 '온라인플랫폼독점규제법'(온플법)이 다시금 살아돌아왔습니다. 소비자와 소상공인을 보호하겠다는 선량한 취지를 갖고 있죠. 때마침 미국에서도 정부가 구글에 크롬 매각을 지시할 것이라는 소식이 들려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정말 이 모든 문제를 법 한 방에 해결할 수 있을까요? 이에 따른 부작용은 없을까요? 과연 온플법은 어떤 규제를 담고 있을지 이에 따른 영향은 어떤지 알아봅니다.



]]>
<![CDATA[잭슨 폴록은 왜 붓 대신 막대를 들었나? - 티타임즈]]> /article/2024112814107797213 /article/2024112814107797213 Fri, 29 Nov 2024 17:00:01 +0900 장민주 PD


캔버스를 이젤에 세우는 대신 바닥에 눕혀 놓고, 물감을 뿌리고 흘리고 튀겨 그림을 완성하는 잭슨 폴록의 드리핑 기법은 현대미술의 방향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그림을 그리는 행위 자체까지 작품의 중요한 일부로 인식하게 된 것이죠. 아무렇게나 흩뿌린 것 같은 그의 작품은 정말 우연의 결과일까요, 아니면 치밀한 계산일까요?


]]>
<![CDATA[트럼프 시대의 필수 키워드 ‘언더그라운드 엠파이어’ - 티타임즈]]> /article/2024112817097711659 /article/2024112817097711659 Thu, 28 Nov 2024 17:30:01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최형균 기자, 강기훈 PD

프랑스의 철학자 미셸 푸코는 눈에 보이는 처벌보다 보이지 않는 감시가 더 효과적이고 강력한 통제 수단이라고 얘기합니다. 그래서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전 세계의 강대국들은 보이지 않게, 온 세상의 모든 것을 보고 있다고 하죠. 이런 감시는 또다시 이들의 패권을 강화하는데 쓰이게 됩니다. 보이지 않게 모든 것을 보는 제국의 힘, ‘언더그라운드 엠파이어’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
<![CDATA[2025년, 이 시대 사람은 어떤 사람이고 싶은가? 키워드 3가지 - 티타임즈]]> /article/2024112617467774133 /article/2024112617467774133 Tue, 26 Nov 2024 17:46:21 +0900 송수진 /교수, 배소진 기자, 장민주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왜 1인 가구는 증가하는데 ‘혼밥’ 키워드는 줄고, 가족여행은 늘어날까요? 간식, 디저트라는 말은 많이 하는데 왜 ‘군것질’이란 말은 줄까요? 왜 사람들은 잔소리에 돈내고, ‘선생님’이라는 말이 뜰까요? 효율의 시대에 왜 비효율의 낭만이 뜰까요? 바이브컴퍼니 박현영 생활변화관측소장이 설명하는 ‘2025년, 이 시대 사람은 어떤 사람이고 싶은가?’에 대한 키워드 3가지!


]]>
<![CDATA[우리는 새로운 동료 AI와 어떻게 일해야 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12514007770338 /article/2024112514007770338 Mon, 25 Nov 2024 19:00:02 +0900 장민주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박성수 PD

많은 기업이 AI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생산성을 넘어 제품 개선, 마케팅 전략, 고객경험 개선에 AI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야 합니다. 기업은, 우리 팀은, 개인은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장대익 가천대 창업대학장, 황성현 전 카카오 인사총괄, 황재선 SK디스커버리 부사장, 윤종영 국민대 소프트웨어융합대 교수의 패널토의를 통해 함께 고민해보시죠.

]]>
<![CDATA[기업은 ‘마스터 AI에이전트’에 올라타야 하나? 말아야 하나? - 티타임즈]]> /article/2024112513577760356 /article/2024112513577760356 Mon, 25 Nov 2024 17:00:01 +0900 장민주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박성수 PD

역시 내년 비즈니스에서 가장 중요한 화두는 AI에이전트입니다. 과연 AI에이전트의 정확한 정의는 무엇일까요? 각 기업은 어떤 준비를 미리 해야 할까요? 강정수 블루닷 AI연구센터장, 박종천 전 삼성전자 상무, 신동형 알서포트 팀장, 오순영 전 KB AI센터장의 토론을 들어보시죠.

]]>
<![CDATA[AI에이전트 시대, 성공열쇠는 사용자 시나리오 - 티타임즈]]> /article/2024112218387763825 /article/2024112218387763825 Sun, 24 Nov 2024 08:00:02 +0900 장민주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박성수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AI 에이전트 시대, 경쟁의 열쇠는 사용자 시나리오를 얼마나 잘 구축하는지에 있다고 합니다. 또한, 각 국가의 문화와 가치관을 잘 알고 있는 소버린AI도 주목해야 합니다. 하정우 네이버 퓨처AI 센터장에게서 소버린 AI의 능력과 경쟁력에 대해 들어봅니다.

]]>
<![CDATA[카메라, CCTV, 키오스크… SLM이 탑재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12218337711460 /article/2024112218337711460 Sun, 24 Nov 2024 07:00:01 +0900 장민주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박성수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과연 카메라, CCTV, 키오스크, 노트북 등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Small LLM(SLM)이 동작을 하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지게 될까요? 어떤 새로운 일상을 만들 수 있을까요? 모든 곳에 스며드는 임베디드 AI의 미래에 대해 이건복 마이크로소프트 리드가 설명합니다.

]]>
<![CDATA[생성형AI 도입했는데도 기업은 왜 여전히 불편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12218037712637 /article/2024112218037712637 Sun, 24 Nov 2024 06:00:02 +0900 장민주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박성수 PD

기업들이 업무 효율성과 자동화를 위해 생성형AI를 도입하고 있지만, 여기에는 불편한 진실이 하나 있습니다. 생성형AI 도입에도 여전히 불편한 점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특히 정확도를 요구하는 작업은 AI에 맡기기가 쉽지 않습니다. 삼성SDS 김정민 상무는 “확률을 기본으로 하는 생성형AI 기술의 불완벽함은 인간이 채워줘야 한다”며 “모든 것을 자동화하려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자동화 프로세스를 설계하는 데 있어서는 사람의 개입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
<![CDATA[생성AI로 고객마다 딱맞는 메시지 제시하는 법 - 티타임즈]]> /article/2024112217167783148 /article/2024112217167783148 Sat, 23 Nov 2024 07:00:01 +0900 장민주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박성수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잘 나가는 회사들은 생성AI를 고객경험 개선에 어떻게 사용하고 있을까요? 초개인화된 맞춤형 추천을 통해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LLM 모델이라도 고객에 대한 풍부한 학습 데이터가 없다면 무용지물이죠. 고객의 맥락을 감지하는 기기 데이터와 고객의 잠재욕구가 담겨있는 라이프데이터가 확보되어야 생성형AI는 비로소 고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고객의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해 어떻게 활용해야 할 지 차경진 교수가 설명합니다.



]]>
<![CDATA[2025년 돈 되는 AI 경쟁이 본격화한다 - 티타임즈]]> /article/2024112217057773309 /article/2024112217057773309 Sat, 23 Nov 2024 06:00:02 +0900 장민주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박성수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2년 넘게 이어진 생성형 AI 경쟁. 놀라운 기술 발전이 이어졌지만 이 과정에서 수익을 거둔 기업은 반도체를 비롯한 인프라 기업입니다. 골드러쉬에 비유하면 청바지와 곡괭이를 판 기업들이죠. 하지만 2025년에는 경쟁의 패러다임이 바뀔 전망입니다. 상대적으로 저렴해진 AI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AI 서비스 생태계가 구축되고, 비즈니스 경쟁이 벌어질 것이라고 하는데요. 이제 진짜 AI 기업이 AI 서비스, AI 비즈니스로 돈을 벌 차례라는 얘기죠. 돈 되는 AI 서비스의 첫 주자는 무엇이 될지 김지현 SK mySUNI CIO에게 들어봅니다.



]]>
<![CDATA[전쟁중 예술가들은 왜 광란의 공연을 펼쳤을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12116127797199 /article/2024112116127797199 Fri, 22 Nov 2024 17:00:02 +0900 장민주 PD


1차 대전의 참혹한 경험은 예술가로 하여금 사회의 모순과 예술의 역할에 대해 근본적 의문을 품게 만듭니다. 그래서 탄생한 사조가 다다이즘입니다. 파격적이고 광란에 가까운 예술을 선보이며 지배질서에 충격을 주려고 했죠. 이를 이어 마그리트와 달리의 초현실주의가 등장합니다. 마그리트는 왜 파이프를 그려놓고 파이프가 아니라고 했고, 달리는 왜 잠수복을 입고 전시회에 나타났을까요?


]]>
<![CDATA[기업이 AI 도입에 앞서 먼저 던져야 할 질문은? - 티타임즈]]> /article/2024112115567763120 /article/2024112115567763120 Thu, 21 Nov 2024 17:30:02 +0900 김유신 한화시스템/상무, 장민주 PD

많은 기업이 빅데이터 시스템을 도입했지만 정작 결과는 기대이하였던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문제를 해결할 것인지, 어느 정도 비용으로 어떤 성과를 낼 것인지에 대한 목표가 부재하다보니 발생한 한계였죠. AI 도입도 마찬가지입니다. AI 도입에 앞서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사항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화시스템 김유신 상무의 강의를 통해 알아봅니다.

]]>
<![CDATA[25년 소비자 트렌드! 소비자 좌표는 어디로 이동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12018297747976 /article/2024112018297747976 Wed, 20 Nov 2024 18:30:13 +0900 송수진 /교수, 배소진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25년 소비자 트렌드의 무엇일까요? 송수진 고려대 교수가 바이브컴퍼니 박현영 생활변화관측소장을 초대해 들어봤습니다. 정리하면 ‘일상은 여가화하고 있고, 여가는 레벨업이 되고 있고, 가치관은 효율과 낭만을 추구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기업들은 ‘퇴근후’를 잡아야 하고, 우리 브랜드가 선물하기 부끄럽지 않은 브랜드인지 살펴봐야 합니다.


]]>
<![CDATA[뉴욕타임스를 보는 우리는 트럼프를 너무 폄하하고 있다 - 티타임즈]]> /article/2024111918147749759 /article/2024111918147749759 Tue, 19 Nov 2024 18:14:10 +0900 김수빈 파도/에디터, 김동규 파도/편집장, 이재원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트럼프는 민주당의 멋진 이야기 아래에서 고통받는 가난한 백인들에 주목했다. 국경을 닫는 것에 오히려 동조하는 히스패닉 이민자들에도 주목했다.” 트럼프가 완승할 수 있었던 비결입니다.


그렇다면 미국 제조업과 국경 장벽의 부활을 도모할 트럼프 2기의 정책은 어떻게 전개가 될까요? 제조업 부활을 위해 달러 패권은 정말 약화할까요? 중국 견제를 위해 러시아를 활용한다면 우크라이나 전쟁은 어떻게 될까요? 대중견제를 위해 북한은 또 어떻게 활용할까요?


또 하나, 테크와 제조업에 대해 정반대의 견해를 가진 일론 머스크와 부통령 당선자 JD 밴스의 힘겨루기는 어떻게 전개될까요?

]]>
<![CDATA[제약회사들은 왜 우주에 신약 실험실과 공장을 차리나? - 티타임즈]]> /article/2024111818257722573 /article/2024111818257722573 Mon, 18 Nov 2024 18:25:26 +0900 최형균 기자,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강기훈 PD

제약, 바이오 업계의 우주 진출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생명체가 생존하기 힘든 우주가 오히려 신약 개발과 제조에 최적의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CNN이 "의학의 미래는 우주에 있을지도 모른다"라고 말할 정도입니다. 우주의 실험실과 공장이 왜 지상보다 나은지 소개합니다.

]]>
<![CDATA[AI 전쟁의 세 번째 전선, 에너지 확보 전투가 시작됐다 - 티타임즈]]> /article/2024111621527711491 /article/2024111621527711491 Sun, 17 Nov 2024 06:00:02 +0900 이재원 기자, 류지인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인공지능의 발전이 온 산업계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시작은 인공지능 모델 경쟁, 즉 소프트웨어 경쟁이었죠. 경쟁은 곧 연구를 위한 반도체, 즉 하드웨어 확보 경쟁으로 흘러가더니 이제 또다른 곳에서 전선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바로 에너지, 즉 전력입니다. 인공지능 연구를 위한 데이터센터를 가동하기 위한 에너지를 확보하는 데에 빅테크들이 사활을 걸고 있는데요. 대체 얼마나 많 은 전력이 소모되길래, 그리고 이를 어떻게 극복하려고 하는지 살펴봅니다.




]]>
<![CDATA[미국 상장 노리는 토스, 가능성은? - 티타임즈]]> /article/2024111518017774641 /article/2024111518017774641 Sat, 16 Nov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최형균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최근 케이뱅크의 IPO 실패 이후 미국 증시 상장을 노리는 회사들의 소식이 자주 들려오고 있습니다. 기업가치 8조원 이상을 평가 받으며 투자를 받았던 토스가 대표적인데요, 나스닥에 상장해 10조원 이상의 가치를 인정 받겠다는 목표죠. 토스 뿐만이 아닙니다. 야놀자, 무신사 등 대어로 평가받던 스타트업들이 대거 미국 증시를 노린다는 기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들은 왜 국내 주식 시장을 포기하고 미국으로 향하는 걸까요?

그리고 이들의 미 증시 상장 가능성은 어느 정도일까요?

앞서 미 증시에 상장했던 쿠팡, 네이버웹툰 등은 어떤 평가를 받고 있을까요?

]]>
<![CDATA[칸딘스키와 몬드리안은 대체 무엇을 그린 것일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11410127725950 /article/2024111410127725950 Fri, 15 Nov 2024 17:00:02 +0900 장민주 PD


‘과연 이 그림은 무슨 그림일까?’ 대상이 부재한 그림을 통해 회화를 형체 없는 음악처럼 정신과 영혼의 경지로 끌어올린 화가들이 바로 추상미술입니다.

색을 쌓아서 마치 교향곡처럼 만든 칸딘스키와 직선과 삼원색으로만 그림을 그린 몬드리안이 추상화의 태동을 이끈 두 거장입니다. 이들의 추상화는 과연 무엇을 그린 것이었을까요?



]]>
<![CDATA[1천명이 할 일을 100명이! 대기업은 AI를 이렇게 활용한다 - 티타임즈]]> /article/2024111417057763386 /article/2024111417057763386 Thu, 14 Nov 2024 17:30:02 +0900 박성수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생성AI는 기업의 생산성을 얼마나 높여줄 수 있을까요? 아마존은 AI를 활용해 3만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Java8 기반에서 Java17로 업그레이드 했습니다. 1명의 개발자가 4,500년 작업해야 가능한 양이라고 하네요. LG전자는 메타데이터를 자동으로 입력해주는 AI 도구를 활용해 기존에는 쓸모 없었던 데이터를 중요한 고객 의견 청취 데이터로 바꿨다고 합니다. 이미 많은 기업들이 효과를 보고 있는 AI트랜스포메이션의 사례를 30년 경력의 박종천 개발자에게 들어봅니다.

]]>
<![CDATA[챗GPT AI검색 출시! 검색시장 대격변 온다 - 티타임즈]]> /article/2024111218317743435 /article/2024111218317743435 Tue, 12 Nov 2024 18:31:51 +0900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홍재의 기자, 배소진 기자, 장민주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기업들은 이제 홈페이지 방문자가 중요하지 않은 거예요. AI 검색에 인용이 돼서 고객들이 묻고자 하는 의도에 우리가 주도하는 콘텐츠들이 들어가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해집니다.”

오픈AI가 AI 검색엔진 ‘챗GPT 서치’를 출시했습니다. 2025년 검색시장의 대격변이 이뤄질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그렇다면 기업의 마케팅과 PR의 질서는 어떻게 바뀌게 될까요?



]]>
<![CDATA[한국인이 만든 번역 자막이 OTT 휩쓴 비결 - 티타임즈]]> /article/2024111118257741199 /article/2024111118257741199 Mon, 11 Nov 2024 18:26:03 +0900 김영덕 전 디캠프/대표,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대표, 최형균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OTT 서비스의 번역 자막을 휩쓸고 있는 한국 스타트업이 있습니다. 바로 실리콘밸리 구글과 애플 출신의 한국인들이 만든 XL8입니다. OTT를 넘어 회의, 이벤트 등 실시간 번역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는데요. 이 서비스가 어떻게 자막 시장을 점령할 수 있었는지 소개합니다.

]]>
<![CDATA[국내 톱티어 회사들은 어떤 AI에이전트를 준비하고 있나? - 티타임즈]]> /article/2024110817167719638 /article/2024110817167719638 Sun, 10 Nov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기업들의 생성AI 도입을 위한 내부 검증이 끝났다. B2C로 노출하는 작업이 본격화하고 있다. 생성AI를 통해 직접적인 비즈니스 밸류 창출하려는 것이다.”(이정인 MS 기술부문장)


KT, LG유플러스, 크래프톤, DL, 로앤컴퍼니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MS 코파일럿을 접목해 생상성 향상을 이끈 기업이죠. LG유플러스는 직원 1명당 월 3일을 절감했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최근에는 기업들이 B2C AI에이전트들도 본격적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오픈AI o1의 사례처럼 AI의 추론 능력이 사람에 버금갈 정도로 향상됐기 때문입니다.


과연, 한국의 잘나가는 회사들은 어떤 AI에이전트들을 준비하고 있을까요?

]]>
<![CDATA[‘알파고의 아버지’ 허사비스가 노벨화학상 받은 진짜 이유 - 티타임즈]]> /article/2024110817337785115 /article/2024110817337785115 Sat, 9 Nov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강기훈 PD


구글 딥마인드의 데미스 허사비스 CEO가 최근 노벨화학상을 받았죠. 단백질 3차원 구조예측 엔진 ‘알파폴드’를 개발한 공로입니다. 특정 단백질이 어떤 구조인지 예측하는데 공을 세웠다는 것이죠. 그런데 이것이 왜 그토록 중요한 것일까요? 생물정보학 박사인 박종선 인포보스 공동대표와 함께 알아봅니다.

]]>
<![CDATA[그림을 다림질처럼 만든 피카소! 무엇을 파괴하고 싶었나? - 티타임즈]]> /article/2024110717477788509 /article/2024110717477788509 Fri, 8 Nov 2024 17:00:02 +0900 장민주 PD


“피카소는 죽는 날까지 양식을 만들었고, 양식을 고쳤고, 억제되지 않은 독창성으로 양식을 조롱했다.”

피카소가 입체주의의 문을 열 수 있었던 것은 마티스의 그림에서 받은 충격 때문이었습니다. ‘아비뇽의 처녀들’에 착수한 것도 마티스 작품을 본 직후였죠. 색채는 축소되고 작품은 누군가 다림질을 한 것처럼 납작해졌습니다. 피카소는 마티스에게서 무엇을 본 것일까요? 회화의 무엇을 혁명하고 싶었던 것일까요?


]]>
<![CDATA[기업이 AI를 도입하려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10713517748504 /article/2024110713517748504 Thu, 7 Nov 2024 17:30:01 +0900 김유신 한화시스템/상무, 장민주 PD


많은 기업이 AI를 업무에 도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냥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아니라 AI 트랜스포메이션입니다. AI를 도입해 내부 생산성을 높이고 고객에 새로운 가치를 선사하려면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요? 한화시스템 김유신 상무의 강의를 들어보시죠.


]]>
<![CDATA[AI검색이 구글 점유율 33% 빼앗아올 수 있다, 이유는? - 티타임즈]]> /article/2024110616137710697 /article/2024110616137710697 Wed, 6 Nov 2024 17:30:01 +0900 박하영 기자,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AI검색 서비스가 기존 구글 검색 시장을 뒤흔들고 있습니다. 검색을 장착한 챗GPT(서치GPT)가 LLM 이용자들의 검색 습관을 바꾸고 있고, 퍼플렉시티도 미디어 종사자, 리서처 등 검색 서비스 얼리 어댑터를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라이너는 학술 관련 검색을 주로 하는 미국의 대학원생, 대학생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죠.

기존 구글 검색으로 일원화 되었던 다양한 검색 분야를 AI검색 서비스가 야금야금 먹어들어가고 있는 양상입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AI검색은 얼마나 기존의 검색을 대체하게 될까요? 그리고 AI검색의 영향력 증대는 인터넷 세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AI검색 라이너를 서비스하고 있는 김진우 대표로부터 직접 들어봅니다.

]]>
<![CDATA[넷플릭스 최악의 시기에 대수정이 가능했던 ‘리더십 원칙’ - 티타임즈]]> /article/2024110518327761610 /article/2024110518327761610 Tue, 5 Nov 2024 18:32:29 +0900 배소진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넷플릭스는 2022년 미래가 암담하다는 평가를 받았죠. 그랬던 넷플릭스가 불과 2년만에 다시 스트리밍 시장을 평정하고 있습니다. 최악의 시기에 최고의 전략을 만들었던 대수정 덕분입니다. 대수정이 가능했던 비결이 바로 넷플릭스의 리더십 원칙이라고 불리는 조직문화 덕분이었습니다. 넷플릭스의 조직문화를 만드는 근간, '반대 농사'를 소개합니다.



]]>
<![CDATA[모든 데 다 깔리는데 AI가 어떻게 거품인가요? (박태웅 의장) - 티타임즈]]> /article/2024110417377763989 /article/2024110417377763989 Mon, 4 Nov 2024 17:37:55 +0900 황정현 PD,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AI 거품이라고 하는 사람들이 이해가 가지 않아요. 코파일럿 플러스 PC는 윈도우가 깔리는 모든 PC에 AI가 들어갑니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아이폰과 맥과 아이패드에 깔려요. 우리가 쓰는 모든 디바이스에 AI가 다 깔립니다. 그게 어떻게 거품이 될 수 있죠?”

“AI로 모든 종업원 얼굴의 미소 지수를 측정해서 미소 점수가 일정 이하면 경고를 하겠다고 합니다. 우리가 AI를 알아야 걱정도 하고, 대책도 세울지 않겠습니까?”

정말 내년 쯤이면 AI와 연동되지 않는 소프트웨어, 다비이스를 찾기 어려울 것 같은데 그만큼 부작용과 위험도 커질 것입니다. 우리는 어떻게 준비하고 대응해야 할까요? 박태웅 의장의 얘기를 들어봅니다.

]]>
<![CDATA[“AI가 마케팅의 판을 근본적으로 바꾸고 있다” (강정수 박사) - 티타임즈]]> /article/2024110118507711049 /article/2024110118507711049 Sun, 3 Nov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이사민 기자, 황정현 PD


“AI검색으로의 재편은 마케팅의 근본적인 패러다임 전환입니다. 나아가 메타와 아마존, 구글의 AI에이전트는 타켓별 상세페이지 제작은 물론 퍼포먼스 마케팅과 브랜드 마케팅을 대행하고 있습니다. 마케팅 지형이 완전히 바뀌는 것이죠.”

AI검색, AI에이전트는 마케팅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바꾸고 있을까요? 대기업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고, 자원이 부족했던 중소기업과 1인기업은 어떻게 이 기회를 활용해야 할까요? 강정수 박사의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
<![CDATA[한국의 라이너는 어떻게 전세계 2위 AI검색이 됐을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10118177737412 /article/2024110118177737412 Sat, 2 Nov 2024 06:00:02 +0900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전체 AI서비스로 보면 오픈AI, 구글 제미나이, 캐릭터.AI에 이어 전세계 4위, AI검색에서는 2위를 차지하고 있는 국내 스타트업이 있습니다. 바로 AI검색 서비스 '라이너'인데요, 글로벌 시장에서 퍼플렉시티와 엎치락뒤치락 하며 당당히 경쟁하고 있습니다. 특히 라이너는 학술 검색과 실시간 정보 대응에 강점을 갖고 있는데요, 한국의 라이너가 어떻게 세계적 AI검색 서비스가 되었는지 김진우 대표에게 들어봅니다.

]]>
<![CDATA[‘색채의 마법사’ 마티스! 7번 전시실은 왜 충격이었나? - 티타임즈]]> /article/2024103113537778724 /article/2024103113537778724 Fri, 1 Nov 2024 17:00:02 +0900 장민주 PD


티타임즈 구독자들의 큰 사랑을 받았던 '밤에 듣는 미술관’ 시즌3 현대미술 시리즈를 시작합니다. 현대미술은 언제, 어디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1편은 ‘야수들의 왕’ ‘색채의 마법사’로 불리는 마티스입니다. “그림이 아니라 낙서를 전시했다” “대중들의 얼굴에 물감통을 던졌다”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던 마티스의 그림은 어떻게 현대미술을 열었던 것일까요?


]]>
<![CDATA[왜 AI검색은 현대차 캐스퍼EV 페이지는 건너뛸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03116007726197 /article/2024103116007726197 Thu, 31 Oct 2024 17:30:01 +0900 황정현 PD,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지금 AI검색에 에어컨을 검색하면 삼성에어컨이 먼저 나올까요, 아니면 LG에어컨이 먼저 나올까요? 왜 AI검색은 현대차 캐스퍼EV 홈페이지는 건너뛰고 답변에 반영하지 않을까요?

AI검색에서는 기존의 검색최적화(SEO)가 전혀 작동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키워드가 아니라 질문자의 인텐트(의도)가 더 중요해지기 때문입니다. 미국 소비자 5명중 3명이 AI에 구매결정을 물어보고, 한국의 10~20대가 뤼튼에 구매를 물어보는 검색 AI에이전트가 지배할 시대, 기업 마케팅과 PR은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
<![CDATA[휴머노이드 시대, 우리는 어떤 변화를 겪게 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03017217756766 /article/2024103017217756766 Wed, 30 Oct 2024 17:30:02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황정현 PD, 장민주 PD

휴머노이드가 일상에 등장하면 우리는 어떤 변화를 겪게 될까요? 휴머노이드는 인간과 어떤 관계를 맺게 될까요? 영화에서처럼 인간의 마음과 똒같아지는 날이 올까요? 우리는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김경일 아주대 심리학과 교수, 이준환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이건복 마이크로소프트 상무, 이 세 명 절친의 결론은 “어디에 인간이 꼭 필요한가를 더 잘 느끼게 될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
<![CDATA[“AI전략 없는 대한민국이 위험하다” (박태웅 의장) - 티타임즈]]> /article/2024102916187718863 /article/2024102916187718863 Tue, 29 Oct 2024 17:30:02 +0900 강기훈 PD,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메타가 올해 말까지 엔비디아의 H-100을 35만장 추가로 구매하겠다고 했죠. 한국은 가장 많은 곳이 네이버와 LG입니다. 이 기업들이 몇 장 가지고 있는지 아세요? 한국 통틀어 몇 장인지 아세요?”

한국의 AI경쟁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바로 컴퓨팅 파워, 그러니까 엔비디아의 칩을 얼마나 확보했느냐입니다. 한국의 AI전략의 현주소를 박태웅 의장과 살펴보겠습니다.

]]>
<![CDATA[30년 개발자가 LLM을 사용하는 법 - 티타임즈]]> /article/2024102816177719569 /article/2024102816177719569 Mon, 28 Oct 2024 17:30:02 +0900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기계를 효과적으로 잘 쓰려면 그 기계의 작동원리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LLM도 마찬가지죠. LLM이 작동하는 방식을 알면, LLM의 약점으로 꼽히는 환각현상도 극복할 수 있습니다. 30년 경력의 박종천 개발자는 현재 LLM을 활용한 개발 프로젝트도 이끌고 있는데요, 그가 말하는 LLM 잘쓰는 최고의 방법을 들어보시죠.

]]>
<![CDATA[AI에이전트가 촉발할 새로운 계급 사회 - 티타임즈]]> /article/2024102517577716725 /article/2024102517577716725 Sun, 27 Oct 2024 06:00:02 +0900 황정현 PD,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AI에이전트가 도입되면 인간은 일터와 생활 공간에서 에이전트를 본격적으로 활용하게 될 수 있습니다. 에이전트를 잘 활용하는 사람은 지금껏 자신이 냈던 생산성의 몇 배 이상을 내게 될 수 있죠. 일 잘 하는 사람에게 일이 몰리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일거리 조차 없는 양극화가 촉발될 수 있습니다. 게다가 AI에이전트의 핵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나 국가는 전세계적으로 극소수에 불구하죠. AI에이전트 시대란 무엇이고 어떤 파급력을 갖고 있는지 박태웅 녹서포럼 의장에게 들어봅니다.

]]>
<![CDATA[‘인류의 눈’ 대체하는 178년 된 원조 혁신기업 자이스 이야기 - 티타임즈]]> /article/2024102518287717098 /article/2024102518287717098 Sat, 26 Oct 2024 06:00:01 +0900 이재원 기자,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엄청난 속도로 질주하는 F1 레이싱카 점검, 공기에 흡수될 정도로 미세한 자외선을 이용한 최첨단 반도체 제작, 시력교정술. 이 모든 것들을 가능하게 하는 광학기술 발전을 위해 178년간 노력하고 있는 기업이 있습니다. 바로 독일에서 시작한 글로벌 기업 자이스(ZEISS)입니다.

\

현미경에서 출발해 의료기기, 비전 케어, 반도체, 카메라 렌즈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산업의 눈’이 되고, 나아가서는 다양한 기술로 '인류의 눈'과 같은 역할을 하며 인류 발전을 이끌고 있는 자이스에 대한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
<![CDATA[장애아와 장애아 엄마들의 일자리를 한꺼번에 만든 엄마 대표 - 티타임즈]]> /article/2024102515317799318 /article/2024102515317799318 Fri, 25 Oct 2024 17:00:01 +0900 김영덕 전 디캠프/대표,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대표,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최형균 기자


출산과 육아로 경력이 단절된 여성과 발달장애인, 그리고 그들을 돌보는 부모까지. 모두가 일을 하고 사회에 기여하고 싶지만 마음 놓고 일할 수 있는 곳이 없습니다. 같은 고민을 하던 세 아이의 엄마가 '어쩌다' 만든 베이커리 카페가 이제는 전국의 엄마들이 부러워하는 일터의 롤모델이 됐습니다. 지역에서 지속가능한 일자리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고 있는 소셜벤처 맘쓰랩을 소개합니다.



]]>
<![CDATA[찍어내기에서 맞춤형으로, AI가 메모리 패러다임도 바꾼다 - 티타임즈]]> /article/2024102417127743524 /article/2024102417127743524 Thu, 24 Oct 2024 17:33:57 +0900 이재원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황정현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한국 기업들이 주도하는 메모리 반도체 산업의 경쟁은 상대적으로 단순했습니다. 같은 규격의 반도체를 누가 더 불량 없이 찍어내는지의 싸움이었죠. 하지만 AI 시대가 열리며 이 경쟁의 패러다임도 변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대표적인 게 HBM 경쟁이죠.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와 같은 고객사의 요청에 빠르게 대응하며 맞춤형 메모리를 내놓은 덕에 삼성전자를 제칠 수 있었다는 것이죠. AI가 바꿔놓은 메모리 반도체 경쟁 구도에 대해 김용석 가천대 반도체교육원장에게 들어봅니다.

]]>
<![CDATA[AI시대, 지혜로운 사람은 더 지혜롭고 멍청한 사람은 더 멍청해진다 - 티타임즈]]> /article/2024102316067753226 /article/2024102316067753226 Wed, 23 Oct 2024 17:30:02 +0900 홍재의 기자, 류지인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AI가 봤을 때 인간은 딱 두 종류로 나뉠 것이다. 내가 못하는 일을 하는 인간, 내가 아무 데나 버려도 되는 인간.”(김경일 아주대 심리학과 교수)

”AI 때문에 편향성이 심해질 수도 있지만 오히려 AI가 필터 안에 갇혀 그 세상만 바라보는 ‘필터 버블(Filter Bubble)’을 깨줄 수도 있다. 우연하게 다른 영역을 접하게 만들어서” (이준환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AI에이전트 없이는 못사는 시대가 올 것이다. 인간의 편향성이 커진다면 그건 AI 문제 때문이 아니라 그 사람이 개방성을 못갖추었기 때문이다.” (이건복 마이크로소프트 상무)

AI시대 인간은 어떻게 변화할까요? 김경일‧이준환 교수, 이건복 상무 세 명에게 물어봤습니다. 각자 영역은 다르지만 3명의 고교동창 절친이 합의한 것은 “AI가 아니라 인간이 더 문제”라는 것입니다.

]]>
<![CDATA[[자이텍스2024] 중동의 도시들이 디지털 트윈에 관심 많은 이유 - 티타임즈]]> /article/2024102215587767460 /article/2024102215587767460 Wed, 23 Oct 2024 07:00:01 +0900 최재홍 /교수, 배소진 기자, 장민주 PD


'중동판 CES'라 불리는 GITEX(자이텍스)에서 국내 스타트업과 중소중견기업들이 선전하고 있지만 하나 아쉬움이 남는다면 국내 대기업들의 참여가 미흡하다는 것입니다. 반면 미국과 중국, 일본의 대기업들이 이미 적극적으로 중동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가고 있습니다. 최재홍 교수의 자이텍스 참가 소회를 들어봅니다.



]]>
<![CDATA[아이돌, 무기, 철도 오타쿠~ 일본 신임총리는 어떤 인물인가? - 티타임즈]]> /article/2024102217017793667 /article/2024102217017793667 Tue, 22 Oct 2024 17:30:02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배소진 기자, 강기훈 PD, 황정현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10월1일 일본 신임 총리로 선출된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일본 자민당 내에서 'Mr. 쓴소리'를 자처하는 소수파이자 한일관계에 전향적인 온건파로 알려져 있죠. 물론 철저히 일본의 이익을 따지는 정치 현실주의자의 관점에서 한일 관계 개선을 이야기하는 것이긴 하지만, 한국의 입장에선 기대감을 갖게 합니다. 문제는 비자금 스캔들로 인기가 바닥을 치는 자민당이 조기 총선에서 참패를 당할 위기에 놓였다는 겁니다. 과연 이시바 내각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요?



]]>
<![CDATA['컬리'의 중대 기로, 쿠팡의 길일까? 티메프의 길일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02109477798881 /article/2024102109477798881 Mon, 21 Oct 2024 17:30:02 +0900 홍재의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티메프 사태 이후 가장 주목을 받았던 회사가 컬리입니다. 지난해 코스피 상장 계획을 철회한 이후 투자 시장이 얼어 붙으면서 컬리의 계속되는 적자가 걱정 된다는 의견이 많았죠. 이런 우려 속에서 컬리는 1분기 EBITDA흑자, 2분기 별도기준 흑자를 만들며 향후 연간 흑자를 노려볼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습니다. 이와 관련, 스타트업 업계에서는 컬리의 앞날에 대한 의견이 극명하게 나뉘고 있습니다. 쿠팡의 길을 걷게 될까요? 아니면 티메프 사태로 촉발된 위기에 함께 빠져들게 될까요?

]]>
<![CDATA[물병제조에서 화성거주 시뮬레이션까지! 버추얼 트윈의 위력 - 티타임즈]]> /article/2024101815007743333 /article/2024101815007743333 Sun, 20 Oct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졸졸졸 잘 나오는 물병, 가장 안전한 자동차, 사람 근육까지 고려한 작업장 동선, 여기에다 도시 건설과 화성 거주 프로젝트까지. 안 해보고, 안 만들어 보면 제대로 만들기 힘든 영역입니다.

그런데 이런 것들을 꼭 실물로 만들어봐야 할까요? 가상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물을 제대로 만드는 기술이 바로 버추얼 트윈입니다. 현실을 가상에 담아 더 나은 현실을 창조하는 것이죠. 버추얼 트윈 기술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봅니다.




]]>
<![CDATA[도시를 통째 바꿔버리겠다는 일론 머스크의 비전 - 티타임즈]]> /article/2024101819137720161 /article/2024101819137720161 Sat, 19 Oct 2024 06:00:02 +0900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지난 10월11일(현지시간) 테슬라가 로보택시를 공개하는 ‘We, Robot' 행사가 열렸는데. 버스 비용의 30% 밖에 안되는 로보택시로 도시의 교통을 혁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외에도 로보밴과 옵티머스도 공개했습니다. 참가자들과 대화를 하고 춤추고 어울리기도 했죠. 하지만 행사 이후 주가는 떨어졌는데요. 강정수 박사의 이 행사를 정리합니다.

]]>
<![CDATA[[자이텍스2024] 사막도시의 문제 해결을 위해 스타트업과 손잡는 중동 - 티타임즈]]> /article/2024101815137741025 /article/2024101815137741025 Fri, 18 Oct 2024 17:30:02 +0900 최재홍 /교수, 장민주 PD, 배소진 기자


'중동판 CES'라 불리는 GITEX(자이텍스)는 해마다 규모와 참가인원이 크게 늘고 있습니다. 두바이라는 도시, 나아가 아랍에미리트라는 국가 차원에서 GITEX를 미래 먹거리 기술과 스타트업을 발굴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중동은 사막도시가 처한 문제들을 스타트업을 통해 어떻게 해결하려는 것일까요?



]]>
<![CDATA[인간의 기억을 조작하고 사고 팔 수 있다면? (김상균 교수) - 티타임즈]]> /article/2024101716587751302 /article/2024101716587751302 Thu, 17 Oct 2024 17:30:01 +0900 이사민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강기훈 PD


이게 꿈인지, 현실인지도 모르고 행복하게 죽을 수 있다면? 소위 '조작몽 안락사'입니다. 죽어가는 사람의 꿈을 컴퓨터와 동기화해 행복한 경험을 하면서 죽도록 하는 것이죠.

기억과 꿈을 조작하고 사고파는 것이 불가능한 이야기이기만 할까요? SF 소설 ‘기억의 낙원’을 출간한 김상균 경희대 교수의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
<![CDATA[[자이텍스2024] 중동의 뜨거운 러브콜 받은 한국 기업들 - 티타임즈]]> /article/2024101617597761623 /article/2024101617597761623 Thu, 17 Oct 2024 08:00:02 +0900 최재홍 /교수, 김미자 /대표, 배소진 기자, 장민주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중동판 CES'라 불리는 GITEX(자이텍스)에 국내 유망 중소기업과 스타트업들이 참가했습니다. 최재홍 교수와 김미자 대표가 자율주행 순찰로봇, AR 글래스, AI휴먼과 AI헬스케어, 드론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한국기업들을 둘러봤습니다.



]]>
<![CDATA[자이텍스2024! 중동이 가장 관심을 가지는 기술은? - 티타임즈]]> /article/2024101518467729839 /article/2024101518467729839 Wed, 16 Oct 2024 08:00:01 +0900 장민주 PD, 최재홍 /교수, 배소진 기자


'중동판 CES'라 불리는 GITEX(자이텍스) 2024를 보면 중동이 어떤 기술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바로 스마트시티와 스마트시티를 구현하는 데 필요한 기반 기술인 AI, iOT, 클라우드, 재생에너지 등입니다. 최재홍 교수와 함께 GITEX(자이텍스) 2024를 둘러보시죠.



]]>
<![CDATA[AI시대, AI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인간이 어떤 인간이 되느냐이다 - 티타임즈]]> /article/2024101517407714142 /article/2024101517407714142 Tue, 15 Oct 2024 17:40:32 +0900 홍재의 기자, 류지인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황정현 PD

“AI가 창의적인지 알아보려면 인간이 창의적이어야 한다. 그래서 AI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보다 중요한 것은 점점 인간이 어떤 인간이 되느냐이다.” (김경일 아주대 심리학과 교수)


“전문성이라는 것에 대한 재정의가 필요하다. 인간의 예외성, 독창성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해야 한다.”(이건복 마이크로소프트 상무)


“고도의 스킬이 요구되는 일은 AI가 가져갈 것이다. 사람의 전문성을 찾아야 한다. AI에게 어려운 빈틈을 찾는 것이 인간의 몫이다.” (이준환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AI시대 전문직은 어떻게 무너질까요? 과연 전문성이라는 것은 무엇이 될까요? 김경일‧이준환 교수, 이건복 상무 세 명에게 물어봤습니다. 각자 영역은 다르지만 3명의 고교동창 절친이 합의한 것은 바로 ‘이거 뭔가 좀 이상하지 않아요?’ 이런 말을 해내는 게 인간의 전문성이라는 것입니다.

]]>
<![CDATA['중동판 CES' GITEX 2024 분위기가 궁금하다면? - 티타임즈]]> /article/2024101418327728560 /article/2024101418327728560 Tue, 15 Oct 2024 07:00:02 +0900 최재홍 가천대/교수, 김미자 더웰컴/대표, 장민주 PD, 배소진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중동판 CES'라 불리는 GITEX(자이텍스)를 들어보셨나요? CES, MWC처럼 국내에 잘 알려져 있는 행사는 아니지만 중동·아프리크 지역 최대 IT 전시회로, 39년의 역사를 자랑합니다. 특히 GITEX의 스타트업 특화 전시인 'Expand North Star'에는 국내 기관들이 우리 기업의 중동 진출을 돕기 위해 한국관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두바이 첫 출장! 최재홍 교수와 김미자 대표가 다녀왔습니다.



]]>
<![CDATA[포탈과 같은 마스터 AI에이전트, 어떤 회사가 차지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01417337778305 /article/2024101417337778305 Mon, 14 Oct 2024 17:33:03 +0900 황정현 PD,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온디바이스AI에서 돌아가는 sLM(스몰LLM), 클라우드에서 돌아가는 LLM. 그리고 애플 인텔리전스를 탑재한 '시리'와 같은 마스터 AI에이전트, 각 서비스에 탑재될 버티컬 AI에이전트까지. 이제 인간을 보조할 AI에이전트 탄생이 눈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그렇다면 AI에이전트 시장은 누가 지배할까요? 또 하나 이슈가 있습니다. 바로 AI에이전트가 더 쉽고 편하게 구동될 수 있는 새로운 인터페이스입니다. 스마트폰 보다 더 편리하게 AI에이전트를 구동할 수 있는 새로운 기기의 탄생이 눈 앞으로 다가온 이유입니다.

]]>
<![CDATA[8명짜리 이 스타트업이 800명분 일을 할 수 있는 비결 - 티타임즈]]> /article/2024101118437721289 /article/2024101118437721289 Sun, 13 Oct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황정현 PD

개발자들에게 AI시대는 어떤 의미일까요? 8명의 팀원으로 800명분 일을 하고 있다는 AI스타트업 원지랩스의 곽근봉 대표의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이제 사람을 늘리는 것은 가장 마지막에 해야 할 일이다. 10년전 개발자 1명이 하던 것과 지금 1명이 하는 것, 앞으로 1명이 할 것은 100배의 차이가 있다. 10명 이내 규모의 유니콘이 나올 때가 됐다.”


그렇다면 개발자들은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까요? “배우처럼 수많은 프로젝트에 들어갈 수 있어야 하고, 어떤 프로젝트에서도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될 수 있어야 합니다. 배우가 되어야 하는 것이죠.”

]]>
<![CDATA[설계 도면은 가라! 왜 디지털 트윈을 넘어 버추얼 트윈인가? - 티타임즈]]> /article/2024101113557727293 /article/2024101113557727293 Sat, 12 Oct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스마트폰의 전자파, 배터리의 발열량. 설계 단계에서는 치밀하게 고려돼야 할 요소입니다. 플랜트나 구조물을 지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고려해야 할 요소들은 수만가지지만 시험 운행을 하기 전까지는 완벽히 예상하기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다쏘시스템과 보잉이 함께 개발한 보잉 777은 100% 디지털 방식으로 설계됐습니다. 실물 모형 없이 버추얼 트윈으로 설계가 가능했죠. AI와 결합하면서 점점 더 현실을 넘어선 현실을 구현하고 있는 버추얼 트윈 기술. 어디에 어떻게 쓰일 수 있는지 알아봅니다.


]]>
<![CDATA[[전문가 강의 프로젝트] 개방형과 폐쇄형, 어떤 플랫폼이 정답일까? - 티타임즈]]> /article/2024101016267759100 /article/2024101016267759100 Thu, 10 Oct 2024 17:30:02 +0900 최재홍 교수, 장민주 PD


최재홍 교수와 함께 읽는 ‘플랫폼 레볼루션’ 8편입니다. 플랫폼이 성공하려면 개방적이어야 할까요? 아니면 폐쇄적이어야 할까요? 정답은 없습니다. 애플은 안드로이드보다 더 폐쇄적이지만 세계에서 가장 성공한 플랫폼중 하나입니다. 중요한 것은 플랫폼의 성격에 따라 개방성과 폐쇄성 사이에서 최적점을 찾는 것이죠. 그 최적의 균형은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
<![CDATA[SW와 HW, 가르마 잘 타는 기업이 AI 반도체 지배한다 - 티타임즈]]> /article/2024100818197739923 /article/2024100818197739923 Wed, 9 Oct 2024 06:00:01 +0900 이재원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황정현 PD, 박성수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인공지능 시대, 더욱 치열해진 분야가 인공지능 반도체 경쟁입니다. 그럼 이 AI 반도체 경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요소는 무엇일까요? 바로 칩 설계 단계에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에 일을 분배하는 '아키텍처'를 결정하는 일이라고 합니다. 이걸 어떻게 절묘하게 나누냐에 따라 전체 AI 시스템의 성능이 결정된다는 얘기죠. 그래서 AI 반도체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이 아키텍처를 결정하는 엔지니어인 시스템 아키텍트의 양성이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AI 반도체 경쟁에 대한 이야기를 김용석 가천대 반도체교육원장에게 들어봅니다.

]]>
<![CDATA[돈 먹는 하마 된 AI, AI에이전트에 목숨거는 이유 - 티타임즈]]> /article/2024100717547742269 /article/2024100717547742269 Mon, 7 Oct 2024 17:54:08 +0900 황정현 기자,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지난 2년간 AI업계는 인프라 투자에 대규모 자금을 투입했습니다. AI거품론이 나오는 이유죠. 이제는 돈 되는 서비스가 나와야 할 시기입니다. 그래야만 AI생태계를 지탱할 수 있습니다.

AI를 활용한 서비스로 가장 눈여겨 봐야 할 분야는 무엇이 있을까요? 사용자가 말만 하면 알아서 실행해주는 AI에이전트, 기존 검색과 달리 궁금한 부분에 있어 답을 제공해 줄 수 있는 AI검색은 과거와 차별화 되는 서비스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김지현 부사장고 함께 2025년 눈여겨 봐야 할 AI트렌드 중 가장 중요한 분야인 AI에이전트와 AI검색 시장을 살펴봅니다.

]]>
<![CDATA[50년전 K-아버지들의 고속도로, 중동이 한국을 주목하는 이유 - 티타임즈]]> /article/2024100417417777047 /article/2024100417417777047 Sat, 5 Oct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배소진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최근 다시 한 번 중동 진출 붐이 불고 있는 것은 중동 국가들도 한국을 주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석유 한 방울 나지 않는 나라가 어떻게 지금과 같은 성장을 이룰 수 있었는지 노하우를 전수받고 싶어 하는 것이죠.

그 배경이 되는 중동과 미국, 중국의 지정학적 변화에서부터 사우디가 왜 '네옴'에 목숨을 걸 수밖에 없는지, 어떤 비즈니스로 중동의 문을 두드려야 할 지 것이 25년 중동 경험을 쌓아온 이나경 SK 부사장이 알려드립니다.




]]>
<![CDATA[OpenAI o1! AI 에이전트 혁명의 신호탄이 발사됐다 - 티타임즈]]> /article/2024100300487774562 /article/2024100300487774562 Thu, 3 Oct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최형균 기자, 장민주 PD,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얼마 전 오픈AI가 야심차게 내놓은 OpenAI o1. 기존의 생성형AI 서비스보다 답변 속도도 느리고, 요약 정리에는 약하지만, 내놓는 답의 품질은 훨씬 높다고 합니다. 단계별로 사고하는 인간의 논리를 구현했기 때문인데요. 이런 혁신이 이제 막 시작한 AI 에이전트 혁명의 마중물이 될 것이라는 평가입니다.


질문에 답변만 잘 하는 모델에서, 목표 달성을 위해 논리적 사고를 하는 모델로의 진화가 AI 에이전트 서비스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을 가져올 것이란 예측인데요. OpenAI o1 출시의 AI 산업적 의미와 AI 에이전트와의 연관관계에 대해 강정수 박사에게 들어봅니다.

]]>
<![CDATA[AI 버블? 미래? 판단하려면 ML부터 알아야 하는 이유 - 티타임즈]]> /article/2024100218057787836 /article/2024100218057787836 Wed, 2 Oct 2024 18:05:17 +0900 박성수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머신러닝은 LLM(거대언어모델)의 근간입니다. 그리고 여전히 쓰이는 기술이기도 하죠. LLM이 아닌 머신러닝으로 처리해야 되는 일도 많습니다. 그럼에도 크게 주목 받지 못하는 이유는 일반인이 이해하기에 너무 어려운 기술이기 때문이죠. 그래서 알아야 합니다. 30년 경력의 박종천 개발자가 설명해주는 머신러닝과 AI. 이걸 알아야 AI의 미래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
<![CDATA[AI로 돈 번 노하우 공유해드립니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93019117739624 /article/2024093019117739624 Tue, 1 Oct 2024 06:00:02 +0900 최형균 기자, 류지인 영상디자이너, 홍재의 기자, 황정현 기자, 박성수 PD

생성AI를 활용한 서비스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이라 예상되지만, 막상 현 시점에 생성AI로 돈을 벌고 있는 서비스는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생성AI를 활용해 B2C, B2B, 컨설팅 사업까지 펼쳐나가고 있는 원지랩스의 성공적인 행보가 주목 받고 있습니다.

잠금화면 포인트 플랫폼 ‘캐시슬라이드’를 운영하고 있는 엔비티 CTO 출신인 곽근봉 원지랩스 대표는 혁신적인 기술을 발견하면 그에 맞는 비즈니스 모델을 설계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만들고 있다고 하는데요, 원지랩스의 성공 방정식을 소개해드립니다.

]]>
<![CDATA[중동 비즈니스 하려면, 기억해야 할 딱 한 가지 - 티타임즈]]> /article/2024093017327779667 /article/2024093017327779667 Mon, 30 Sep 2024 17:32:20 +0900 배소진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중동 비즈니스를 하려면 꼭 기억해야 하는 한 문장이 있습니다. "되는 일도 없고, 안 되는 일도 없다"는 말인데요, 극한의 환경에서 부족 사회의 형태로 오랫동안 생활해 온 그들의 문화를 알아야 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많은 비즈니스 파트너들이 이슬람인들의 환대에 감동하고, 막상 비즈니스 성과로 이어지지 않는 것에 분노합니다. 그래서 이슬람인들은 믿을 수 없다는 이야기도 종종 하는데요, 감동을 받는 것도 실망을 하는 것도 모두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지 못하는 데서 비롯된 다는 것이 25년 중동 경험을 쌓아온 이나경 SK 부사장의 설명입니다.

무슬림들과 함께해 온 이나경 부사장의 생생한 경험, 이나경의 아라비안나이트가 펼쳐집니다.

]]>
<![CDATA["AI 트렌드를 모르고 내년 사업계획을 논하지 마라." - 티타임즈]]> /article/2024092716527712456 /article/2024092716527712456 Sun, 29 Sep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박성수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장민주 PD


”AI 트렌드를 모르고 내년 사업계획을 논하지 마라.“

티타임즈가 준비한 ‘2025 AI 트렌드 10강’ 학습프로그램! 1강을 공개합니다. ‘1강. 키워드 5가지 – LMM, LAM, 온디바이스AI, AI에이전트, 임바디드AI’를 보시고 내년 AI 트렌드의 전체 그림을 그려보시죠.

키워드로 보는 AI트렌드 조감도 - LMM, LAM, 온디바이스AI, AI에이전트, 임바디드AI


]]>
<![CDATA[네이버, 구글은 버틸 수 있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92718117782219 /article/2024092718117782219 Sat, 28 Sep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빙챗'은 잊으세요. 진짜 AI검색이 몰려옵니다. 퍼플렉시티AI가 점점 고도화되면서 유사한 서비스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퍼플렉시티AI는 사용자가 검색을 하면, 키워드에 어울리는 웹페이지를 추천해주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정답을 제공해주는 일명 '앤서(answer) 엔진'을 지향합니다.


이뿐 아닙니다. 지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로컬 AI검색 서비스도 등장하고, AI와 쇼핑을 결합한 검색 및 추천 서비스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검색의 세분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인데요, 포털 사이트를 표방하며 모든 검색의 '왕' 자리를 차지했던 네이버나 구글의 입지가 이제는 정말 흔들릴지도 모릅니다.


과연 어떤 서비스가 구글과 네이버를 위협하고 있고, 이들의 반란은 어느 정도 유효할까요? 그리고 네이버, 구글의 대비책은 과연 있는 것일까요?




]]>
<![CDATA[[전문가 강의 프로젝트] 플랫폼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돈을 받아야 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92716197736216 /article/2024092716197736216 Fri, 27 Sep 2024 17:30:02 +0900 최재홍 교수, 장민주 PD


“방문자 많다고 돈 버는 것 아니다” 플랫폼의 수익창출 4가지 전략

<기사, 페북> 최재홍 교수와 함께 읽는 ‘플랫폼 레볼루션’ 7편입니다. 과연 플랫폼은 언제 어디서 어떻게 돈을 벌어야 할까요? 생산자, 소비자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곳이 플랫폼이라면 누구로부터 어느 단계에서 수수료를 받아야 할까요? 방문자 수가 많으면,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면 수익이 절로 따라올까요? 이번 편에서는 플랫폼의 수익창출 전략에 대해 살펴봅니다.


]]>
<![CDATA[중동 진출? 다 같은 중동이 아니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92617337780207 /article/2024092617337780207 Thu, 26 Sep 2024 17:33:26 +0900 이재원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황정현 PD

산유국, 부자나라, 왕족. 많은 이들이 중동에 대해 갖고 계신 생각일텐데요. 이 모든 것들이 어쩌면 편견일 수도 있습니다. 중동이라고 해서 모두 오일머니를 펑펑 쓰는 건 아니라는 얘기죠. 각 국가별로 전략적으로 산업을 육성하고 투자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우리가 뭉뚱그려 중동이라고 부르는 이 곳에는 어떤 나라들이 있는지, 어떤 특징이 있는지, 그리고 이들과 비즈니스를 하기 위해서는 뭘 알아야 하는지 현지에서 벤처투자자로 활동하고 있는 신유근 쇼룩파트너스 대표에게 들어봅니다.

]]>
<![CDATA[말 못하는 반려동물의 연명치료와 장기이식, 바람직한가? - 티타임즈]]> /article/2024092317387768936 /article/2024092317387768936 Mon, 23 Sep 2024 17:38:42 +0900 김동규 PADO/편집장, 김수빈 PADO/에디터, 이사민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강기훈 PD, 박성수 PD


수의학이 발전하면서 예전에는 상상도 못했던 윤리적인 문제가 생기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반려동물 장기이식과 연명치료입니다. 고양이는 신부전증이 많은데 다른 고양이의 신장을 이식하면 오래 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기증 동의를 구할 수 없는 고양이의 장기 적출은 윤리적인가요? 또한, 연명치료는 고통을 연장하는 것인데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없는 반려동물에 대한 연명치료는 윤리적인 것일까요?

]]>
<![CDATA[플랫폼이 성공할 수 있는 8가지 전략 - 티타임즈]]> /article/2024092012027751583 /article/2024092012027751583 Sat, 21 Sep 2024 06:00:02 +0900 최재홍 교수, 이재원 기자, 장민주 PD


최재홍 교수와 함께 읽는 ‘플랫폼 레볼루션’ 6편입니다. 플랫폼이 고객을 확보해서 성공하려면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요? 8가지 유형별 전략을 소개합니다. 토끼 따라하기, 업혀가기, 씨뿌리기, 유명브랜드 이용하기, 단면 우선전략, 생산자 주도 전파, 빅뱅전략, 마이크로 마켓전략입니다.

]]>
<![CDATA[“전쟁이 싫은 이란. 문제는 네타냐후” (임성수 칼빈대 교수) - 티타임즈]]> /article/2024091918047786625 /article/2024091918047786625 Thu, 19 Sep 2024 18:06:44 +0900 홍재의 기자, 배소진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박성수 PD


“지금 중동의 정세는 종교적 관점이 아니라 경제적 관점으로 봐야 이해가 됩니다.” 사우디는 왜 네옴시티를 대대적으로 마케팅했고 지금은 왜 주춤하고 있을까요? 이란-하마스-헤즈볼라와 이스라엘의 전쟁은 어떻게 봐야 할까요? 중동 전문가인 임성수 칼빈대 교수는 “네옴시티가 주춤한 것은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기술 문제 때문”이라고 합니다. 태양광을 이용한 해수 담수화 성공 여부가 핵심이라는 것이죠. 오히려 네옴시티보다 관광 프로젝트인 마그나 프로젝트에 주목해야 한다고도 말합니다. 임 교수는 또 “이란은 전쟁이 싫다. 문제는 네타냐후이다”라고 강조합니다.



]]>
<![CDATA[AI로 어떻게 돈 벌지? 메타가 깨우쳤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91312057796129 /article/2024091312057796129 Wed, 18 Sep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최형균 기자, 장민주 PD

메타의 주수익원은 온라인 광고입니다. 생성형 AI를 광고에 적용해 지난 2분기 광고 매출이 22%나 증가했죠. 메타는 생성형AI를 고도화 할 수 있는 데이터도 많고 활용처도 많습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에서 쏟아지는 실시간 고객 데이터가 생성AI의 자양분이 되는 것과 동시에 이 서비스의 사용자들이 메타 AI서비스의 고객이 될 수 있습니다. 개발하는 데 많은 비용이 들었을 LLM '라마'를 오픈소스로 공개할 수 있었던 것도 바로 이 자신감에서 비롯되는 것이죠. 30년 개발자의 기업분석 시리즈 이번 시간에는 주요 AI기업인 메타와 구글, 엔비디아의 경쟁력에 대해 살펴봅니다.




]]>
<![CDATA[[전문가 강의 프로젝트] 플랫폼이 전통산업을 정복한 3가지 방법 - 티타임즈]]> /article/2024091216047793684 /article/2024091216047793684 Tue, 17 Sep 2024 06:00:02 +0900 최재홍 교수, 이재원 기자, 장민주 PD


최재홍 교수와 함께 읽는 ‘플랫폼 레볼루션’ 5편입니다. 혁신적인 플랫폼은 어떻게 전통산업의 사업모델을 무너뜨렸을까요? 그 3가지 지점인 자산분리, 재중개화, 시장통합에 대해 알아봅니다.


]]>
<![CDATA[다시 낙타를 탈 수는 없다! 중동의 탈석유시대 전략은? - 티타임즈]]> /article/2024091312417725415 /article/2024091312417725415 Mon, 16 Sep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배소진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내 선조는 낙타를 탔지만 나는 람보르기니를 타고 있고, 내 아들의 아들까지는 랜드로버를 탈 것 같다. 그런데 그의 자식은 낙타를 다시 탈 것 같다." 현 두바이 국왕의 아버지 셰이크 라시드 국왕이 한 말입니다. ”사우디는 석유중독을 끊겠다.“ 이것은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의 말입니다.


이 발언들은 고갈될 석유 이후의 시대를 준비해야하는 중동 국가들의 위기의식을 잘 드러내고 있습니다.. 임성수 칼빈대 정치경제학과 교수로부터 경제다각화에 나선 UAE, 카타르, 사우디의 전략을 들어봅니다. 과연 한국은 여기서 어떤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까요?

]]>
<![CDATA[“퍼플렉시티의 광고모델은 구글 검색광고와 차원이 다르다” (퍼플렉시티 CEO) - 티타임즈]]> /article/2024091500377780106 /article/2024091500377780106 Sun, 15 Sep 2024 06:00:01 +0900 이사민 기자,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박성수 PD


“우리도 돈 벌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의 광고는 구글 검색광고와 다르다. 구글이 스폰서 링크를 보여주는 방식이라면 우리는 후속질문 광고모델이다. 하지만 이 역시 질문만 광고일뿐 답변에는 편향이 없다.”

구글 검색엔진을 대체할 AI 검색엔진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퍼플렉시티는 어떻게 돈을 벌려는 걸까요? 장기적으로 답변엔진을 어떻게 진화를 시키려는 것일까요? 퍼플렉시티 CEO 아라빈드 스리나바스에게 들어봅니다.

]]>
<![CDATA[몸집 줄이는 카카오. 엔터, AI, 솔루션...뭣이 중헌가? - 티타임즈]]> /article/2024091316297725335 /article/2024091316297725335 Sat, 14 Sep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그동안 문어발 경영이라 비판받아 온 카카오가 본격적인 몸집 줄이기에 나섰습니다. 당장 140개가 넘던 계열사 중 스무개 이상을 정리한다고 하는데요, 중복되는 사업이나 경쟁력 없는 분야를 정리해 선택과 집중을 하겠다는 계획입니다.

하지만, 원하는 인수대금을 치를 매수자를 찾는 것도 쉽지 않고 통매각이냐 분할매각이냐, 어느 부문을 정리할 것이냐 등 앞으로 가야할 길이 첩첩산중입니다. 그 와중에 김범수 창업자는 구속된 상태로 재판을 받고 있죠. 카카오는 선택과 집중의 묘를 발휘해 위기를 벗어날 수 있을까요? 어떤 분야가 정리대상이고, 앞으로의 카카오는 어떤 분야에 집중하게 될까요?



]]>
<![CDATA[퍼플렉시티 CEO가 말하는 AI검색 최적화 방법은? (퍼플렉시티 CEO 아라빈드 스리니바스) - 티타임즈]]> /article/2024091217327763487 /article/2024091217327763487 Thu, 12 Sep 2024 17:32:28 +0900 이사민 기자, 류지인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박성수 PD


구글의 검색엔진을 대체할 것이라며 IT업계에서 엄청난 주목을 받고 있는 AI 답변엔진(answer engine) 퍼플렉시티(Perplexity). 퍼플렉시티는 어떻게 웹문서들을 크롤링해서 최적의 답을 요약해줄까요? 퍼플렉시티의 AI검색에 인용이 되려면 기업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아라빈드 스리니바스(Aravind Srinivas) 퍼플렉시티 CEO에게 직접 들어봅니다.

]]>
<![CDATA[[전문가 강의 프로젝트] 성공한 플랫폼과 실패한 플랫폼의 설계의 차이는? - 티타임즈]]> /article/2024091015567739216 /article/2024091015567739216 Tue, 10 Sep 2024 17:30:01 +0900 최재홍 교수, 이재원 기자, 장민주 PD


최재홍 교수와 함께 읽는 ‘플랫폼 레볼루션’ 4편입니다. 플랫폼의 기본속성이 ‘끌어오고 촉진하고 매칭’을 해서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것이라고 할 때 이를 위해 어떻게 플랫폼을 설계해야 할까요? 어떻게 해야 가치의 선순환을 만들고 상호작용의 장벽을 없앨 수 있을까요? 이 과정에서 플래포머는 알고리즘을 어떻게 짜야 할까요?



]]>
<![CDATA[여우 같은 MS, 곰 같은 아마존, AI시대 승자는? - 티타임즈]]> /article/2024090917407722779 /article/2024090917407722779 Mon, 9 Sep 2024 17:40:42 +0900 박성수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최형균 기자,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AI버블론이 대두된 이후 빅테크 회사들의 주가가 곤두박질쳤습니다. AI가 정말 눈 앞으로 다가온 기술일지 아니면 더욱 숙성되어야 하는 기술일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합니다. 관건은 생성AI 기술로 돈을 벌 수 있느냐의 여부일텐데요, 이번 시간에는 생성AI를 통해 수익화를 하고 있는 대표적인 기업들을 점검해 봅니다. 검색 시장에서 혁명을 일으키고 있는 퍼플렉시티, 일하는 방식의 혁신을 통해 돈을 벌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생성AI 개발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해 수익을 올리고 있는 아마존이 그 주인공입니다.

]]>
<![CDATA[트럼프 당선되면 테슬라 제2의 황금기가 온다? (강정수 박사) - 티타임즈]]> /article/2024090418097721530 /article/2024090418097721530 Sun, 8 Sep 2024 06:00:02 +0900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최형균 기자,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박성수 PD

일론 머스크는 왜 트럼프를 지지할까요? 트럼프의 공약대로 전기차 보조금을 폐지하는 것이 가격경쟁력을 높여 테슬라에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바로 과거 맨해튼 프로젝트처럼 미국의 AI 기술을 압도적으로 높이겠다는 트럼프의 정책 때문입니다. 테슬라의 2기 성장곡선의 변곡점은 사람이 운전대에서 눈을 떼도 되는 비감독하에서의 FSD(완전자율주행)의 현실화 시점입니다. 정부의 허가가 나고 상업화에 성공한다면 테슬라의 주가는 다시 황금기를 맞을 거라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AI 매출이 자동차 매출만큼 잡히는 시작점이 될 것입니다. 강정수 박사와 향후 1~2년 테슬라의 주요 변곡점들을 살펴보시죠.

]]>
<![CDATA[이코노미스트지는 왜 한국 핵무장론을 꺼냈나?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4090705597756042 /article/2024090705597756042 Sat, 7 Sep 2024 06:00:02 +0900 김동규 PADO/편집장, 김수빈 PADO/에디터,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이사민 기자, 박성수 PD, 강기훈 PD


그동안 터부시 되었던 한국의 핵무장 이슈가 공공연히 논의되고 있고 급기야 이코노미스트가 최근 한국 핵무장 문제를 깊이 있게 다뤘습니다. 동맹국에 대한 방위비 부담을 줄이고 중국 견제가 필요한 미국의 내심이 반영됐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이미 한국은 핵무기 개발은 위한 기술을 갖추고 있습니다. 정말 한국이 핵무장을 할 수 있는 전제조건은 무엇일까요?

]]>
<![CDATA[회사서 영어 이름? 예고된 실패였다 (이중학 교수) - 티타임즈]]> /article/2024090517217778200 /article/2024090517217778200 Thu, 5 Sep 2024 17:30:01 +0900 이사민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회사에서 영어 이름 부르면 수평적인 문화가 된다고요? 실패는 예정된 결론이었습니다. 기본적인 관계가 수직적인데 영어 이름을 부른다고 바뀌지 않아요. 실리콘밸리 문화가 수평적이라고요? 실상을 모르는 이야기입니다.” 최근 카카오게임즈가 카카오 계열사에서 처음으로 영어 이름 부르는 것을 없애기로 했습니다. 대신 다른 기업처럼 00님이라고 부르기로 했죠.

.

과연 진정한 수평적 문화는 어떻게 만들어질 수 있을까요? AI까지 직원으로 들어오게 되면 리더들의 리더십은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요? 이중학 가천대 경영학부 교수에게 들어봅니다.

]]>
<![CDATA[AI 에이전트 경쟁의 새로운 흐름이 시작됐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90417297754388 /article/2024090417297754388 Wed, 4 Sep 2024 17:29:02 +0900 이재원 기자, 류지인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AI 챗봇 이후 가장 주목받는 생성형 AI 서비스인 AI 에이전트. 인간의 개입 없이도 반복 학습과 시도를 통해 목표를 달성하는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를 전문으로 하는 스타트업은 물론 빅테크들도 뛰어들고 있죠. 그런데 이를 바라보는 또다른 관점이 있습니다. 바로 AI 에이전트를 인간 뇌의 확장, 의식의 확장으로 접근하는 것이죠. 장기 기억과 자연어 처리 기능을 활용해 나를 더 깊이 이해하고, 더 깊이 대신할 수 있는 확장된 자아로서 AI 에이전트를 사용한다는 계획입니다.

]]>
<![CDATA[[전문가 강의 프로젝트] 네트워크 이펙트! 플랫폼의 힘은 양면 상호작용에 있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90313167768476 /article/2024090313167768476 Tue, 3 Sep 2024 17:30:02 +0900 최재홍 교수, 이재원 기자, 장민주 PD


최재홍 교수와 함께 읽는 ‘플랫폼 레볼루션’ 3편입니다. 에어비앤비, 우버와 같은 플랫폼은 어떻게 거대회사들을 무너뜨릴 수 있었을까요? 비밀은 바로 네트워크 이펙트입니다. 플랫폼에 들어온 공급자와 수요자들 사이의 상호작용 때문입니다. 플랫폼 기획자들은 어떻게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을까요?


]]>
<![CDATA[요즘 회사원들이 워라밸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는? (이중학 교수) - 티타임즈]]> /article/2024090216477757046 /article/2024090216477757046 Mon, 2 Sep 2024 17:30:02 +0900 이사민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요즘 회사원들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는 무엇일까요? 연봉? 승진의 기회? 아니면 복지? 물론 중요합니다. 하지만 최근의 데이터를 분석해보면 의외의 결과입니다. 돈, 복지, 승진보다 회사원들이 더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가 있습니다. 이중학 가천대 경영학부 교수에게 들어봅니다.

]]>
<![CDATA[전기차는 정말 캐즘에 빠진 걸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83018027760644 /article/2024083018027760644 Sun, 1 Sep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중국, 유럽, 미국의 전기차 시장을 캐즘에 빠졌다고 할 수 있을까? 어불성설이다. 오히려 토요타가 몰락의 길을 걷고 있다. 토요타를 보면 끝까지 피처폰을 놓치 않았던 노키아하고 모토롤라 생각밖에 안난다. 토요타는 역사적으로 교과서의 사례로 남을 것이다.” 최근 ‘테슬라-폭발적 성장 시나리오’ 책을 발간한 강정수 박사로부터 전기차 케즘 논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들어봅니다.

]]>
<![CDATA[4045만명 정보유출, 카카오페이는 왜? 중국에 고객정보를 넘겼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83018047759405 /article/2024083018047759405 Sat, 31 Aug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황정현 PD

얼마 전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카카오페이 가입자 4,045만명의 개인정보가 명확한 동의 없이 중국 알리페이쪽으로 흘러들어갔다는 소식이었죠. 해킹이냐고요? 아닙니다. 카카오페이측에서 자발적으로 넘겨준 것인데요, 이 때문에 더 의문이 갑니다. 카카오페이와 금감원의 입장이 사뭇 다릅니다. 과연 누구의 주장이 더 신빙성 있을까요?



]]>
<![CDATA[30년 개발자는 AI버블론을 어떻게 볼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82917227764510 /article/2024082917227764510 Thu, 29 Aug 2024 17:30:02 +0900 황정현 PD,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최근 AI버블론이 대두하고 있습니다. 투자에 비해 수익모델이 없다는 것이죠. 실제 LLM으로 개발하고 있고, 많은 기업에 컨설팅을 하고 있는 30년 개발자 박종천님은 AI거품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들어봅니다. 오픈AI의 서치GPT가 콘텐츠 시장, 검색시장을 어떻게 바꿀지도 들어봅니다.



]]>
<![CDATA[[전문가 강의 프로젝트] 플랫폼 기업은 어떻게 파이프라인 기업을 대체했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82813037795447 /article/2024082813037795447 Wed, 28 Aug 2024 20:00:02 +0900 최재홍 교수, 이재원 기자, 장민주 PD


최재홍 교수와 함께 읽는 ‘플랫폼 레볼루션’ 2편입니다. 땅 한 평, 방 한 칸 없는 에어비앤비는 어떻게 호텔을 이길 수 있었을까요? 택시 한 대 없던 우버는 어떻게 택시회사를 이길 수 있었을까요? 소유하지도, 통제하지 않는 플랫폼 기업은 어떻게 파이프라인 회사보다 더 큰 가치를 가질 수 있게 된 것일까요? 플랫폼이 어떻게 기존의 가치사슬을 끊어내었는지 지난 편에 이어 계속해서 살펴봅니다.


]]>
<![CDATA[한국 스타트업의 일본 진출, 앞으로 2~3년이 기회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82715107716998 /article/2024082715107716998 Tue, 27 Aug 2024 17:30:01 +0900 김영덕 전 디캠프/대표, 장민주 PD,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일본에서 성공한 뒤 미국, 유럽으로 진출하는 경로를 추천합니다.” 일본은 한국보다 경제 규모가 2.5배 큰 반면 디지털 전환이 느리죠. 국내 스타트업들에겐 그만큼 기회가 있다는 얘기입니다. 일본에 가장 큰 VC로 꼽히는 글로벌브레인의 한국 대표를 맡고 있는 이경훈 대표로부터 왜 일본인지, 일본에 진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들어봅니다.

]]>
<![CDATA[오픈AI 공동창업자들은 왜 자꾸 회사를 떠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82615517761801 /article/2024082615517761801 Mon, 26 Aug 2024 17:30:02 +0900 배소진 기자, 류지인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GPT-5 출시를 앞둔 오픈AI에서 최근 또 한 명의 공동창업자가 회사를 떠났습니다. 존 슐먼이 경쟁사 앤트로픽으로 이직하며 이제 남은 공동 창업자는 11명 중 3명, 여기에 그렉 브록먼도 장기 휴직에 들어가며 리더십에 구멍이 생기고 있습니다. 빅테크에 종속되지 않는 AGI(인공일반지능) 개발을 위해 의기투합했던 이들은 왜 회사를 떠나고 있는 것일까요?



]]>
<![CDATA[AI거품론 직격타 맞은 회사들, 어떻게 대응하고 있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82318237796915 /article/2024082318237796915 Sun, 25 Aug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AI거품론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거대언어모델을 학습시키고, 사용하기 위해서 너무 많은 비용이 소모되기 때문인데요, 막대한 투자금이 들어간 반면 수익은 아직 미미한 편입니다. 그러다 보니 훌륭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스타트업들도 끊임없이 자금을 조달해야 되거나 공중분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같은 위기를 타파하기 위해 빅테크에서는 경량화된 값싼 모델을 쏟아내고 있는데요, 앞으로는 누가 더 성능을 떨어트리지 않으면서 더 싼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느냐의 싸움에 돌입할 것 같습니다. 오픈AI, 구글, 앤스로픽, 메타 등 이 전쟁에서 승리할 회사는 누가 될까요?



]]>
<![CDATA[네오포퓰리즘의 도래! 미 공화당과 민주당의 정책이 붙어버렸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82316437732338 /article/2024082316437732338 Sat, 24 Aug 2024 06:00:02 +0900 김동규 PADO/편집장, 김수빈 PADO/에디터, 강기훈 PD, 박성수 PD

자유무역, 세계화, 작은정부의 신자유주의 시대가 종말을 고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미국 공화당의 정책이나 민주당의 정책이 별반 차이가 없어지고 있음도 실감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새로운 시대정신이 도래하고 있다고 합니다. 바로 네오포퓰리즘!

]]>
<![CDATA[가장 좋은 LLM은? 이 방법으로 판단하세요 - 티타임즈]]> /article/2024082216227710712 /article/2024082216227710712 Thu, 22 Aug 2024 17:30:02 +0900 홍재의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오픈AI의 GPT, 구글의 제미나이, 앤스로픽의 클로드, 메타의 라마 등 빅테크들이 LLM(거대언어모델)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새로운 모델이 발표될 때마다 자신들의 모델이 최고라며 우기는데요, 이 말은 어디까지 믿어야 할까요? 30년 경력의 박종천 개발자가 LLM 모델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해 드립니다. 이뿐 아니라 LLM 후발주자들이 내세우려 하는 차별점에 대해서도 짚어 드립니다.



]]>
<![CDATA[프롬프트 엔지니어가 넣는 프롬프트를 보여드립니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82115337739331 /article/2024082115337739331 Wed, 21 Aug 2024 17:30:02 +0900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프롬프트 엔지니어는 어떻게 프롬프팅을 할까요? 어떻게 하면 AI의 환각현상을 줄이고, 기승전결로 또박또박 나눈 결과를 얻을 수 있을까요? 어떤 프롬프트를 넣으면 소프트웨어 서비스 수준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까요? 프롬프트 엔지니어 강수진 박사의 시연을 보시죠.

]]>
<![CDATA[[티타임즈 오픈토크 2025] - 2025년 AI 트렌드 전망 - 티타임즈]]> /article/2024082017437722278 /article/2024082017437722278 Tue, 20 Aug 2024 17:43:57 +0900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티타임즈가 지난 해에 이어 ‘티타임즈 오픈토크 2025’를 개최합니다. 올해 아젠다는 ‘2025년 AI 트렌드 전망 - AI의 삼투가 본격화한다’입니다.


김지현 SK 부사장, 이건복 MS 상무, 하정우 네이버 센터장, 차경진 한양대 경영학부 교수, 김정민 삼성SDS 상무 등 티타임즈 유튜브에서 큰 호응을 얻은 전문가들이 스피커로 등판합니다. 강정수 박사와 30년 개발자 박종천, 신동형 팀장, 오순영 전 KB AI센터장, 국내 대표적인 진화학자 장대익 가천대 창업대학장, 황성현 전 카카오 인사총괄, 황재선 SK디스커버리 부사장, 윤종영 국민대 소프트웨어융합대 교수도 패널로 만나실 수 있습니다.


내년 사업전략을 세우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장소 : 코엑스 컨퍼런스룸 402호 (서울 강남구 영동대로 513)

□ 인원 : 170명 (선착순 등록으로 조기 마감될 수 있습니다)

□ 신청 :

□ 참가비 : 5만원(다과 제공)

□ 문의 : 티타임즈(02-724-7718 / ttimes6000@gmail.com)

]]>
<![CDATA[[최재홍 교수와 ‘플랫폼 레볼루션’ 읽기①] 플랫폼 사업은 어떻게 해야 하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81918427719812 /article/2024081918427719812 Mon, 19 Aug 2024 18:42:47 +0900 최재홍 교수, 장민주 PD

각계 전문가가 자신의 지식을 공유하는 ‘전문가 강의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첫 편은 ‘최재홍 교수와 플랫폼 레볼루션 읽기’입니다. 최재홍 교수는 ‘플랫폼 레볼루션’ 책은 온라인 시대에 비즈니스를 하기 위해서는 몇 번을 읽어야 하는 책이라고 강조합니다.


플랫폼은 어떻게 모든 산업을 몰아내고 주인공이 되었을까요? 플랫폼 사업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플랫폼 안에서 성공하려면 어떻게해야 할까요? 최재홍 교수와 ‘플랫폼 레볼루션’을 함께 읽어보시죠.

]]>
<![CDATA[아마존 천하에도 살아남은 베스트바이의 AI시대 생존법 - 티타임즈]]> /article/2024081617517755675 /article/2024081617517755675 Sun, 18 Aug 2024 06:00:01 +0900 배소진 기자, 류지인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오프라인 유통을 무너뜨린 아마존의 제프 베이조스조차 “배울 게 한두 가지가 아니다”라고 극찬했던 베스트바이. 이런 베스트바이의 AI시대 생존전략은 무엇일까요? 이와 관련 최근 베스트바이가 내놓은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베스트바이는 왜 3만명 매장 직원들을 AI 일타강사로 키우려는 것일까요?



]]>
<![CDATA[하이브는 왜? 신뢰를 잃었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81618137716161 /article/2024081618137716161 Sat, 17 Aug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이재원 기자

하이브가 총체적인 난국입니다. 이사회 의장은 사생활 이슈에 엮였고, 기업을 이끌던 대표는 급작스레 교체됐습니다. 계열사 대표와 갈등이 진행되고 있고, 소속 가수도 문제를 일으켰습니다. 왜 이런 위기가 발생한 것일까요? 하이브 경영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
<![CDATA[AI검색 때문에 홍보, 마케팅 지각변동 온다 (강정수 박사) - 티타임즈]]> /article/2024081416247797165 /article/2024081416247797165 Thu, 15 Aug 2024 06:00:02 +0900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AI가 추천하는 브랜드에 우리 제품이 뒤로 밀린다면? 사장님이 AI검색에 이름을 넣어보고 홍보팀 급호출한다면? AI검색이 마케팅과 홍보에 지각 변동을 가져올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구글이나 네이버 등 기존의 검색 최적화를 넘어 AI검색 최적화가 마케팅과 홍보의 최대 화두로 부상할 수 있습니다.


구글의 AI검색 ‘AI오버뷰’, 구글의 아성을 무너뜨리려는 ‘퍼플렉시티’, 조만간 오픈AI가 선보일 ‘서치GPT’, 그리고 네이버어 ‘큐’까지 AI검색이 기존의 검색엔진을 대체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기업의 마케팅과 홍보 담당자들이 긴장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
<![CDATA[최근 미국에선 왜 현모양처, 강한남자가 이슈인가? - 티타임즈]]> /article/2024081315057735980 /article/2024081315057735980 Tue, 13 Aug 2024 17:30:01 +0900 김동규 PADO/편집장, 김수빈 PADO/에디터, 강기훈 PD, 이사민 기자


최근 미국의 젠더 담론에서 눈에 띄는 현상이 있습니다. 강한 남자(알파메일)과 현모양처(Tradwife)가 주목받고 있는 것이죠. "어떻게 하면 여자들에게 질질 끌려 다니지 않고 알파메일로 살 수 있을까?" "애 잘 키우고 남편 돈 잘 벌어오는 것이 더 좋은 삶이다" 등 노골적인 과거 회귀입니다. 그동안 젠더 담론에서 소외되어 왔던 남성들의 울분, 일과 가정을 함께 꾸려야 하는 여성들의 고단함 때문이라는 분석인데요. 과거로의 회귀가 왜 일어나는 것일까요? 이번 대선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
<![CDATA[프롬프트만으로 앱 만드는 시대, 챗GPT 어르고 달래는 법 - 티타임즈]]> /article/2024081217007753180 /article/2024081217007753180 Mon, 12 Aug 2024 17:30:02 +0900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신문사에 가서 기자들 대상으로 프롬프트 경진대회를 해봤어요. 그런데 글을 잘 쓰는 능력이 그렇게 중요하지 않은 것 같았어요.” 그렇다면 훌륭한 프롬프팅을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요? 자연어가 최고의 컴퓨터 언어가 되고, 프롬프트만으로 앱을 만드는 시대에 어떻게 하면 훌륭한 프롬프트 엔지니어가 될 수 있을까요? 언어학 박사이자 국내 대표적인 프롬프트 엔지니어로 불리는 강수진 박사로부터 들어봅니다.

]]>
<![CDATA[구글과 네이버 검색 무너뜨릴 큰 것이 오고 있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80917157739310 /article/2024080917157739310 Sun, 11 Aug 2024 06:00:02 +0900 강기훈 PD,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한때 챗GPT를 탑재한 MS의 '빙'이 구글을 뒤흔들 거라는 예측이 있었지만 찻잔 속의 태풍으로 끝났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다를 것 같습니다. 전문가들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AI검색 퍼플렉시티, 오픈AI가 정식으로 선보일 검색서비스 '서치GPT'와 '애플 인텔리전스'를 등에 업은 애플의 음성 비서 서비스 '시리'. AI검색은 우리의 검색습관을 송두리쨰 바꿀 수 있을까요? 그렇게 된다면 구글, 네이버는 어떻게 될까요?

]]>
<![CDATA[MS, 구글, 애플, 메타의 AI전쟁...유독 아마존이 조용한 이유는? - 티타임즈]]> /article/2024080918057772610 /article/2024080918057772610 Sat, 10 Aug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최근 AI의 주요 키워드는 '멀티모달'과 '오픈소스'입니다. 이미지 생성기, 영상 생성기 등 덕분에 '멀티모달'은 이미 익숙한 단어인데요, '오픈소스'는 왜 중요할까요? 오픈소스 LLM인 Llama를 만든 메타, 오픈소스 LLM을 활용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하는 아마존을 보면 그 중요성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누가 AI전쟁에서 이기더라도 함께 승리하는 전략을 실행하고 있는 아마존의 영리한 전략을 소개합니다.



]]>
<![CDATA[병원은 왜 가격도 모르고 진료 받아야 하죠? (닥터나우 정진웅 대표) - 티타임즈]]> /article/2024080916237777088 /article/2024080916237777088 Fri, 9 Aug 2024 17:00:02 +0900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대표, 장민주 PD,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널린 게 병원인데 비대면 진료가 왜 필요하냐구요? 편의점처럼 바로 앞에 있지만 감기 때문에 1시간씩 기다리는 경험 많이 하잖아요?” 공급자 중심의 의료시장을 소비자중심으로 싹 바꾸겠다는 회사가 있습니다. 비대면 진료로 유명한 닥터나우입니다. OECD 국가 중 유일하게 비대면 진료 법제화가 안 된 한국에서 이 회사가 어떻게 의료를 혁신하고 있는지 소개합니다.

]]>
<![CDATA[소버린 AI, 마케팅인가? 혁명인가? - 티타임즈]]> /article/2024080817357714228 /article/2024080817357714228 Thu, 8 Aug 2024 17:35:33 +0900 이재원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오픈AI, 구글과 같은 미국 빅테크가 주도하는 AI 시장에서 반기를 들고 나선 이들이 있습니다. 바로 각 국가 중심의 LLM을 구축하는 '소버린 AI'의 등장이죠. 자국의 언어와 문화를 학습한 LLM을 개발해 AI 자주권을 지킨다는 게 소버린 AI의 목표입니다.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인도를 비롯한 많은 국가들이 이 작업에 뛰어들었죠. 하지만 이 소버린 AI의 유행은 또다른 빅테크 회사들이 밀어붙이는 유행이라는 지적도 있는데요. 어떤 이유인지, 소버린 AI의 개념부터 비판까지 살펴봅니다.

]]>
<![CDATA[왜 영어 쓰는 나라가 더 우울하고 불행할까? (국제시사문예지 PADO) - 티타임즈]]> /article/2024080715427735907 /article/2024080715427735907 Wed, 7 Aug 2024 17:30:01 +0900 김동규 PADO/편집장, 김수빈 PADO/에디터, 강기훈 PD, 박성수 PD

미국에서 항우울제를 복용하는 사람들 비율이 스페인, 프랑스, 독일의 2배, 한국에 비해서는 9배에 달하다고 합니다. 미국 뿐 아니라 캐나다, 뉴질랜드, 호주 등 주로 영어권에서 정신건강 지표가 낮다고 하는데요. 과연 영어와 정신건강은 어떤 상관 관계일까요?

]]>
<![CDATA[애플, MS, 구글, 아마존, 메타, 엔비디아의 AI 경쟁력 분석 - 티타임즈]]> /article/2024080617327771528 /article/2024080617327771528 Tue, 6 Aug 2024 17:32:25 +0900 홍재의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아마존, 메타, 구글, 엔비디아는 모두 AI전용 반도체를 만들고 있고, 클라우드도 운영하며, LLM 모델도 직접 개발했습니다. AI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도 만들어 테스트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각 분야 최강자는 누구일까요?



]]>
<![CDATA[디즈니의 본질적 위기, 아이들이 외면하고 있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80517467715450 /article/2024080517467715450 Mon, 5 Aug 2024 17:53:43 +0900 배소진 기자,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강기훈 PD


최근 개봉 영화 성적도, 실적도 괜찮은 디즈니이지만 앞으로가 더 큰 위기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미래 고객이 되어야 할 어린이들이 디즈니를 외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아이들의 여가 시간을 책임졌던 디즈니 케이블 채널은 유튜브에 밀린 지 오래고, 디즈니 테마파크에는 어린이보다 어른이 많을 지경입니다.



]]>
<![CDATA[난청이라는 운명의 멱살을 움켜쥐었던 베토벤 - 티타임즈]]> /article/2024080110037781592 /article/2024080110037781592 Sun, 4 Aug 2024 06:00:02 +0900 장민주 PD


“나는 신의 가장 불행한 피조물이다. ‘나는 귀머거리이다. 더 크게 말해달라’고 어떻게 사람들에게 말할 수 있나. 나는 완전히 혼자일 뿐이다. 난청은 나를 절망으로 몰고 갔다. 삶을 끝장내고 싶다.”

그러면서도 베토벤은 오히려 안 들리기 때문에 익숙한 선율에 매몰되지 않고 더 독창적인 음악을 창조했습니다. 그래서 프로이트는 “신념을 가진 인간은 무한히 강한 존재이다. 베토벤은 역경에 맞선 영웅이었다”라고 말합니다.

우리가 지금 베토벤을 기억해야 하는 이유는 그의 절망보다 오히려 이 말 때문일 것입니다. “나의 내면에 있는 모든 악상을 불러내기 전에 세상을 떠나는 것은 억울하다. 올 테면 오라. 나는 운명의 멱살을 움켜쥐겠다.”


]]>
<![CDATA[티몬-위메프 사태, 그들은 왜 손해보는 장사를 했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80216297777638 /article/2024080216297777638 Sat, 3 Aug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박성수 PD

정산지연으로 시작한 티몬-위메프 사태가 겉잡을 수 없을 만큼 확산되고 있습니다. 두 플랫폼에서 상품을 구매한 소비자는 물론이고, 수개월 간 정산을 받지 못한 셀러 그리고 큐텐 계열사인 인터파크 쇼핑과 AK몰, 큐텐에 인터파크 쇼핑을 매각한 야놀자까지 모두가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도미노처럼 이어지고 있는 이 사태의 본질은 무엇이고 어디까지 영향을 미칠 것인지 짚어봅니다.

]]>
<![CDATA[카페 창업, 내가 하면 다르다? 카페사업 해부 - 티타임즈]]> /article/2024080211117799312 /article/2024080211117799312 Fri, 2 Aug 2024 17:00:01 +0900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대표, 김영덕 디캠프/대표, 장민주 PD,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치킨집, 편의점보다 많다는 카페. 하지만 개업한지 얼마 안 돼 폐업하는 카페도 속출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는 1만1,450개, 그러니까 하루 31개씩 사라진 것이죠. 카페 창업과 운영에서 커피나 빵의 맛, 인테리어보다 중요한 것이 있다고 합니다. 김영덕 전 디캠프 대표와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 대표와 함께 카페 사업을 해부합니다.

]]>
<![CDATA[로보택시 때문에 난리인 중국, 자율주행 신화까지 쓰게 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80115327711043 /article/2024080115327711043 Thu, 1 Aug 2024 17:30:02 +0900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박성수 PD

중국은 도시마다 신호등 체계가 다릅니다. 삼각형 신호등, 5개짜리 신호등, 한자 표기 신호등 등 제각각입니다. 이런 중국 정부가 전기차에 이어 자율주행에서도 무서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2030년까지 100개 도시에서 자율주행을 운행하겠다고 하고, 이미 로보택시 인기에 택시기사 항의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샤오펑은 테슬라처럼 라이다 없이 비전 온리로 자율주행 개발에 나섰고, 바이두, 화웨이 등이 중국 전기차 회사와 협력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테슬라에 FSD 테스트를 승인하면서 기술흡수와 메기효과도 노리고 있습니다. 중국이 전기차 신화에 이어 자율주행의 신화까지 쓰게 될까요?

]]>
<![CDATA[‘Embodied AI’는 인간관계를 어떻게 바꿀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73117417777145 /article/2024073117417777145 Wed, 31 Jul 2024 20:00:02 +0900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박성수 PD, 강기훈 PD

AI의 궁극적 모습은 사람의 몸을 가지고 사람을 대신하는 Embodied AI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습니다. 단순히 사람의 노동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 그 자체를 대체하는 것이죠. 이 경우 로봇에 인격을 부여하자는 요구도 커질 수 있습니다.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사회적 갈등, 가족간의 갈등을 유발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과연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
<![CDATA[내 디지털 도플갱어에 일 시키고 노는 시대 온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73015057792955 /article/2024073015057792955 Tue, 30 Jul 2024 17:30:01 +0900 배소진 기자,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현실의 사물을 복제해 가상세계에 옮겨놓는 디지털 트윈 기술이 사람이라고 불가능할까요? 실제 링크드인 창업자 리드 호프먼도 최근 자신의 디지털 트윈을 만들어 대신 인터뷰 자리에 내보내기도 했습니다. 나를 복제해 나를 학습시킨 뒤 나대신 일하도록 하고 나는 노는 세상이 멀지 않은 것 같습니다.



]]>
<![CDATA[AI 킬러로봇이 몰려온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72918137764172 /article/2024072918137764172 Mon, 29 Jul 2024 18:13:24 +0900 황정현 PD, 박성수 PD, 강기훈 PD, 홍재의 기자

최근 중국이 기관총을 탑재한 로봇 개를 공개하고 실전 배치를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물론 지금은 인간이 원격 조종을 하지만 만일 AI가 자율적으로 판단해 총을 발사하게 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AI 윤리 전문가인 김명주 서울여대 교수와 최근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는 AI무기, 성인용AI 등의 윤리적 문제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
<![CDATA[같은 오케스트라인데 왜 지휘자에 따라 음악이 달라질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72516487723384 /article/2024072516487723384 Sun, 28 Jul 2024 06:00:01 +0900 장민주 PD



같은 음악을 같은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데 왜 지휘자가 누구냐에 따라 음악이 달라질까요? 지휘자의 지휘봉이 소리를 내는 것도 아닌데 말이죠. 현악기, 목관악기, 금관악기, 타악기 등 악기 특성 만큼이나 개성이 강한 단원들을 조화시키는 리더십과 음악을 해석하고 음향을 변별하는 역량 때문일 것입니다. 훌륭한 지휘자는 무엇이 다를까요?


]]>
<![CDATA[테슬라의 로보택시, 머스크의 목적은 딴 데 있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72617557783177 /article/2024072617557783177 Sat, 27 Jul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테슬라가 오는 10월, 로보택시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테슬라가 신사업으로 어느 정도 규모의 매출을 일으킬 지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죠. 그런데 일론 머스크가 정말 원하는 것은 단순히 로보택시로 돈을 버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다면 진짜 목적은 무엇일까요?



]]>
<![CDATA[글로벌회사 지원할 때 이력서와 면접 주의점 4가지 - 티타임즈]]> /article/2024072617407722654 /article/2024072617407722654 Fri, 26 Jul 2024 17:40:30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황정현 PD, 이사민 기자

넷플릭스 인기 프로그램 '피지컬 100'에서 주목을 받았던 전직 FBI 헌터 리를 모셨습니다. 그는 FBI 매니저 진급 면접에서 30번 가까이 떨어져 본 경험이 있다고 하는데요, 그가 말하는 글로벌 회사 지원할 때 이력서와 면접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들어봅니다.

]]>
<![CDATA[왜 구글과 메타도 페르소나AI에 뛰어들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72517157716993 /article/2024072517157716993 Thu, 25 Jul 2024 17:30:24 +0900 이재원 기자, 류지인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장민주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생성형AI시대 킬러앱 경쟁이 한창입니다. 단순히 챗봇이나 이미지 생성을 넘어 이용자들의 삶에 꼭 필요한 서비스가 되어야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이죠. 이런 경쟁의 첫 번째 순서로 페르소나 AI에 대해 소개합니다. 챗GPT나 제미나이처럼 정확한 답을 내놓는 것도 아니고, 다양한 업무를 도와주는 서비스도 아니지만 이용자들은 두 배가 넘는 시간을 이 서비스에서 보내고 있습니다. 구글과 메타까지 뛰어든 이 페르소나 AI의 세계에 대해 알아봅니다.

]]>
<![CDATA[테슬라 로보택시 공개 확인해야 할 3가지! - 티타임즈]]> /article/2024072417057783531 /article/2024072417057783531 Wed, 24 Jul 2024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일론 머스크가 곧 테슬라 로보택시를 공개한다고 합니다. 8월8일 행사를 10월로 미루기는 했지만 크게 달라질 건 없습니다. 웨이모 역시 최근 웨이모 원의 완전 상용화 서비스를 샌프란시스코에서 시작했습니다. 이제 누구나 운전자가 없는 자율주행 택시를 호출해 이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자율주행 회사에 대한 투자금도 최근 늘어나고 있다고 하는데요, 긴 겨울을 지나 봄을 맞이하고 있는 자율주행 업계의 현재와 미래. 강정수 박사에게 들어보시죠.



]]>
<![CDATA[AI가 스스로 판단해 사람 살상한 사례를 어떻게 봐야 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72317547745116 /article/2024072317547745116 Tue, 23 Jul 2024 17:54:11 +0900 황정현 PD, 박성수 PD, 홍재의 기자

AI에이전트의 출현이 현실화하고, AI 무기 사용도 늘어나면서 AI의 위험성도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AI 무기가 스스로 판단해 사람을 살상한 사례가 보고되기도 했습니다. AI의 위험성을 우리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AI윤리 전문가인 김명주 서울여대 교수와 알아봅니다.



]]>
<![CDATA[LLM과 RAG, 파인튜닝 중 AI 품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 티타임즈]]> /article/2024072215017713111 /article/2024072215017713111 Mon, 22 Jul 2024 17:30:02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박성수 PD

초거대언어모델(LLM)이 학습을 한 뒤 답변하는 과정에서 LLM과 사람 사이에서 일하는 검색증강생성(RAG)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실제 RAG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챗GPT 클로드 라마 등 LLM과 어떻게 궁합이 맞추는지 이창수 올거나이즈 대표의 시연을 통해 알아봅니다.

]]>
<![CDATA[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에 숨어있는 영화같은 이야기 (조은아 교수) - 티타임즈]]> /article/2024071811337751979 /article/2024071811337751979 Sun, 21 Jul 2024 06:00:02 +0900 장민주 PD


첼로는 인간과 음역대가 가장 가까운 악기입니다. 이 첼로의 최고의 연습곡이자 최고의 연주곡으로 꼽히는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첼리스트들의 구약성경으로 불리죠. 바흐가 자필 악보 한 줄 남기지 않은 이 곡들은 어떻게 첼로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게 될 수 있었을까요? 영화같은 이야기가 숨어있습니다.


]]>
<![CDATA[배달의 민족이 위험하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71917567755565 /article/2024071917567755565 Sat, 20 Jul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강기훈 PD,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이사민 기자

‘배달의 민족’은 존경받는 스타트업이자 혁신의 아이콘이었습니다. 우아한형제들을 딜리버리히어로에 매각하고 김봉진 창업자가 딜리버리히어로의 아시아 의장을 맡았을 때만 해도 국내에서 싹 튼 서비스가 전세계를 향해 뻗어나갈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어떻습니까? 지난해 6988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리며 사상 최고 실적을 올린 우아한형제들은 최근 이국환 대표가 사임했고, 중개 수수료를 올릴 방침을 발표했습니다. 소비자를 대상으로 무료 배송이 가능한 멤버십을 출시할 예정이지만, 자영업자들은 이로 인해 배송료 부담이 더 늘어날 것이라 걱정하고 있죠. 배달의 민족은 어디로 나아가게 될까요? 앞으로도 소비자와 음식점, 양쪽에서 사랑받는 존재로 남을 수 있을까요?



]]>
<![CDATA[골프 회원권, 왜 여성이 더 비쌀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71916447765325 /article/2024071916447765325 Fri, 19 Jul 2024 17:00:01 +0900 김영덕 전 디캠프/대표,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대표, 장민주 PD,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골프가 이제는 명실상부 대중스포츠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골프 비즈니스의 모든 것을 분석해 보았습니다. 골프 회원권을 왜 여성에게 더 비싸게 받을까요? 왜 한국 골프장은 계속 늘어나는데 그린피는 이토록 비쌀까요? 고령화, 이상기후… 앞으로 골프인구는 늘까요 줄까요?

]]>
<![CDATA[스타벅스와 룰루레몬의 위기에는 공통점이 있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71814397748403 /article/2024071814397748403 Thu, 18 Jul 2024 17:30:01 +0900 배소진 기자, 류지인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스타벅스, 룰루레몬의 상황이 심상치 않습니다. 인플레이션 탓을 하기에는 위기의 이유가 상당히 본질적입니다. 스타벅스는 모바일의 성공 때문에 오히려 매력을 잃었다는 평가가 나오고, 룰루레몬은 언더아머로 전락할 갈림길에 섰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둘 다 공통적으로 경험을 싸구려로 만들고 있다, 레거시가 된 이후 누구도 만족 시킬 수 없는 딜레마에 빠졌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죠.



]]>
<![CDATA[AI시대 취업공부는 어떻게 해야 하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71716397792811 /article/2024071716397792811 Wed, 17 Jul 2024 20:00:02 +0900 이사민 기자, 홍재의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박성수 PD


AI시대에는 지식과 스킬의 유통 속도가 엄청나게 빠릅니다. 내가 공부한 것의 유통기한이 3년이 채 안 될 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기업의 채용도, 원하는 인재상도 급변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청년들은 어떻게 취업공부를 해야 할까요? 이제는 가지고 있는 지식보다 배움의 전략이 더 중요해질 것입니다. 우리는 어떻게 배움의 전략을 짜야할까요?

]]>
<![CDATA[인간 관계를 건드리는 AI 비즈니스가 쏟아진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71615497795790 /article/2024071615497795790 Tue, 16 Jul 2024 17:30:01 +0900 배소진 기자,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우리는 어느 때보다 연결된 삶을 살고 있지만 외로움과 고립감은 커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인간의 외로움 해결해주려는 AI 서비스들도 최근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과연 기술로 인한 외로움을 더 진보한 기술로 해결해줄 수 있을까요?

]]>
<![CDATA[가장 평등하다는 에너지, 핵융합 상용화는 언제 가능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71515457728137 /article/2024071515457728137 Mon, 15 Jul 2024 17:30:01 +0900 최형균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핵융합 에너지는 석유나 석탄 등 부존자원에 의존하지 않는 ‘기술 에너지’로 불립니다. 자원이 없어도 기술만 있으면 생산할 수 있는 평등한 에너지인 셈이죠. 이미 미국의 빅테크가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중이고 바이든 대통령은 10년 이내에 핵융합 에너지를 상용화할 수 있다고 공언합니다. 지구에 인공태양을 만들어 전기를 생산하는 핵융합 에너지는 언제쯤부터 사용할 수 있을까요? 가장 앞서 나가고 있는 회사는 어디일까요?

]]>
<![CDATA[나이키가 예전 같지 않다. 왕조의 몰락이 시작됐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71217367765898 /article/2024071217367765898 Sun, 14 Jul 2024 06:00:01 +0900 이재원 기자,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나이키의 질주에 제동이 걸렸습니다. 매출, 순이익, 주가 모두 떨어지고 재고는 늘고 있습니다. 과거 자신이 무시했던 회사, 새롭게 치고 올라오는 전문 브랜드와 힘겹게 경쟁하고 있고, 한때 물건을 다 뺐던 유통체인들에도 다시 물건을 넣기 시작했습니다. ‘운동화하면 나이키였던 시절은 갔다’ ‘왕조의 몰락이 시작됐다’ ‘그저그런 브랜드가 되고 있다’는 평가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나이키는 어디서부터 꼬이기 시작한 것일까요?

]]>
<![CDATA[거짓말 하는 사람 알아내는 법 (헌터 리 전 FBI 분석관) - 티타임즈]]> /article/2024071216097764201 /article/2024071216097764201 Sat, 13 Jul 2024 06:00:02 +0900 이사민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얼마 전 넷플릭스 인기 프로그램 '피지컬100'에 출연했던 전직 FBI 헌터 리를 모셨습니다. 15년간 FBI에서 분석관, 외교관으로 일한 경력을 가진 그에게 흥미로운 질문들을 던져 봤습니다.

-거짓말 하는 사람을 찾아내는 방법이 있나요?

-관상은 과학이다, 정말 얼굴을 보면 상대를 파악할 수 있나요?

-사건을 파헤치는 취재 능력은 어디서 오나요?




]]>
<![CDATA[무법의 정글 100㎞를 뚫고 미국 향하는 수만명 중국인들 - 티타임즈]]> /article/2024071117207729865 /article/2024071117207729865 Fri, 12 Jul 2024 17:00:02 +0900 김동규 PADO/편집장, 김수빈 PADO/에디터, 강기훈 PD, 박성수 PD 수만명 중국인들이 에콰도르에서 시작해 콜롬비아, 파나마, 멕시코를 거쳐 미국으로 밀입국하고 있다는 사실이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이들은 에콰도르에 도착한 뒤 무법천지인 정글 100㎞를 일주일간 도보로 뚫고 갑니다. 그런데 이들 중국인들은 범죄자나 저소득층이 아니라 주로 중산층이라고 합니다. 왜 중국인들은 목숨 걸고 미국으로 밀입국하고 있을까요?


]]>
<![CDATA[애플 인텔리전스, AI에이전트! RAG 성능에 달렸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71118407731095 /article/2024071118407731095 Thu, 11 Jul 2024 18:40:05 +0900 박성수 PD, 류지인 영상디자이너, 홍재의 기자

챗GPT(LLM)가 AI에 대한 인간의 인식을 바꿔놓는 마중물이었다면 애플 인텔리전스가 지향하는 AI에이전트는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바꿔 놓을 킬러 서비스가 될지 모릅니다.

그런데 AI에이전트가 우리의 기대치를 충족하려면 GPT, 클로드, 제미나이 같은 모델을 구동하는 것만으로는 모자라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입니다. LLM이 현실 세계에 있는 방대한 지식을 실시간으로 학습하고, 행동하고 우리에게 전달해주기에는 시간과 비용이 너무 많이 들기 때문이죠. 이럴 때 꼭 필요한 기술이 검색증강생성(RAG)이라고 하는데요, 일반인으로서는 이해하기가 너무나 어렵습니다.

RAG를 활용해 이미 기업용 서비스를 만들고 있는 올거나이즈 이창수 대표로부터 RAG가 과연 무엇인지, 얼마나 중요하고 실제로 어떻게 생겼는지, 일반인도 이해할 수 있게끔 직접 시연해 보여드립니다.



]]>
<![CDATA[AI시대 유망직업, 뭘 보면 알 수 있을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71017027747587 /article/2024071017027747587 Wed, 10 Jul 2024 17:30:01 +0900 이사민 기자,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박성수 PD, 장민주 PD


“AI를 모르는 직원을 안 뽑겠다는 비율이 몇 퍼센트인지 아세요? AI를 아는 신입과 AI를 모르는 경력중 누구를 더 뽑으려고 할까요? AI시대에 변화되지 않을 직업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청년들에게는 어느 때보다 앞으로 유망할 직업과 스킬을 빠르게 캐치하는 것이 중요한 시대입니다. 그렇다면 어디서 이런 트렌드를 한 발 앞서 찾아낼 수 있을까요?


MS 등 글로벌회사에서 일하고 현재 청년들 대상으로 커리어 상담을 하고 있는 윤혜식 투마일스 대표와 함께 알아봅니다.

]]>
<![CDATA[왜 빅테크들은 핵융합에 진심인가? - 티타임즈]]> /article/2024070915357725765 /article/2024070915357725765 Tue, 9 Jul 2024 17:30:01 +0900 최형균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MS, 구글, 아마존 등 빅테크가 핵융합 발전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AI 학습과 추론에 막대한 전기가 필요한데 신재생 등 지금의 방식만으로는 감당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365일, 24시간 고출력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내면서도 이산화탄소도 배출하지 않는 핵융합 발전이 필요하다는 것이죠.


지구에 인공태양을 만드는 작업이라고 불리는 핵융합 발전이 무엇인지, 다른 에너지 창출 방식과 어떻게 다른지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의 권재민 박사와 함께 알아봅니다.

]]>
<![CDATA[애플 인텔리전스 때문에 구글, MS, 삼성이 큰 일 났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70818027718164 /article/2024070818027718164 Mon, 8 Jul 2024 18:02:07 +0900 홍재의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애플은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아이맥 등 다양한 기기를 직접 다 생산하고 있고, 반도체부터 운영체제, 서버까지 자신들이 직접 설계하는 수직 계열화를 이뤄냈습니다. 애플이 강조하는 개인정보보호 정책도 수직계열화 된 구조 속에서 더욱 강화될 수 있죠. AI시대에는 정보보안이 성공의 핵심 축으로 꼽히기 때문에 특히나 애플 인텔리전스의 파워가 십분 발휘될 수 있는 환경입니다.

그렇다면 이에 맞서는 윈도우, 안드로이드 진영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AI용 반도체부터 운영체제, 모바일과 PC 기기의 주도적 기업이 상이한 '반 애플 진영'은 앞으로 혼란을 겪을 지도 모르겠습니다. 애플 인텔리전스로 촉발된 반 애플 진영의 위기와 기회에 대해 30년 경력의 박종천 개발자가 분석해 드립니다.




]]>
<![CDATA[음악사에서 가장 기구했던 팔자의 ‘라흐마니노프 교향곡 1번’ - 티타임즈]]> /article/2024070215437741902 /article/2024070215437741902 Sun, 7 Jul 2024 06:00:01 +0900 장민주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임윤찬이 2022년 반 클라이번 콩쿠르 결선에서 연주했던 라흐마니노프. 서양음악사에서 비르투오소(고도의 기교를 보여주는 거장) 칭호를 얻었던 세 명 중 한 명이자, 가장 큰 손을 가진 음악가로 불립니다. 건반의 도에서 다음 옥타브의 라까지 닿는 거대한 손으로 누구보다 피아노가 가진 악기의 특성을 꿰뚫고 있었죠. 하지만 그에게는 정말 기구한 팔자를 가진 곡이 있습니다. 바로 라흐마니노프의 교향곡 1번입니다. 3년 동안 음표 하나도 적지 못하는 정신적 붕괴를 가져다 주었던 그의 첫 작품이 그가 세상을 떠난 후 완전히 재평가를 받게 되었죠. ‘주말의 클래식’ 이번 편은 라흐마니노프의 작품 세계입니다.


]]>
<![CDATA['네이버 웹툰' 김준구 '뉴진스 맘' 민희진, 누구 보상이 더 큰가? - 티타임즈]]> /article/2024070516277759200 /article/2024070516277759200 Sat, 6 Jul 2024 08:00:01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황정현 PD, 이재원 기자

네이버웹툰이 4조원 가까운 기업가치를 인정받으며 미국 나스닥에 상장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김준구 네이버웹툰 대표가 보너스와 주식 보상 등으로 1000억원에 가까운 성과 보수를 받는 것이 알려져 많은 직장인들의 부러움을 사기도 했죠.

물론 기업 가치에 비해 김 대표의 성과 보상이 적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과거 IT업계의 전례에 대입해 봤을 때는 2천억~4천억원 수준의 보상이 적당하다는 것이죠. 최근 하이브와 성과 보수를 두고 갈등을 겪었던 민희진 어도어 대표의 상황과도 대비가 되는데요, 기업을 성공으로 이끈 직장인 출신의 CEO들은 어느 정도의 보상을 받고 있을까요?



]]>
<![CDATA[중국 반도체 자립의 3가지 키워드 - 티타임즈]]> /article/2024070417527735475 /article/2024070417527735475 Thu, 4 Jul 2024 17:52:46 +0900 최형균 기자, 류지인 영상디자이너, 강기훈 PD

2018년부터 강도 높게 이뤄진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 설계도와 설계 프로그램, 제작장비, 완제품에 이르기까지 사실상 반도체 밸류체인 모두를 동원해 중국을 압박했습니다. 그렇게 이어진 6년의 제재. 강도 높은 압박에도 중국의 반도체 굴기는 현재 진행형입니다. 여기에 중국으로의 수출이 막히면서 오히려 미국 반도체 기업들의 손실이 늘어가고 있죠. 미국의 제재가 사실상 실패라는 분석이 나올 정도입니다. 낮은 수준의 칩이라도 일단 만들어서 이어붙이는 칩렛, 오픈소스 설계도 RISC-V, 그리고 독자 우주정거장에서 실험중인 우주 반도체까지 미국 제재를 우회해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려는 중국의 전략을 소개합니다.

]]>
<![CDATA[브라질은 어쩌다 세계인의 밥상을 책임지게 됐을까?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4070318027797504 /article/2024070318027797504 Thu, 4 Jul 2024 06:00:01 +0900 김동규 PADO/편집장, 김수빈 PADO/에디터, 장민주 PD, 강기훈 PD, 박성수 PD

경제가 발달할수록 농업 등 1차 산업 비중은 줄어들고,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비중이 커진다는 통념과 달리 브라질은 거꾸로 농업이 경제를 떠받들고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부유했던 해안 지역 도시보다 내륙 지역이 더 빠르게 발달하며 '이촌향도'가 아닌 '이도향촌' 현상이 벌어지고 있을 정도죠.

그런가 하면 '녹색 혁명'을 꿈꾸는 아프리카는 농업조차 아직 미개발 상태죠. 바꿔 말하면 그만큼 개발의 잠재력이 크다는 뜻입니다. 비료 사용을 확대하고 토지소유권 문제만 해결해도 지금보다 몇 배로 농업 생산력이 높아질 수 있죠.

우리에겐 멀게만 느껴지는 브라질과 아프리카이지만 알고 보면 우리의 밥상을 책임지고, 또 앞으로 책임지게 될 수 있는 지역입니다.

]]>
<![CDATA[오픈AI는 돈 한 푼 못받고 왜 애플과 손을 잡았을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70215447739824 /article/2024070215447739824 Tue, 2 Jul 2024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얼마전 애플의 WWDC(개발자회의)에서 애플의 인공지능 비서 서비스인 '애플 인텔리전스'가 발표 됐습니다. 그동안 애플은 AI기술에 있어 다른 빅테크 경쟁사에 비해 한참 뒤쳐져있다는 비판을 받아왔죠. 그러나 이날 행사 이후 이 같은 평가가 한순간에 역전됐습니다. 챗GPT에 종속되긴 커녕 챗GPT를 애플의 지배하에 둘 수 있는 영리한 구조를 설계해 들고 나온 것이죠.

무엇보다 이번에 발표한 '애플 인텔리전스'는 그동안 반도체부터 자체 운영체제(OS), 기기까지 모두 수직계열화 한 애플 행보의 화룡점정이 될 것이라고 하는데요, 남들이 보지 못한 WWDC의 진정한 의미를 30년 경력의 박종천 개발자에게 들어봅니다.



]]>
<![CDATA[MS와 베스트바이는 왜 리더의 역할을 줄여버렸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70115427787420 /article/2024070115427787420 Mon, 1 Jul 2024 17:30:02 +0900 이사민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지금과 같은 기술변화의 시대에는 리더가 완벽하지 않다는 것을 구성원들도 잘 알고 있습니다. 리더들도 이를 인정해야 합니다. 이제 리더의 역할은 지시가 아니라 연결입니다. 오히려 자기 확신성이 낮은 리더일수록 혁신적인 리더가 될 수 있습니다."


기술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시대에 리더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MS와 베스트바이는 왜 리더의 역할을 기술한 내부문서를 확 줄여버렸을까요?

]]>
<![CDATA[금녀악단, 세습… 빈 필하모닉의 비밀 (조은아 교수) - 티타임즈]]> /article/2024062612137789042 /article/2024062612137789042 Sun, 30 Jun 2024 06:00:01 +0900 장민주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세계 최고의 오케스트라를 꼽으라면 빈 필하모닉과 베를린 필하모닉 두 곳이죠. 이중에서도 빈 필은 그 운영방식이 유별납니다. 한때 금녀악단으로 유명했고 단원 세습도 비일비재했죠. 상임 지휘자도 없습니다. 단원들이 시즌마다 투표로 객원지휘자를 선출합니다. 악기도 옛날 악기를 고집하는데 그래서 베를린 필하모닉은 “우리가 21세기 오케스트라라면 너희는 19세기 오케스트라”라고 하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빈 필이 전 세계인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CDATA[수천명이 할 일을 AI로 대체해 잘나가는 회사 - 티타임즈]]> /article/2024062815097737856 /article/2024062815097737856 Sat, 29 Jun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장민주 PD

지난 시간에는 생성AI 시대에 잘 나갈 회사를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죠. 이번 시간에는 AI를 잘 활용해 이미 수천명이 할 일을 소수의 직원으로도 잘 해나가고 있는 회사들에 대해 알아봅니다.

아울러 AI를 우리 회사에 잘 도입할 수 있는 노하우, AI시대에 살아남기 위해 직장인이 갖춰야 할 능력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30년차 박종천 개발자가 알려드립니다.



]]>
<![CDATA[“지금 집값상승, 조바심의 발현일 뿐이다” (배문성 이사) - 티타임즈]]> /article/2024062714177767595 /article/2024062714177767595 Thu, 27 Jun 2024 17:30:02 +0900 최형균 기자, 강기훈 PD

최근 전고점을 회복하는 아파트가 나오면서 집값이 들썩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배문성 라이프자산운용 이사는 “지금의 집값 상승세가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합니다. 특례보금자리론, 신생아 특례대출 등 저리의 정책자금 공급은 일시적인 것이고, 고금리 상황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조정의 폭과 기간이 짧았던 만큼 상승의 폭과 기간도 그만큼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죠.

]]>
<![CDATA[메모리 반도체 판도를 뒤흔들 HBM 삼국지가 시작됐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62617437724682 /article/2024062617437724682 Wed, 26 Jun 2024 18:00:17 +0900 이재원 기자,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삼성전자가 늘 1위를 달리던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들썩이고 있습니다. AI 시대 주목받고 있는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HBM 때문입니다. 10년 전 처음 등장했을 때만 해도 쓰겠다는 기업이 없어 애물단지였던 HBM. 그래서 삼성전자도 개발팀을 축소했던 반도체인데요. 지금은 엔비디아도 줄서서 받아가는 반도체가 됐습니다. 하지만 엔비디아는 SK하이닉스의 HBM만 사용하고 있는데요. 엔비디아 납품을 둔 글로벌 메모리 기업간의 전쟁, 막전막후를 살펴봅니다.

]]>
<![CDATA[구글, 애플, 오픈AI~ AI 주도권은 누가 가져갈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62517267726197 /article/2024062517267726197 Tue, 25 Jun 2024 17:30:02 +0900 박성수 기자, 류지인 영상디자이너, 황정현 PD, 홍재의 기자

최근 오픈 AI의 GPT-4o, 앤트로픽의 클로드 3.5 sonnet이 나오면서 LLM 성능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AI에 대한 관심은 더 뜨거워지고 있는데요. 모델 성능도 중요하지만 하나의 구성 요소일 뿐 모델 비용, 인력 구성, 직원 교육 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는 게 더 중요하다고 합니다. AI 도입하려는 기업은 어떤 고민을 해야할까요?

]]>
<![CDATA[성공할 AI회사 골라내는 3가지 분류법 - 티타임즈]]> /article/2024062415447724797 /article/2024062415447724797 Mon, 24 Jun 2024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기자, 장민주 PD

반도체부터 AI서비스까지 생성AI와 관련된 비즈니스가 쏟아지고 있습니다. 어떤 회사에 투자해야 할지, 어떤 회사에서 일을 해야 할지, 우리 회사는 어떤 서비스를 해야할지도 감이 잡히지 않는 시기죠. 30년 경력의 박종천 개발자가 AI시대에 성공할 3가지 분야를 분석해 드립니다. 단순 반복적인 일을 도와줄 'AI업무보조', 우리가 일을 하는데 동반자처럼 힘이 되어줄 'AI업무비서' 그리고 우리의 삶을 확 바꿀 'AI생활비서'로 나눠볼 수 있는데요, 이 3가지 분야의 특징은 무엇이고 성공 요건은 무엇일지 한번 들어보시죠.



]]>
<![CDATA[예술의전당, 롯데콘서트홀! 어디가 더 좋을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62015217740695 /article/2024062015217740695 Sun, 23 Jun 2024 06:00:02 +0900 장민주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아무리 서툰 연주라도 디지털 음원은 콘서트 라이브를 이길 수 없다.” 콘서트홀은 연주자들에게는 제2의 악기와 같은 거대한 울림통이라고 합니다. 동시에 관객들에게는 마이크나 확성장치 없이 자연 울림 그대로 소리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죠. 서울의 대표적인 두 콘서트홀, 예술의전당과 롯데콘서트홀을 조은아 교수와 함께 비교해 봅니다. 어디가 좋을까요?


]]>
<![CDATA[쿠팡은 정말로 '로켓배송'을 중단하게 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62116037724364 /article/2024062116037724364 Sat, 22 Jun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최형균 기자

공정위가 쿠팡에 1400억원의 과징금을 부과하기로 했습니다. 쿠팡이 온라인 쇼핑시장의 1위 사업자로서 공정한 플랫폼의 역할을 해야되는데 자신들의 PB상품을 더 많이 판매하기 위해서 검색 순위를 조작했다는 것이 골자죠.

쿠팡은 이에 반박했는데요. 반박의 수위가 꽤 높습니다. 공정위의 논리가 업계관행에 맞지 않고, 이렇게 제재가 계속될 경우 국내 투자나 로켓배송을 계속해나갈 수 없다고 반발합니다. 이에 맞서 공정위도 쿠팡의 해명이 사실 관계와 맞지 않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쿠팡과 공정위의 싸움에 관련 업계도 촉각을 세우고 있는데요. 과연 양측 주장의 핵심은 무엇이고 사실관계가 어떤지를 꼼꼼히 따져봐야 될 것 같습니다.



]]>
<![CDATA[AI가 대체하기 어렵다는 직군 'UX연구원' - 티타임즈]]> /article/2024062115087733378 /article/2024062115087733378 Fri, 21 Jun 2024 17:00:01 +0900 배소진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AI가 사람들의 일자리를 위협하고 있지만 하지만 대체할 수 없는 직군도 많죠. 그런 직군 가운데 하나가 UX연구원이 될 것이라고 합니다. AI 기술이 발전할수록 생길 수밖에 없는 인간다움에 대한 추구를 포착하고 공감해 제품에 담아내는 것이 UX연구원의 역할이기 때문이죠. AI시대 UX 연구원의 전망을 김예림 마이크로소프트 UX 연구원으로부터 들어봅니다.



]]>
<![CDATA[빅테크 경력 '도합 90년' 선배들이 추천해주는 AI로 일 잘하는 방법 - 티타임즈]]> /article/2024062016067779361 /article/2024062016067779361 Thu, 20 Jun 2024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업무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AI 서비스가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를 도입해 기업의 생산성을 혁신하는 회사들도 생겨나고 있죠. 직장인들은 업무용 AI툴을 어떻게 활용해야 마치 자비스를 갖고 있는 아이언맨처럼 남들보다 앞서 나갈 수 있을까요?

구글, 삼성, 블리자드 등 글로벌 IT대기업에서 오랜 경험을 쌓은 선배들이 알려줍니다. AI를 활용해 일 잘하는 방법 그리고 앞으로 AI에 일자리를 빼앗기지 않을 노하우 말이죠.





]]>
<![CDATA[앞으로 러시아는 중국의 속국이 될 것이다?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4061915257789714 /article/2024061915257789714 Thu, 20 Jun 2024 06:00:01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장민주 PD, 강기훈 PD, 박성수 기자 전 세계 많은 사람이 이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통해 러시아가 생각만큼 강하지 않다는 것에 놀랐습니다. 과연 앞으로 러시아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미국의 러시아 역사학 권위자 스티븐 코트킨이 최근 포린어페어스에 기고한 ‘러시아의 다섯가지 미래’를 통해 러시아 앞에 놓인 길들을 살펴봅니다.



]]>
<![CDATA[혁신의숲은 왜 모든 스타트업 데이터를 무료로 풀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61816287765536 /article/2024061816287765536 Tue, 18 Jun 2024 17:30:01 +0900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대표, 최형균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스타트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라면 모두가 본다는 ’혁신의 숲‘. 우리나라 스타트업들에 대한 모든 데이터가 올라와 있습니다. 경쟁사의 매출과 고객구조, 성장세 등을 분석하는 데에도 아주 유용하죠. 이 모든 정보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데 그렇다면 이 회사는 어떻게 돈을 벌까요?

]]>
<![CDATA[인텔도, 삼성도 한 수 접는 회사 ASML 이야기 - 티타임즈]]> /article/2024061718017756625 /article/2024061718017756625 Mon, 17 Jun 2024 18:01:56 +0900 이재원 기자,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반도체 생태계 안에서도 가장 중요한 산업이 바로 생산, 즉 파운드리입니다. 어마어마한 생산 수요가 몰리면서 빅테크들이 TSMC와 삼성, 그리고 인텔의 공장에 줄 있는 상황이죠. 그런데 이들 파운드리도 한 수 접고 들어가야 하는 기업이 있습니다. 바로 전 세계 노광장비 시장 점유율 90%를 달리고 있는 ASML입니다. 네덜란드 필립스 옆 나무 창고에서 시작한 회사는 어떻게 일본의 니콘과 캐논을 제치고 시장 1위가 될 수 있었을까요? 그리고 그 시간은 언제까지일까요?

]]>
<![CDATA[역사상 가장 슬픈 클래식, 차이콥스키의 ‘백조의 호수’ - 티타임즈]]> /article/2024061408067759221 /article/2024061408067759221 Sun, 16 Jun 2024 06:00:01 +0900 장민주 PD, 황정현 PD, 강기훈 PD


우리는 왜 슬픈 음악을 들을까요? 위로를 받기 위해서일 것입니다. 실제 연구에서도 애틋한 선율을 들을 때 오히려 긍정적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고 합니다. 이번 ‘주말의 클래식’은 역사상 가장 슬픈 클래식이라는 차이콥스키의 ‘백조의 호수’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차이콥스키는 백조의 호수를 통해 어떤 슬픔을 위로 받고 싶었던 것일까요?


]]>
<![CDATA[졸업하고 AI개발자 되겠다고요? 꿈 깨세요 - 티타임즈]]> /article/2024061418007781709 /article/2024061418007781709 Sat, 15 Jun 2024 08:00:01 +0900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한국의 비상위권 대학의 학생들을 위해 만들어진 '목숨 걸고 도전 하는 코딩 캠프' 테커 부트캠프가 돌아왔습니다. 과거 비공개로 신청을 받던 테커가 최근에는 티타임즈를 통해 몇 차례 지원자를 받았었는데요, 테커를 이끌고 있는 앤드류 박 팔로알토 네트웍스 선임 엔지니어가 할 말이 있다고 합니다. "쉽게 포기하고 나갈 분들은 신청하지 말아달라"는 부탁이라고요.

눈 딱 감고 6주간 최선을 다해 코딩 공부에 매진할 분들만을 모신다고 합니다.




]]>
<![CDATA[왜 빅테크에는 ‘UX 연구원’ 직군이 있을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61410507789705 /article/2024061410507789705 Sat, 15 Jun 2024 06:00:01 +0900 배소진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에는 생소한 직군이 있습니다. 바로 UX 연구원입니다. 프로덕트 매니저(PM), 개발자, 디자이너 등과 함께 일하며 기획부터 전체 프로세스에 관여합니다. 국내에서는 토스가 도입하기도 했죠. 왜 빅테크들은 일찌감치 UX 연구원이라는 직군이 만들었을까요? 이들은 어떤 일을 할까요? 김예림 마이크로소프트 UX 연구원으로부터 들어봅니다.

]]>
<![CDATA[X세대, MZ세대 누가 더 일 잘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61317207773404 /article/2024061317207773404 Thu, 13 Jun 2024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워드와 액셀을 잘 다루는 게 일 잘하는 기준이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 이전에는 술 잘 마시면 1등 직원인 시대도 있었죠. 앞으로는 AI를 잘 다루는 직원이 일 잘하는 직원으로 칭찬 받을 지도 모릅니다.

삼성, 구글, 블리자드 등을 겪은 선배 3인에게 들어봅니다. 요새 일 잘하려면 잘 다뤄야 하는 툴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 세대 직장인과 지금의 직장인 중 정말 '일 잘러'는 어느 쪽인지 알아봅니다.






]]>
<![CDATA[애플 AI 전략을 설명하는 키워드 ‘액션’ - 티타임즈]]> /article/2024061311137798101 /article/2024061311137798101 Thu, 13 Jun 2024 11:13:59 +0900 이재원 기자,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늘 뒤처진다는 평가를 받았던 애플이 드디어 AI 전략을 공개했습니다. 이 전략을 이해하는 키워드는 바로 액션, 즉 행동인데요. 전 세계 20억대가 넘는 애플 디바이스에서 매일같이 벌어지는 이용자들의 행동을 AI가 학습하고, 예측해서 다시 고객들에게 경험으로 돌려주겠다는 게 애플의 구상입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핵심이 되는 게 음성인식 앱에서, 전체 시스템을 총괄하는 앱 에이전트로 승진한 시리이고요. 애플의 AI 청사진과 애플이 열어젖힌 앱 에이전트와 LAM의 시대에 대해 살펴봅니다.

]]>
<![CDATA[전직 구글러가 1년간 트레이더조 알바 해보니 - 티타임즈]]> /article/2024061215407759650 /article/2024061215407759650 Wed, 12 Jun 2024 17:30:01 +0900 이사민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미국인들이 가장 사랑한다는 슈퍼마켓 트레이더 조(Trader Joe's). 손님만이 아닙니다. 직원들도 행복하게 일하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전직 구글러인 로이스김(정김경숙)님이 실리콘밸리 N잡러가 되어 트레이더 조에서 알바를 한 경험을 들어보시죠. 트레이더 조는 어떻게 손님을 대하고, 직원들을 대하는지.

]]>
<![CDATA[나·존·경 세대는 왜 MBTI에 집착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61117097767170 /article/2024061117097767170 Tue, 11 Jun 2024 17:30:01 +0900 배소진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비싼 돈을 들여 퍼스널 컬러 테스트, 헤어 컨설팅을 받고 MBTI에 심취하는 소비자들의 기저에는 어떤 심리가 있는 것일까요? 또 이런 소비자들이 기업에 원하는 건 어떤 경험일까요? 소비자들이 정말 열망하는 브랜드가 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일까요? '소비자의 마음을 읽어드립니다'라는책을 쓴 고려대 송수진 교수에게 들어봅니다.



]]>
<![CDATA[로봇이 유튜브 보고 배우는 LBM 시대가 왔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61010597732266 /article/2024061010597732266 Mon, 10 Jun 2024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로봇이 프로골퍼 영상을 보면 프로만큼 칠 수 있다.” LLM(Largre Language Model)을 넘어 LBM(Large Behavior Model) 시대가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휴머노이드가 사람의 행동 패턴을 보고 따라하는 것이죠. 유튜브를 보고 따라한다는 것입니다. LBM 시대 휴머노이드가 일상에 들어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
<![CDATA[짝사랑의 고통이 탄생시킨 베를리오즈의 ‘환상 교향곡’ - 티타임즈]]> /article/2024060515427770922 /article/2024060515427770922 Sun, 9 Jun 2024 06:00:01 +0900 장민주 PD, 황정현 디자인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짝사랑은 한 사람을 얼마나 미치게 할 수 있을까? 그 사람이 특히 음악가라면?“

클래식에 내러티브를 도입하면서 음악사에서 가장 혁명적이라고 불리는 베를리오즈의 ‘환상 교향곡’. 이 곡은 집요하게 떠오르는 상사병의 고통을 잊기 위해 탄생했습니다. 베를리오즈 자신이 “만족할 길 없이 끝없는 열정에 마비되었다”던 짝사랑의 고통이 그대로 담겨 있습니다.

희망 없는 절망적 사랑, 짝사랑에 대한 병적인 집착을 베를리오즈는 어떻게 음악에 담았을까요?



]]>
<![CDATA[업무용 메신저, 사장님은 열어봐도 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60718577756787 /article/2024060718577756787 Sat, 8 Jun 2024 06:00:01 +0900 이재원 기자, 류지인 디자인기자, 장민주 PD, 박선희 디자인기자, 박성수 기자


강형욱 대표가 운영하던 반려견 훈련업체 보듬컴퍼니와 관련해 논란이 일었죠. 바로 보듬컴퍼니에서 사용한 네이버의 협업툴 '네이버 웍스'의 메신저 감사 기능 때문인데요. 네이버 웍스를 비롯한 각종 업무용 협업 도구가 제공하는 메신저 감사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요. 과연 법적인 문제는 없을지, 업무용 협업 도구를 통해 나눈 직원들의 대화는 누구의 것인지 논의해봅니다.


그리고 하나 더. 이번 논란의 진원지였던 기업 정보 공유 사이트 '잡플래닛'에 대해서도 살펴봅니다. 당초 취지인 기업 정보 공유보다는 '전(前) 재직자의 기업 비방 사이트'라는 오명을 얻고 있는데요. 어떻게 이를 극복할 수 있을지 들어봅니다.

]]>
<![CDATA[개발자들의 입코딩 시대 열렸다 (MS 이건복 상무) - 티타임즈]]> /article/2024060516557771223 /article/2024060516557771223 Thu, 6 Jun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황정현 PD

“이제 개발자들은 AI와 함께 코딩한다” 최근 MS가 연례개발자 회의 ‘MS 빌드’에서 AI 서비스 ‘코파일럿’의 업그레이드 기능을 대거 새롭게 선보였습니다. 개발자들이 AI와 함께 코딩하고, 멀티모달을 쇼핑몰에도 적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실시간 번역기능과 과거 봤던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는 PC도 공개했죠. MS 빌드의 주요 내용을 MS 이건복 상무와 함께 알아봅니다.

]]>
<![CDATA[리더들이 예뻐할 후배, 3년 후에는 싹 바뀐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60417107776886 /article/2024060417107776886 Tue, 4 Jun 2024 17:30:00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과거에는 엉덩이 무거운 사람, 엑셀이나 PPT 등 툴을 잘 다루는 사람이 리더들의 사랑을 받았죠. 그렇다면 지금은 어떤 직원들을 리더들이 예뻐할까요? 앞으로는 어떤 직원이 일 잘한다는 평가를 들을까요?


구글 HR 매니저, 카카오 인사총괄 등을 지낸 황성현 대표와 김정민 삼성SDS 상무, 박종천 전 삼성전자 상무로부터 들어봅니다. 과연 지금 일잘러, 미래의 일자러들은 어떤 사람들일까요? 중요한 것은 3~5년 뒷면 일잘러 기준이 싹 바뀔 거라는 것입니다.

]]>
<![CDATA[남자들이라면 꼭 필요한 AI 챗봇?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4060316037710677 /article/2024060316037710677 Mon, 3 Jun 2024 17:46:17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최형균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장민주 PD, 박성수 기자

AI가 정말 외로움을 치료할 수 있을까요? ‘그럴 수 있다’며 해외 매체에 그 사례로 소개되는 앱을 소개합니다. 데이팅앱 틴더의 전 CEO가 틴더에 대한 회의와 반성으로 만든 AI 챗봇입니다. 사람들로 하여금 가상현실로 빠져들게 해서가 아니라 현실의 인간관계를 잘 헤쳐갈 수 있도록 하면서 외로움을 치료한다는 것입니다. 남자들이 특히 필요하다는 AI챗봇입니다.

]]>
<![CDATA[‘더하기보다 빼기’ 클래식의 이단아 미니멀리즘 음악가들 - 티타임즈]]> /article/2024052915397718989 /article/2024052915397718989 Sun, 2 Jun 2024 06:00:01 +0900 장민주 PD, 황정현 디자인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예술도 저항과 혁신의 역사입니다. 클래식의 이단아를 꼽으라면 미니멀리즘 음악가들입니다. 전후 아방가르드 음악에 대해 “엘리트들의 과하게 고상한 척하는 음악”이라고 비판하며 기승전결의 서사 없이 최소한의 모티브로 강력한 메시지를 담으려 했습니다. 대표적인 음악가가 스티브 라이히, 필립 글래스 등이죠. 이번 ‘주말의 클래식’에서는 클래식 음악의 구조에 파격을 가져온 이단아를 소개합니다.


]]>
<![CDATA[AI 쓰고싶은 직장인과 학생들이 펜과 종이로 공부해야 하는 이유 - 티타임즈]]> /article/2024053117507772338 /article/2024053117507772338 Sat, 1 Jun 2024 06:00:02 +0900 이재원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치열한 경쟁을 펼치며 주기적으로 버전업 되고있는 챗GPT, 제미나이, 클로드와 같은 생성형 AI 서비스. 하지만 막상 유료결제를 해두고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디에, 어떻게 쓸지 감이 잘 오지 않기 때문이죠. 이때 이런 서비스를 어떻게 다루는지보다 먼저 해야 할 일이 있습니다. 바로 펜과 종이를 들고 생성형 AI를 내 업무와 공부에 활용하기 위한 전략을 짜는 일인데요. 김상균 경희대 교수의 팁을 들어봅니다.


]]>
<![CDATA[트럼프가 다시 되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53016027746556 /article/2024053016027746556 Thu, 30 May 2024 17:30:01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최형균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바이든과 트럼프의 리턴매치가 사실상 확정이 된 11월 미 대선에서 성추문 입막음, 의회 난입 선동 혐의 등 사법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트럼프의 당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현재 34개 중범죄 혐의에 대해 배심원단 심리절차가 진행중인 가운데 설령 유죄 판결을 받더라도 옥중 출마와 당선 모두 가능한 상황입니다. 파이낸셜 타임스는 "걱정스럽지만 트럼프가 이길 가능성이 꽤 있다"고 분석합니다. 트럼프가 당선이 되면 국제 정세와 세계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
<![CDATA[애플, 테슬라의 AI 경쟁력을 무시하면 안 되는 이유 - 티타임즈]]> /article/2024052917507757089 /article/2024052917507757089 Wed, 29 May 2024 17:50:38 +0900 홍재의 기자, 박수형 디자인기자, 박성수 기자

우리가 투자를 잘 하기 위해서도 이제는 그 회사의 AI 경쟁력을 봐야 합니다. 그리고 어떤 기업의 AI 경쟁력을 제대로 알려면 먼저 AI가 만들고 있는 시장을 볼 줄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30년 개발자 박종천님이 AI 시장을 분석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우선 AI 시장을 어떻게 구분해야 하는지, 각 시장에서 빅테크 회사들의 위상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
<![CDATA[벤처캐피탈 대표가 일요일 밤마다 골프장 주차장에서 잔 이유 - 티타임즈]]> /article/2024052815237740223 /article/2024052815237740223 Tue, 28 May 2024 17:30:01 +0900 김영덕 전 디캠프 대표, 최형균 기자, 장민주 PD, 강채은 디자인기자

스타트업이 벤처캐피탈의 투자를 받기 위해 엄청나게 노력하는 것처럼 벤처캐피탈도 투자할 돈을 투자받기 위해 엄청나게 노력하고 있죠. 어센도벤처스 이정석 대표와 함께 투자사는 어떻게 투자를 받는지, 이렇게 투자 받은 돈을 어센도벤처스는 어떤 기준으로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있는 들어봅니다.

]]>
<![CDATA[한국의 해킹 실력, 해커 잡는 실력은 어느 정도일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52718267797088 /article/2024052718267797088 Mon, 27 May 2024 18:26:21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박성수 PD, 장민주 PD

글로벌 해커 경연대회를 열면 국내 해커 팀들이 늘 우승을 휩씁니다. 한국 비보이 팀들처럼 말이죠. 그런데 막상 뉴스를 보면 보안망이 뚫렸다는 기사가 쏟아지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백신이나 보안 솔루션 회사는 찾아보기 힘들죠.

그런데 최근 전세계 IP주소를 감시해 안전한 네트워크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국내 보안 회사가 글로벌 시장에서 활약하고 있습니다. 사이버 보안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극복하고 글로벌 시장을 뚫은 AI스페라의 강병탁 대표에게 그 비결과 국내 사이버 보안의 현주소에 대해 들어봅니다.




]]>
<![CDATA[가장 절망적 순간에 탄생한 천상의 선율 ‘시간의 종말을 위한 4중주’ - 티타임즈]]> /article/2024052318147782915 /article/2024052318147782915 Sun, 26 May 2024 06:00:01 +0900 장민주 PD, 황정현 디자인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클래식 중에서 가장 절망적인 순간에 탄생한 곡이지만 가장 아름다운 곡, 메시앙의 ‘시간의 종말을 위한 4중주’. 곡이 연주되자 포로수용소는 시간이 멈춘 듯 모두가 열광적으로 침묵했다.“

바로 2차대전때 나치에 의해 포로수용소에 갇혔던 올리비에 메시앙의 ‘시간의 종말을 위한 4중주’입니다. 가혹했던 나치 수용소에서 이 곡이 만들어지고 연주까지 될 수 있었던 스토리를 들어보시죠.



]]>
<![CDATA[일본은 왜? 라인을 빼앗으려 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52417467719835 /article/2024052417467719835 Sat, 25 May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내 IT서비스 중 글로벌에서 가장 성공한 서비스를 꼽으라면 단연 네이버의 '라인'일 것입니다. 일본의 국민 앱을 넘어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도 한국의 카카오톡과 같은 지위를 누리고 있죠. 그런데 최근 네이버가 라인을 매각해야 할 위기에 빠졌습니다. 일본 정부에서 네이버의 지분을 매각하라는 압박을 넣고 있어 지금껏 일군 글로벌 사업을 다 빼앗길지도 모르게 된 것이죠.

이런 사태는 왜 발생했을까요? 그리고 네이버의 속내는 어떨지 꼼꼼히 짚어봅니다.



]]>
<![CDATA[“직구 금지, 정말 욕먹을 정책인가요?” (김영덕 지마켓 공동창업자) - 티타임즈]]> /article/2024052418427732358 /article/2024052418427732358 Fri, 24 May 2024 18:42:25 +0900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정부가 테무, 알리 등을 통한 중국 직구 규제 정책을 3일만에 철회했습니다. 이와 관련 김영덕 지마켓 공동창업자는 “직구 금지가 정말 욕먹을 정책인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중국 직구가 국내 소비자 안전을 위협할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중국의 유통이 한국의 제조업을 고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번 정책을 비판적으로만 봐서는 안된다는 주장입니다. 다른 생각을 가진 분들께서는 댓글을 통해 의견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DATA[와서 놀아라! 링크드인은 왜 게임을 넣었을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52313557713902 /article/2024052313557713902 Thu, 23 May 2024 17:30:01 +0900 배소진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가장 중요하지만 가장 지루하고 촌스러운 링크드인이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핫스팟이 되고 있다.’

최근 링크드인이 변화를 꿈꾸고 있습니다. 게임을 주가하고 숏폼 영상도 올리게 하고, 인플루언서도 육성하고 있습니다. 틱톡이나 X와 경쟁하겠다는 것이죠.

‘세상에서 가장 재미없는 소셜미디어'라는 링크드인은 왜, 어떻게 변신하려는 것일까요?



]]>
<![CDATA[지역화폐 도입으로 공황도 비켜간 ‘뵈르글의 기적’ - 티타임즈]]> /article/2024052218307776675 /article/2024052218307776675 Wed, 22 May 2024 20:00:01 +0900 김수빈 파도/에디터, 박성수 RA, 최형균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공황을 영원히 없앨 방법은 없을까요?


이와 관련해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냈던 경제학자가 있습니다. 바로 실비오 게젤. 케인스도 그의 아이디어를 표절(?)했다는 평가가 있고, 당대의 경제학자 어빙 피셔가 루즈벨트에게 그의 아이디어를 도입할 것을 건의하기도 했습니다. 바로 돈에 감가상각을 매겨버리는 것이죠.


한마디로 ‘돈도 늙어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실제 그의 아이디어는 오스트리아의 도시 뵈르글에서 성공적으로 실험이 되면서 ‘뵈르글의 기적’이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역사속 사상의 이단아들을 소개하는 ‘김수빈의 삐딱한 교양’ 시리즈 1편, 영원히 공황을 없앨 아이디어를 낸 괴짜경제학자 게젤 이야기입니다.

]]>
<![CDATA[정글짐 커리어의 시대, 전공불문 살아남는 법 (신수정 부사장) - 티타임즈]]> /article/2024052117187760147 /article/2024052117187760147 Tue, 21 May 2024 17:30:02 +0900 이사민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장민주 PD


“이제 커리어 관리는 입사를 하면 5년, 10년 후가 쫙 보이는 사다리 올라가기가 아니다. 오히려 정글짐과 같다. 밧줄 타고 올라가야 할 수도 있고 몽키바에 매달려 건너가야 할 수도 있고, 미끄럼틀 타고 내려가야 할 수도 있다. 전혀 안 해본 일을 해야 할 수도 있다.”

커리어가 정글짐이 된 시대에 우리는 어떻게 정글짐을 타야 할까요? 어떻게 커리어를 관리해야 할까요? <커넥팅>을 출간한 신수정 KT 부사장의 조언을 들어봅니다.


]]>
<![CDATA[무인전투기, 무인탱크, 무인잠수함… 록히드 마틴의 시대가 끝나고 있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52015117752367 /article/2024052015117752367 Mon, 20 May 2024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박성수 RA, 최형균 기자, 류지인 디자인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록히드 마틴의 시대가 가고 군사 스타트업의 시대가 오고 있다.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이 무기회사를 인수한 뒤 OS 탑재해 무기를 납품하고 있다. 이제 12척의 배만 있어도 전쟁에서 이길 수 있는 시대다.”

전쟁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는 군사용 AI 기술과 무기에 대해 강정수 박사와 함께 알아봅니다.

]]>
<![CDATA[‘봄의 제전’ 스트라빈스키 뒤에는 위대한 HR 전문가가 있었다 (조은아 교수) - 티타임즈]]> /article/2024051716147714387 /article/2024051716147714387 Sun, 19 May 2024 06:00:01 +0900 조은아 교수, 장민주 PD



“스트라빈스키 뒤에는 위대한 HR 전문가가 있었다.”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작곡가로 꼽히는 스트라빈스키. ‘음악사 전체를 자신의 것으로 만들려고 한 야심가’로 평가 받습니다. 1913년 그의 ‘봄의 제전’ 공연은 엄청난 찬반 논란을 일으키며 관객들의 몸싸움으로 번질 정도로 혁명적이었습니다.

이 위대한 작곡가의 뒤에는 위대한 예술 기획자가 있었습니다. 독보적 HR 능력을 가졌던 디아길레프. 그가 만든 발레단은 스트라빈스키(음악), 피카소‧마티스‧브라크(무대 디자인), 니진스키‧포킨‧마신(안무)의 어벤져스로 구성되기도 합니다. 스트라빈스키 ‘봄의 제전’의 탄생 과정을 조은아 교수와 알아봅니다.


]]>
<![CDATA[AI시대에도 '어도비'를 주목하라 - 티타임즈]]> /article/2024051716487727519 /article/2024051716487727519 Sat, 18 May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SaaS 형태로 제공되지 않는 소프트웨어는 이제 찾아보기 힘들어졌습니다. SaaS가 곧 소프웨어라는 말인데요, SaaS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시장이 '개발'과 관련된 B2B SaaS입니다. 일반인들에게 유명하지 않더라도 업계에서는 이미 잘 나가는 SaaS 회사들이 많은데요, 숨겨진 강자들 중에는 어떤 회사들이 있을까요? 그리고 이들은 어떻게 돈을 벌고 있을까요? 30년 경력의 박종천 개발자의 SaaS 회사 분석 마지막 시간. 그가 꼽아주는 알짜배기 회사들을 만나보시죠.




]]>
<![CDATA[군사AI 전시장 우크라이나, 어떤 무기들이 활약하나? (강정수 박사) - 티타임즈]]> /article/2024051616537782958 /article/2024051616537782958 Thu, 16 May 2024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박성수 RA, 강채은 디자인기자

열세 우크라이나의 장기항전 비결은 다름 아닌 ‘군사AI’입니다. 전세계 ‘군사AI’ 스타트업들이 몰려 우크라이나를 지원하고 있죠. 정확하게 말하면 자신의 군사용 AI를 실험하고 증명하고 있는 것입니다. AI가 러시아군의 이동경로를 예측하고, 러시아 스파이를 순식간에 잡아내고, 우크라이나군의 전력을 감안해 최적의 전략을 제안합니다. 강정수 박사와 군사용 AI에 대해 알아봅니다.

]]>
<![CDATA[커리어 관리는 레고블록처럼 해야 한다 (신수정 작가) - 티타임즈]]> /article/2024051418127722854 /article/2024051418127722854 Wed, 15 May 2024 06:00:02 +0900 이사민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장민주 PD


“한 두 회사가 아니라 여러 회사를 다녀야 하는 시대입니다. 한가지 일이 아니라 여러 일을 해야 하는 시대이기도 하죠. ‘나는 재무쪽이야’ ‘나는 인사야’라는 게 통하지 않는다는 것이죠. 해보지 않은 일도 배워서 해야 합니다. 그래서 커리어 패스가 아니라 커리어 포트폴리오가 중요해졌습니다. 이것저것 쌓아가면서 필요할 때 조립해야 하는 것이죠.”

일하는 사람들의 커리어 관리를 위해 <커넥팅>을 출간한 신수정 KT 부사장으로부터 달라진 시대 커리어 관리를 위한 조언을 들어봅니다. 한가지 역량만으로는 살 수 없는 시대, 어떻게 커리어 포트폴리오를 만들어야 할까요?


]]>
<![CDATA[중국의 제조업 굴기에 미국은 AI 굴기, 세계경제 어떻게 재편되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51416547761523 /article/2024051416547761523 Tue, 14 May 2024 17:00:01 +0900 최형균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세계의 공장이던 시대가 끝났다던 중국이 다시 제조업 굴기입니다. 전 세계 유통까지 다 먹어버리겠다는 구상입니다. 이것이 세계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미국정부까지 나서 AI에 진심인 이유도 이와 관련돼 있습니다. 단기간에 AI를 끌어올리기 위한 미국정부 차원의 드라이브로 AI 버블이 시작된 것이죠. 이효석 HS아카데미 대표의 중국의 제조업 굴기와 미국의 AI 굴기에 대한 분석을 들어보시죠.

]]>
<![CDATA[삼성, 애플, MS는 과연 어떤 “LAM”을 선보일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51317047764785 /article/2024051317047764785 Mon, 13 May 2024 17:31:58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LLM(거대 언어모델)이 앞으로 세상을 바꿀 줄 알았는데 이제는 LMM(거대 멀티모달모델)과 LAM(거대 액션모델)의 혁명적인 시장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합니다. LLM과는 무엇이 다르고 어떤 기업이 LMM과 LAM 시대를 이끌어가게 될까요? 김지현 SK 부사장이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 AI전쟁의 핵심 포인트를 정리해드립니다.

]]>
<![CDATA[AI가 완성한 베토벤 미완의 10번 교향곡, 반응은 어땠을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51012387755355 /article/2024051012387755355 Sun, 12 May 2024 06:00:01 +0900 조은아 교수, 장민주 PD


베토벤의 마지막 교향곡은 9번 ‘합창’입니다. 하지만 베토벤은 10번에 대한 스케치를 남기죠. 연주시간이 11초에 불과한 250개 음표의 네 마디 선율입니다. 최근 인공지능이 미완의 10번을 완성했습니다. 청력을 상실했던 베토벤이 책상 앞에서 음표를 붙잡고 작업한 것처럼 베토벤의 선율과 화성을 데이터로 학습해 작곡한 것이죠. 베토벤의 고향 본에서 인간 연주자들에 의해 10번이 연주되었을 때 사람들의 반응은 어땠을까요? 피아니스트 조은아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와 함께 하는 ‘주말의 클래식’ 1편은 인공지능이 작곡한 베토벤 교향곡 10번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
<![CDATA[민희진 대표의 파격적 기자회견 전후사정 살펴보기 - 티타임즈]]> /article/2024051018207750473 /article/2024051018207750473 Sat, 11 May 2024 06:00:02 +0900 이재원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최근 화제가 됐던 민희진 어도어 대표의 기자회견! 원고 한 장 없이 등장해 두 시간 넘게 속사포로 억울함을 쏟아냈죠. 형식도, 내용도 파격적이었던 덕에 속 시원하다는 반응도 있었는데요. 정작 기자회견의 이유가 된 민 대표와 하이브 사이 갈등에 대해선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둘 사이에는 어떤 일이 있었고, 왜 이런 일이 생겼을까요?

]]>
<![CDATA[AI 공부시킬 데이터 확보에 사활건 빅테크 - 티타임즈]]> /article/2024050916587748386 /article/2024050916587748386 Thu, 9 May 2024 17:30:01 +0900 배소진 기자, 류지인 디자인기자


더 똑똑한 AI 모델을 만들기 위해선 더 많은 고품질의 언어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무한할 것 같았던 인터넷 상 데이터는 이제 고갈 위기에 처했죠. AI 경쟁 중인 빅테크 기업들은 위법 가능성을 알면서도 데이터 수집에 열을 올리고, 데이터를 보유한 기업들은 자신들의 자산을 지키기 위해 빗장을 걸어 잠그고 있습니다.



]]>
<![CDATA[두바이에 부동산 투자해도 되나요? - 티타임즈]]> /article/2024050816307731673 /article/2024050816307731673 Wed, 8 May 2024 20:00:01 +0900 홍재의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사우디아라비아의 빈 살만 왕세자가 한번 뜨면 전세계의 기업인들이 줄을 섭니다. 사우디의 오일머니를 투자받기 위함인데요, 사우디 국부펀드로 알려져있는 이들의 투자 규모는 얼마나 될까요? 그리고 이들의 지원을 받아 중동에 진출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두바이에서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보유한 원요환 더케이아랍 대표가 중동의 스타트업 지원 환경과 투자 환경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
<![CDATA[4년되면 지친다는 아마존, 나오고 싶지 않다는 구글 - 티타임즈]]> /article/2024050717107729592 /article/2024050717107729592 Tue, 7 May 2024 17:31:24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구글과 아마존 같은 빅테크 기업에서는 수시로 구조조정이 일어납니다. 저성과자를 해고하기도 하고 부서 전체를 없애버리기도 하는데요, 빅테크의 직원 해고 방법은 어떨까요? 아마존, 구글, MS, SAP 등 글로벌 대기업에서 두루 일해본 정우근 MS 팀 리드가 빅테크 기업에서 일 할 때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낱낱이 밝혀 드립니다.





]]>
<![CDATA[이스라엘과 이란, 짜고 친 듯 하지만 충격이 크다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4050314537773945 /article/2024050314537773945 Mon, 6 May 2024 06:00:01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이사민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최근 이스라엘과 이란이 사상 처음으로 서로 본토를 공습하면서 충격을 주었죠. 큰 펀치보다 잽을 날리는 정도였고 몇 번이나 공습을 예고했다는 점에서 짜고치는 듯 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사상 처음의 본토 공격이라는 점에서 상징적 충격이 큽니다. 더욱이 양국 모두 국내 정치적 목적으로 공습을 활용했다는 점에서 재발 가능성도 적지 않습니다. 앞으로 3차 대전이 일어나면 그 시작은 이스라엘과 이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은데 국제시사문예지 파도와 함께 이번 전쟁을 분석해봅니다.


]]>
<![CDATA[네이버, 쿠팡, 11번가, G마켓… 테무‧알리 공습의 가장 타격은 어디? - 티타임즈]]> /article/2024050318157791624 /article/2024050318157791624 Sun, 5 May 2024 06:00:02 +0900 홍재의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알리와 테무가 국내 이커머스 월간 이용자수 부문에서 각각 3위와 4위에 올랐습니다. 2위 11번가를 턱 밑까지 추격했는데요, 오픈 마켓 플랫폼은 앞으로 속수무책으로 당해야 할까요? G마켓 공동창업자인 김영덕 전 디캠프 대표는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 잡을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고 합니다. 중국발 공습에 맞서 우리나라 중소상공인들과 플랫폼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
<![CDATA[테무, 알리 공습에도 무신사가 매출 1조원 올린 비결 - 티타임즈]]> /article/2024050401577725339 /article/2024050401577725339 Sat, 4 May 2024 08:00:01 +0900 이재원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MZ세대의 옷 사는 습관을 바꾼 무신사가 지난해 불황과 테무, 알리 등 중국 이커머스의 공습에도 매출 9931억원을 달성했습니다. 5년 전보다 10배 성장한 것이죠. 그 비결은 무엇일까요?


플랫폼이 성공하려면 플랫폼안의 소비자와 공급자가 모두 흥해야 합니다. 무신사는 어떻게 양쪽 모두의 칭송을 받게 되었을까요?


아마존도 뛰쳐나온 나이키도 최근 입점해 주목받고 있는 무신사를 집중 분석합니다.

]]>
<![CDATA[로봇청소기에 AI 붙으면 청소만 할까? (김지현 부사장) - 티타임즈]]> /article/2024050217267724373 /article/2024050217267724373 Thu, 2 May 2024 17:26:05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인공지능이 온라인을 넘어 현실계로 튀어나오고 있습니다. 휴머노이드 로봇이 아니라도 이미 사람의 말을 알아들을 수 있는 로봇청소기도 등장했는데요. 로봇청소기에 AI가 결합되면 과연 청소만 할까요? 카메라, 경보기가 붙으면 방범 청소기가 될 수도 있고, 아이와 놀아주는 청소기가 될 수도 있을 겁니다. 이미 기술은 준비되고 있습니다. 우리가 어떤 상상을 해서 어떻게 구현하느냐의 문제입니다. 생성AI가 만들 현실계의 변화를 김지현 SK부사장에게 들어봅니다.




]]>
<![CDATA[슬금슬금 AI에 의존하다 진창에 빠지는 상황이 온다? (이준환, 장강명, 장대익) - 티타임즈]]> /article/2024043018317759029 /article/2024043018317759029 Wed, 1 May 2024 09:00:01 +0900 장민주 PD

AI에 하나씩 양보하다가 인간에게 남은 게 없는 상황이 올까요? 아니면 그럼에도 여전히 인간의 역할이 있을까요? “결국 아웃라이어는 인간이 만들어낼 것”이라는 이준환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와 “슬금슬금 AI에 의존하다가 어느 순간 진창에 빠져 있는 스스로를 발견하게 될 것”이라는 장강명 작가, 그리고 “그저 뭔가를 하고 있다는 자기만족감으로 만족해야 하는 시대가 올 수 있댜”는 진화심리학자 장대익 가천대 창업대학장의 토론을 들어보시죠.

]]>
<![CDATA[AI기자의 실력, 어디까지 왔나? (이준환 서울대 언론정보학 교수) - 티타임즈]]> /article/2024043018287745766 /article/2024043018287745766 Wed, 1 May 2024 08:00:02 +0900 장민주 PD


언론정보학과 학생들도 신문을 읽지 않는 시대, AI가 뉴스를 어떻게 바꿀까요? 뉴스를 만들고 게이트 키핑을 하고, 뉴스를 읽는 방식에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가천대 창업대학 코코네스쿨의 ‘생성AI와 인문 지식생태계’ 포럼에서 이준환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가 발표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
<![CDATA[“소설가의 자부심이 개발자의 손 끝에 달렸다” (장강명 작가) - 티타임즈]]> /article/2024043018307783760 /article/2024043018307783760 Wed, 1 May 2024 06:00:01 +0900 장민주 PD

AI가 10초에 한 편씩, 그러니까 AI가 하루 8640편의 작품을 쏟아낸다면, 그것도 소설가 수준의 작품을 쏟아낸다면 문학 생태계는 어떻게 될까요? 실제 그런 일이 올 수 있다고 생각하는 장강명 작가는 “소설가의 운명이 개발자의 손 끝에서 결정이 되는 야생의 문학 생태계가 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가천대 창업대학 코코네스쿨의 ‘생성AI와 인문 지식생태계’ 포럼에서 장강명 작가가 발표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
<![CDATA[아마존 직원이 폭주기관차라면 구글 직원들은 따뜻하다? (정우근 MS 리드) - 티타임즈]]> /article/2024043018037768916 /article/2024043018037768916 Tue, 30 Apr 2024 18:03:01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구글은 구글에 딱 맞는 사람들을 어떻게 뽑을까요? 정답도 없는, 그 어렵다는 면접 질문으로? 이것만은 아닙니다. 아마존, 구글, MS를 두루 경험한 정우근 MS 팀리드로부터 구글은 어떤 사람을 원하는지, 그런 사람을 어떻게 가려내는지 들어봅니다.




]]>
<![CDATA[알리·테무의 공습! 진짜 피해자는 100만명 국내셀러 - 티타임즈]]> /article/2024042917197736960 /article/2024042917197736960 Mon, 29 Apr 2024 17:30:02 +0900 홍재의 기자, 류지인 디자인기자

알리와 테무의 국내 점유율이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11번가, G마켓, 옥션 등은 직접적인 타격을 받고 있죠. 알리와 테무는 어떻게 이렇게 싼 가격이 가능한지, 국내 플랫폼과 셀러, 중소기업이 어떻게 영향을 받고 있는지 G마켓 공동창업자이자 인터파크 CTO, CMO, CSO 출신인 김영덕 전 디캠프 대표와 분석합니다.




]]>
<![CDATA[면접만 6번 아마존 취업, 어떤 사람이 통과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42617577756285 /article/2024042617577756285 Sun, 28 Apr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아마존은 어떤 사람을, 어떤 방식으로 뽑을까요? 어떤 사람이 아마존에 어울릴까요? 아마존에 들어가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 아마존, 구글, MS를 두루 경험해 본 정우근 MS 팀리드로부터 들어봅니다. 왜 아마존에서 일하는 사람은 “훌륭한 팀원이 많아서 좋다. 인턴들에게도 배울 게 참 많다”고 말하는지 아시게 될 겁니다.

]]>
<![CDATA[네옴시티, 조롱당하면서 사우디가 강행하는 이유 - 티타임즈]]> /article/2024042617477721743 /article/2024042617477721743 Sat, 27 Apr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170㎞ 길이의 미래도시 ‘네옴시티’를 건설하겠다는 사우디. 하지만 네옴시티 '더 라인'이 2.4㎞ 샘플도시로 전락할 위기에 빠지며 사우디가 조롱을 받고 있습니다. 사우디는 왜 이렇게까지 무리를 하면서 네옴시티를 띄웠을까요?

그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UAE, 카타르, 사우디간 벌어지고 있는 중동 허브 전쟁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란이 중동 패권을 잃은 이후 치열하게 전개되는 삼국간의 경쟁을 두바이에서 언론사를 운영하고 있는 원요환 더케이아랍 대표가 그 이유를 설명해 드립니다.

]]>
<![CDATA[오픈AI, 앤스로픽, 구글, 메타… 최근 생성AI 트렌드 총정리 - 티타임즈]]> /article/2024042515457764657 /article/2024042515457764657 Thu, 25 Apr 2024 17:38:49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2023년까지 생성형AI 경쟁이 ‘LLM’ 경쟁이었다먼 이제부터는 ‘LMM’ 경쟁이다. 동시에 오감으로 세상의 물리법칙을 이해하고, 몸을 가지고 현실세계로 튀어나오는 ‘임바디드(embodied) AI’의 경쟁이다.”

지난해까지 생성AI의 경쟁력은 얼마나 더 정확하고 적절하게 대답해주는지였습니다. 그런데 앞으로는 다릅니다. 보고, 듣고, 말하는 멀티모달 능력에다 몸까지 갖추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멀티 모달' 전쟁이 된 생성AI 시장에서 주목해야 할 지점을 김지현 SK 부사장으로부터 들어봅니다.






]]>
<![CDATA[빅테크는 청소년들의 뇌를 어떻게 망가뜨리고 있나?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4042417407719318 /article/2024042417407719318 Wed, 24 Apr 2024 17:50:01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이사민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가 ‘집중적 상실세대’라는 세계적 정신질환을 유발하고 있다.” 조너선 하이트 뉴욕대 교수는 신간 '불안한 세대'에서 지금 당장 10대에게 스마트폰 사용을 금지시키지 않으면 이들이 성인이 되면 엄청난 세계적 재앙이 올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좋은 교육으로 집중력을 온전히 유지한 '인지 엘리트cognitive elite'와 스스로 생각하고 집중할 능력을 잃어 인지 엘리트들에게 정치적·경제적으로 예속되는 '인지 프롤레타리아'로 양분될지도 모른다는 지적입니다.


]]>
<![CDATA[아마존고는 무인이 아니었다? 1천명 원격 계산원의 정체는 - 티타임즈]]> /article/2024042316017761124 /article/2024042316017761124 Tue, 23 Apr 2024 17:30:01 +0900 배소진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계산하지 않고 나오기만 하면 되는 무인편의점 아마존고 상당수가 문을 닫은 데 이어 아마존의 식료품점 아마존 프레시에서도 아마존고 기술이 퇴출이 됩니다. 대신 물건을 담으면 계산이 되는 카트로 대체될 것이라고 합니다. 저스트워크아웃 기술이 스마트카트보다 못한 것으로 판명이 난 것이죠.

여기에다 아마존고 기술이 원래부터 무인이 아니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1천명의 인도 직원이 원격으로 거래명세가 정확한지 수동으로 검사를 했다는 것입니다. 아마존고 논란 총정리합니다.



]]>
<![CDATA[중국 휴머노이드 로봇이 몰려온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42215447781952 /article/2024042215447781952 Mon, 22 Apr 2024 17:30:02 +0900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중국이 내년부터 노동자 1만명당 500대의 로봇을 배치하겠다고 발표했죠. 중국의 노동인구가 7억명 정도인 것을 고려하면 총 3,500만대의 로봇을 현장에 배치하겠다는 것입니다. 거의 한 나라 인구입니다. 이미 중국은 테슬라 옵티머스의 카피캣 휴머노이드를 내놓고 있습니다. 전기차처럼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이 몰려올 수 있는 것이죠. 강정수 박사는 “전 세계가 로봇 생산에 들어간다면 반도체 사이클이 바뀔 수 있다”고 전망합니다. 10~20년 동안 상승하는 슈퍼 사이클이 그려질 수도 있다는 것이죠. 또한 의대나 컴퓨터공학 이상으로 기계공학의 전망도 밝다는 분석입니다.

]]>
<![CDATA[글로벌에서 대박 날 한국산 제품, 뭐가 있을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41917087743568 /article/2024041917087743568 Sun, 21 Apr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한국의 중소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꾸준히 좋은 상품으로 성적을 내왔습니다. 코로나 이전에는 화장품, CCTV 등으로 성과를 올렸고 코로나 기간 동안에는 마스크를 불티나게 팔았습니다. 그렇다면 지금은 어떤 제품이 글로벌에서 먹힐까요? 글로벌소시스의 김진완 팀장이 최근 수출 트렌드를 짚어드립니다.





]]>
<![CDATA[지옥 같았던 한 해, 유니콘은 어떻게 살아남았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41917507735645 /article/2024041917507735645 Sat, 20 Apr 2024 07:00:01 +0900 홍재의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투자 심리는 위축되고, 경기는 얼어 붙고, 잘나가던 스타트업들에게 지난 해는 지옥과도 같은 한 해였습니다. 투자금을 태워가며 유니콘이 된 스타트업들은 갑자기 허리띠를 졸라 메고, 수익을 거둘 방법을 찾아 헤맸죠. 일부는 단단한 기업으로 성장했고, 일부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얼마전 공개된 스타트업들의 2023년 성적표. 누가 살아남았고, 그리고 어떻게 살아남았을까요?



]]>
<![CDATA[오젬픽 이코노미, 모든 산업이 비만치료제 영향권이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41815317724246 /article/2024041815317724246 Thu, 18 Apr 2024 17:30:01 +0900 배소진 기자, 류지인 디자인기자



오젬픽, 위고비, 마운자로, 젭바운드… 비만치료제가 식품, 유통, 패션, 의료 등 전 산업에 엄청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른바 오젬픽 이코노미입니다. 패스트푸드, 식품회사, 음료회사가 직격탄을 맞으며 사업 재편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석, 나이키나 룰루레몬 같은 운동의류와 피트니스 체인이 큰 수혜를 입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옵니다. 또 승객들의 체중이 줄게 되면서 항공사들도 수혜주가 될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비만치료제의 나비효과를 분석합니다.



]]>
<![CDATA[테슬라, 아마존, 피규어AI 휴머노이드 로봇 경쟁력 해부 (강정수 박사) - 티타임즈]]> /article/2024041617177710011 /article/2024041617177710011 Tue, 16 Apr 2024 17:30:01 +0900 최형균 기자, 홍재의 기자, 박성수 RA, 황정현 PD, 장민주 PD

AI로봇 경쟁이 본격화하면서 기업들이 로봇의 경제성 확보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아틀라스처럼 덤블링을 하고, 뛰어다닐 수 있더라도 로봇 가격이 높으면 시장에서 외면을 받을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어질리티 로보틱스가 아마존 물류창고에 납품하는 로봇 디짓에 손가락이 없는 평면 손바닥만 탑재한 것도 그만큼 로봇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한 것이죠. 테슬라가 자사 전기차에 설치하는 배터리, AI를 옵티머스에 탑재한 것도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려는 목적입니다.

]]>
<![CDATA[퀄컴 vs 애플, 인텔 vs ARM, 윈도 vs 맥, AI PC 경쟁구도 살펴보기 - 티타임즈]]> /article/2024041517497796248 /article/2024041517497796248 Mon, 15 Apr 2024 17:49:33 +0900 이재원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인공지능 생태계의 패권 장악을 위한 경쟁이 우리 눈앞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만큼이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랩톱 PC, 즉 노트북 경쟁인데요. 2023년 말부터 다양한 PC 제조사에서 AI PC를 내놓으며 경쟁이 격화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AI PC 경쟁은 단순히 PC 제조사끼리의 경쟁이 아닙니다. PC에 탑재되는 AI 반도체와 반도체의 설계, 그리고 그 위에서 작동하는 OS 경쟁까지 수많은 빅테크가 경쟁을 벌이고 있는데요. 소비자와 가장 가까운 디바이스인 노트북에서 시작되는 AI 경쟁의 구도에 대해 살펴봅니다.

]]>
<![CDATA[직구? 인플루언서? 글로벌 진출 이렇게 하면 무조건 망합니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41215057789713 /article/2024041215057789713 Sun, 14 Apr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해외 직구 물품들이 국내에 쏟아져 들어오고 있습니다. 국내 시장에서 활동하던 중소기업에게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이죠. 글로벌 시장에 진출해야만 한다는 압박감은 더 심해집니다. 글로벌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해외 파트너가 한 곳도 없는 중소기업은 어떻게 글로벌 비즈니스를 시작해야 할까요? 53년 동안 해외 바이어와 국내 기업들의 매칭을 도와준 기업의 전문가가 나섰습니다. "여러분, 해외 비즈니스는 이렇게 시작하는 겁니다"





]]>
<![CDATA[스스로 규칙 배우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몰려온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41218237750668 /article/2024041218237750668 Sat, 13 Apr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박성수 RA, 황정현 PD, 장민주 PD

테슬라, 아마존, 오픈AI, 엔비디아의 AI로봇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생성형AI의 멀티모달 기술이 적용되면서 로봇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 됐기 때문입니다. 특히 산업현장이나 물류센터에서는 수 년 내 수 만대의 로봇이 사람을 대신하게 될 것 같습니다. AI로봇 개발을 둘러싼 빅테크의 경쟁에 대해 강정수 박사와 살펴봅니다.

]]>
<![CDATA[요즘 가장 핫한 프로그래밍 언어는 자연어 (엄경순 구글클라우드 CTO) - 티타임즈]]> /article/2024041115237731310 /article/2024041115237731310 Thu, 11 Apr 2024 17:30:01 +0900 엄경순 CTO, 최형균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많은 회사가 생성AI를 가장 접목하고 싶어하는 분야가 고객관계 제고와 방대한 데이터에서 고객 인사이트를 추출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생성AI를 도입하려는 기업과 숱하게 협업해 온 엄경순 구글클라우드 CTO는 딱 보면 안다고 합니다. 도입해서 잘 될 회사와 그렇지 않을 회사. 어떤 회사가 그럴까요?

]]>
<![CDATA[요즘 아이비리그 대학들이 이상하다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4040917057721825 /article/2024040917057721825 Wed, 10 Apr 2024 06:00:02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이사민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아이비리그 명문 대학들이 “이상하다” “예전만 못하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학문적 성과를 보면 자연과학 분야 세계 톱5 저널에 논문을 게재한 저자의 숫자가 중국 대학과 연구소에 추월을 당했습니다. 공부량이 3분의 1로 줄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학내 분위기에 대한 비판도 나옵니다. 너무 비관용적인 진보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죠. 국제시사문예지 파도(PADO)와 함께 알아봅니다.

]]>
<![CDATA[실리콘밸리에 아시아계 임원이 적은 이유 (황승진 스탠퍼드대 교수) - 티타임즈]]> /article/2024040817587712613 /article/2024040817587712613 Mon, 8 Apr 2024 17:58:02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실리콘밸리 기술 기반 기업에서 근무하는 전문직 종사자 중 47%는 아시아계라고 합니다. 백인(40%)보다도 더 많다고 하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CEO, 부사장 등 빅테크 임원 중에는 아시아 계가 훨씬 적습니다. 미국 기업에 보이지 않는 유리천장이 있는 것일까요? 아니면 아시아계 직원들이 무언가 부족한 면을 갖고 있어서일까요? 스탠퍼드대 최초 한국인 종신 교수인 황승진 교수가 그 이유를 분석해봅니다.




]]>
<![CDATA[스타트업들은 이제 구글 출신을 좋아하지 않는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40517387750957 /article/2024040517387750957 Sun, 7 Apr 2024 06:00:02 +0900 배소진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구글 순다 피차이의 리더십에 대한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오픈AI에 AI 주도권을 내준 것도 있지만 내부의 팽배해진 관료주의에 대한 책임도 크다는 지적입니다.

웨이즈, 앱시트 등 구글이 인수했던 스타트업 창업자들은 최근 몇 년 사이 “워라벨과 복지에 익숙해진 직원들이 연봉과 승진에 도움이 되는 일만 하려고 한다” “구글이 보고와 회의에 갇혀 있다”고 비판하면서 구글을 떠났습니다. 그 이유의 상당부분이 누구의 기분도 상하지 않고 적을 만들지 않으려는, 그래서 주요 사안마다 결정을 미루는 피차이의 리더십때문이라는 지적입니다.



]]>
<![CDATA[생성형AI가 직원들을 ‘갑’으로 만든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40517227723817 /article/2024040517227723817 Sat, 6 Apr 2024 06:00:01 +0900 이건복 MS/상무,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이건복 마이크로소프트 상무는 생성형AI를 도입한 기업들과 협업하면서 놀랄 때가 많다고 합니다. 직원들의 마인드가 달라졌다는 것이죠. 자신에게 할당된 업무의 칸만 채우기 바쁘던 직원들이 관리자가 된 것처럼 이 칸의 의미, 다른 칸과의 관계 등을 고려하게 되면서 업무에 대한 시각이 넓어지더라는 것입니다. AI툴이 업무에 대한 직원들의 관점을 어떻게 바꿀까요?


]]>
<![CDATA[당근마켓, 쏘카 직원들이 데이터를 잘 감시하는 비결 - 티타임즈]]> /article/2024040417097798814 /article/2024040417097798814 Thu, 4 Apr 2024 17:30:59 +0900 홍재의 기자, 류지인 디자인기자

데이터가 돈인 시대라고 하지만 돈으로 만들려면 잘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그래야 어디서 돈이 나올지, 뭐가 돈이 될지, 돈을 적게 들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가 보이기 때문입니다. 당근마켓, 쏘카, 진에어와 CJ올리브영 등의 회사들은 어떻게 데이터 모니터링을 하는지 소개합니다. 이들 회사의 공통점은 모든 데이터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죠.




]]>
<![CDATA[GPUaaS! 엔비디아의 변신이 시작됐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40318167717997 /article/2024040318167717997 Wed, 3 Apr 2024 18:20:33 +0900 이재원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엔비디아의 연례 개발자 행사 GTC2024가 막을 내렸습니다. 5년만에 다시 오프라인으로 열린 행사에서 엔비디아는 압도적인 성능의 신형 GPU 블랙웰 시리즈를 내놓으며 인공지능을 이끄는 기업임을 증명했는데요. 이제 여기서 나아가 AI 소프트웨어와 디지털 트윈, 그리고 로봇 산업까지도 진출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엔비디아가 강력한 하드웨어를 바탕으로 준비하고 있는 변신에 대해 살펴봅니다.

]]>
<![CDATA[생성형AI로 안 살 사람도 사게 하는 법 - 티타임즈]]> /article/2024040218077789634 /article/2024040218077789634 Tue, 2 Apr 2024 18:07:15 +0900 하정우 센터장, 최형균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고객관계에서 생성형AI의 위력은 고객의 마음을 더 높은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살 생각이 없었던 고객, 살지 말지 고민하는 고객도 사게 하면서 추천의 성공확률을 높이고 충성고객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것이죠. 나아가 일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영상과 음성 등의 멀티모달 언어모델을 활용하면 구전으로만 전수가 되던 현장의 노하우를 신입직원 교육에 활용이 될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하정우 네이버 퓨처AI 센터장의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
<![CDATA[알토스벤처스의 지도교수 황승진이 말하는 김봉진과 김범석 - 티타임즈]]> /article/2024040117547761921 /article/2024040117547761921 Mon, 1 Apr 2024 17:54:11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배달의민족, 쿠팡, 토스 등에 투자하며 한국의 벤처생태계를 일군 알토스벤처스도 사실 이 분 때문에 탄생했습니다. 바로 황승진 스탠퍼드 경영대학원 교수입니다. 김한준(한 킴) 대표 등 자신의 한국인 제자들에게 벤처캐피탈을 만들고 한국 스타트업에 투자할 것을 권유하면서 알토스가 만들어졌고 그 덕분에 한국에 스타트업 붐이 가능했던 것입니다. 스탠퍼드대 첫 한국인 종신교수인 황 교수로부터 35년간 재직하면서 만났던 세계적 리더들, 그리고 알토스의 창업, 배민과 쿠팡 투자 등에 얽힌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
<![CDATA[CES와 MWC의 차이, 왜 MWC는 정장과 구두가 많을까? (최재홍 교수) - 티타임즈]]> /article/2024032918367768552 /article/2024032918367768552 Sun, 31 Mar 2024 06:00:01 +0900 최재홍 교수, 장민주 PD

자타공인 CES와 MWC를 국내에서 가장 많이 다녀온 최재홍 교수가 한 방에 정리합니다. CES와 MWC의 차이, 그리고 MWC 10년사를 통해본 기술트렌드의 변화와 전망.


단적으로 CES는 캐주얼, 운동화 차림의 젊은 층이, MWC는 정장과 구두의 중년이 많습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MWC 10년사를 돌아보면 한국기업과 중국기업의 위상은 어떻게 변화했을까요?

]]>
<![CDATA[알리, 테무의 공습에 위태로운 자, 유리해진 자 - 티타임즈]]> /article/2024032918027760222 /article/2024032918027760222 Sat, 30 Mar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이마트가 창사 이래 처음으로 전사 희망퇴직을 단행한다고 합니다. 쿠팡과의 배송 경쟁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겠지만 중국 직구 바람까지 더해져 미래가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네이버는 한 증권사 리포트에서 목표주가가 하락 됐죠. 쇼핑 경쟁력에 대한 지적을 받았다고 하는데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의 영향이 크다고 합니다.


지난해 말 중국발 직구 열풍 때만 해도 바람에 그칠 줄 알았는데 올들어 국내 이커머스 시장 구도를 바꿔놓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국내 이커머스 회사들에 대한 역차별을 들여다보기 시작했고 국내 기업들은 계산기를 두드리며 어느 편에 서야 할지를 고민하기 시작했습니다.


중국발 이커머스 시장 재편은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까요?



]]>
<![CDATA[가두리양식 안통하는 AI, 오픈AI 지배력 계속 갈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32817147785759 /article/2024032817147785759 Thu, 28 Mar 2024 17:18:24 +0900 이재원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생성형 AI를 활용한 추론 경쟁, 즉 서비스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앱 측면에서는 1위를 달리던 오픈AI의 챗GPT가 위협받고 있고요. 온 디바이스 AI 경쟁에서는 퀄컴이 달려나갈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어떤 기업들은 고객사가 하던 영역까지 직접 진출하며 영역을 침범하고 있는데요. 경계가 완전히 무너진 AI 전쟁의 형세에 대해 ASIA2G 캐피털의 정지훈 박사에게 들어봅니다.

]]>
<![CDATA[IT회사가 왜 옷을 만들어? 업의 본질은 사라졌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32718437759879 /article/2024032718437759879 Wed, 27 Mar 2024 20:00:01 +0900 이승환 박사, 최형균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최근 어도비가 옷을 선보였죠. 생성형AI가 업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있다는 증거였습니다. 소프트웨어 회사가 패션 회사가 될 수도 있고 가전회사가 인테리어 회사, 커튼회사, 벽지회사가 될 수도 있는 것이죠. 또한 생성형AI는 질적으로 다른 초개인화 경험을 선사하도록 할 것입니다. 고객들이 기분에 따라 신발의 향을 생성해 입힐 수도 있고 자동차 소리도 취향에 맞게 입힐 수 있을 것입니다. 생성형AI가 결합된 제품의 미래에 대해 이승환 박사의 얘기를 들어보시죠.

]]>
<![CDATA[맵핵 막아보려고 밤새 고생한 블리자드 개발자의 슬픈 결말 - 티타임즈]]> /article/2024032617597715045 /article/2024032617597715045 Tue, 26 Mar 2024 17:59:06 +0900 홍재의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30년 개발자의 SaaS 기업분석 12번째 시간에는 보안과 세일즈 분야 SaaS 기업 중 유망한 회사를 알아봅니다. 전세계 IP주소를 추적해 위험한 IP를 사전에 차단해내는 국내 스타트업, 고객 상담 채팅 서비스로 시작해 지금은 CRM(고객관계관리) 분야까지 진출한 국내 스타트업 등 30년 경력의 박종천 개발자가 글로벌 시장과 국내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SaaS 회사에 대해 소개합니다.





]]>
<![CDATA[5천개 베트남 스타트업 만나본 벤처투자자의 결론 - 티타임즈]]> /article/2024032516127720763 /article/2024032516127720763 Mon, 25 Mar 2024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베트남 시장을 주목해 10년동안 5천개 베트남 스타트업 CEO들을 만난 한국 투자자가 있습니다. 바로 넥스트랜스의 홍상민 대표와 채승호 상무. 베트남에는 이미 쿠팡과 같은 회사도 있고 핀테크 회사들도 성장하고 있지만 두 사람은 ”지금 베트남 시장은 10년전 한국의 상황과 비슷하다“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베트남에서 한국 스타트업이 진출해볼 만한 남은 사업의 영역은 무엇일까요?

]]>
<![CDATA[AWS 서버에서 엔비디아 칩이 사라지고 있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32404037770741 /article/2024032404037770741 Sun, 24 Mar 2024 06:00:01 +0900 이재원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얼마 전 일이죠.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7조달러를 모아 반도체 밸류체인을 개편하려 한다는 계획이 알려져 논란이 일었습니다. 그런데 논란과는 별개로 이런 시도는 AI 기업이라면 당연하다는 반응인데요. AI 연구와 서비스에 꼭 필요한 데이터센터용 GPU를 엔비디아가 사실상 독점하고 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구글, 아마존, MS 모두 이전부터 '탈 엔비디아' 시도를 꾸준히 하고 있었다고 하는데요. 최근에는 이런 성과가 어느정도 나타나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로 데이터센터에서 엔비디아의 점유율이 차차 내려가고 있다고 하죠. 그럼 엔비디아는 여기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을까요? ASIA2G 캐피털의 정지훈 박사에게 들어봅니다.

]]>
<![CDATA[스타링크, 원 웹, AST 위성통신은 현재 어디까지 왔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32215457743695 /article/2024032215457743695 Sat, 23 Mar 2024 06:00:01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기지국이 없는 오지에서 혹은 기지국이 파괴되거나 망가진 극악의 조건에서도 통신을 할 수 있는 '위성 통신' 기술에 시선이 쏠리고 있습니다. 특히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에서 스타링크의 위성 통신이 큰 역할을 한 것이 알려지면서 많은 주목을 받았죠. 이번 MWC2024에서도 위성 통신과 관련된 많은 이야기가 오갔는데요, 위성 통신 기술의 현 상황을 점검해보고 어떤 미래가 그려질지를 신동형 알서포트 전략기획팀장과 함께 예측해 봅니다. 아울러 최근 가장 큰 화두인 온디바이스AI를 이동통신사들이 밀어줄 수 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서도 알아봅니다.




]]>
<![CDATA[설계에서 생산까지~ 미국의 반도체 굴기가 시작됐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32117337780296 /article/2024032117337780296 Thu, 21 Mar 2024 17:33:16 +0900 이재원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미국의 반도체 굴기가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든 것을 미국 안에서 다 하겠다는 전략으로 돌아섰는데요. 몇 년 전 칩4 동맹으로 글로벌 반도체 밸류체인 개편에 나섰던 때와는 사뭇 다른 분위기입니다. 그리고 이 중심에는 인텔이 있는데요, 인텔을 중심으로 정부와 미국의 빅테크까지 똘똘 뭉치고 있습니다. 최근 완성된 인텔의 변신 계획 IDM 2.0과 미국의 반도체 전략 변화에 대해 살펴봅니다.

]]>
<![CDATA[연애 잘하는 직원을 중용해야 하는 시대 온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32015027728127 /article/2024032015027728127 Wed, 20 Mar 2024 17:33:32 +0900 김윤경 대표, 최형균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생성형AI 시대에는 고객에 대한 감성적 지지가 가장 중요합니다. 우선 사내에서 연애 잘하는 사람 모아 보세요. 상대를 어떻게 만족시키는지 배워보세요. 이건 기술로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생성형AI 때문에 기업은 제품을 설계하고 제작하는 모든 방식을 재고해야 합니다. 기존의 모든 방식이 낡은 프로세스가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설문조사나 소셜리스닝으로 고객니즈를 파악해 만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당신이 원하는 것이 아게 맞냐”고 물어가면서 기획하고 만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생성형AI시대에 제품 기획과 제조의 프로세스가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 알아봅니다.

]]>
<![CDATA[전기차 다음은 전기공장이다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4031911327728485 /article/2024031911327728485 Tue, 19 Mar 2024 17:30:01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장민주 PD


화학, 중공업 등 제조업은 여전히 화석연료로 공장을 돌립니다. 탄소배출이 엄청나죠. 그런데 최근 전기로 공장을 돌리는 공장전기화 기술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삼겹살 돌판처럼 벽돌에 코일을 감아 고온의 열을 만드는 열 배터리 기술, 냉장고처럼 안팎의 열을 이동시켜 에너지를 만드는 히트펌프 기술이 대표적이죠. 어떤 기술들이 주목받고 있는지 국제시사문예지 파도와 함께 알아봅니다.


]]>
<![CDATA[AI에이전트가 웹사이트 숫자만큼 많아지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31816157760750 /article/2024031816157760750 Tue, 19 Mar 2024 06:00:02 +0900 이세영 뤼튼/대표, 배소진 기자, 류지인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앞으로 수많은 기업과 개인이 자신만의 AI에이전트를 만들 것입니다. AI에이전트가 웹사이트와 블로그 수 만큼이나 많아지면서 에이전트가 나 대신 소통하는 시대가 오는거죠.” 국내 대표적인 AI 스타트업 뤼튼테크놀로지 이세영 대표의 전망입니다. 기업과 개인들이 AI에이전트를 대리인으로 세우고 에이전트끼리 소통하는 시대가 오면 사람과 사람, 기업과 고객은 어떻게 관계를 맺게 될까요?



]]>
<![CDATA[한국보다 10년 늦은 베트남, 이쯤되면 이런 서비스가 뜬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31816147796238 /article/2024031816147796238 Mon, 18 Mar 2024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베트남의 IT, 창업 생태계는 한국이 걸어온 길을 따라오는 중입니다. 그래서 이쯤되면 이런 서비스가 필요하겠구나 싶은 것이 눈에 보이죠. 하지만 디테일로 들어가면 너무나 다른 게 많아서 한국에서 이게 먹혔으니 여기서도 먹히겠다고 하면 거의다 안 먹힌다고 보시면 됩니다.”


2014년부터 베트남 스타트업에 투자해 오면서 베트남의 스타트업이란 스타트업은 거의 다 만나본 넥스트랜스의 홍상민 대표와 채승호 상무로부터 1억명 인구의 베트남은 어떤 시장인지, 베트남에 진출하려면 어떤 점에 유의해야 하는지 들어봅니다.

]]>
<![CDATA[라스베이거스 코스모폴리탄호텔의 27개 레스토랑 총괄매니저에 오르기까지 (제시카 강) - 티타임즈]]> /article/2024031517437716569 /article/2024031517437716569 Sun, 17 Mar 2024 07:00:01 +0900 윤종영 교수, 이사민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라스베이거스에서 가장 럭셔리 호텔 중 하나로 꼽히는 코스모폴리탄. 이곳 27개 레스토랑을 총괄 매니징하는 한국인이 있습니다. 바로 제시카 강입니다. 3천명의 직원을 관리하고 있죠.

그녀는 어떻게 이 자리까지 오르게 됐을까요? 세계에서 가장 화려하다는 라스베이거스 호텔에서 매니저로 일하는 삶은 어떨까요? 어떻게 하면 세계적 호텔에 취업을 할 수 있을까요?

라스베이거스에서 일하는 것이 그렇게 화려하지만은 않다는 그녀의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
<![CDATA[유럽서 백기든 애플, 빅테크 지각변동의 시작? - 티타임즈]]> /article/2024031523347789403 /article/2024031523347789403 Sat, 16 Mar 2024 07:00:01 +0900 홍재의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빅테크 기업의 주요 시장 중 하나인 유럽에서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지난 7일부터 디지털시장법(DMA)이 정식으로 시행됐기 때문인데요, 애플, 구글, 아마존,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틱톡이 그 대상입니다. EU는 이들이 보유하고 있는 총 22개 주요 서비스에 별도 의무사항을 부여했는데요, 예를 들어 애플은 앱스토어가 아닌 곳에서도 이용자가 앱을 다운 받을 수 있도록 문을 열어줘야 합니다.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세계 총 매출의 10%를 과징금으로 내야할 수 있습니다.

앱스토어 수수료 때문에 애플과 대립각을 세워왔던 에픽게임즈를 비롯해 국내 앱마켓인 원스토어도 iOS 앱마켓을 만들 것이라고 하구요, 이때문에 애플 앱스토어의 수수료가 인하될 것이라는 이야기도 들립니다. 그동안 외부결제 시스템을 철저히 막아왔던 애플의 정책에까지 변화가 생기면 매출 타격도 불가피해 보입니다.

고공행진을 거듭하던 애플의 주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DMA로 인해 빅테크들이 앞으로 어떤 시련을 겪게 될지, 지난해부터 시행된 DSA(디지털서비스법)과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국내 기업과 국내 시장에 미칠 영향은 어떨 것인지에 대해 알아봅니다.



]]>
<![CDATA[통신망 주도권 다툼! 미국과 중국의 동맹국 편가르기 - 티타임즈]]> /article/2024031518417796664 /article/2024031518417796664 Fri, 15 Mar 2024 18:41:16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5G는 사실 스마트폰을 위한 통신망은 아니라고 하죠. 그러다보니 5G 시대가 된 이후에도 LTE보다 조금 더 쾌적하다는 것 외에는 큰 변화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때문에 통신사와 통신장비회사들은 5G 이후의 시대를 벌써부터 준비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중국과 미국의 전략이 갈리는데요, 화웨이는 본래 5G망의 타깃이었던 IoT 활성화를 위해 5.5G를 들고 나왔구요, 미국은 화웨이의 힘을 빼놓는다는 목적으로 동맹국들을 규합해 6G 준비에 나섰습니다. MWC2024에서 이 모습을 확실히 확인할 수 있었는데요, 통신 전문가 신동형 알서포트 전략기획팀장이 중국과 미국의 주도권 싸움을 분석해드립니다.




]]>
<![CDATA[일론 머스크는 어떻게 약 없이 비만을 치료하겠다는 건가 - 티타임즈]]> /article/2024031415477741280 /article/2024031415477741280 Thu, 14 Mar 2024 17:30:01 +0900 최형균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최근 일론 머스크가 자신이 창업한 뉴럴링크와 관련해 “사지마비 환자의 두뇌에 칩을 이식하는 데 성공했고 이 환자가 생각만으로 컴퓨터 마우스 커서를 움직이고 있다”고 밝혔죠.

뉴럴링크는 동전만한 칩을 통해 1,000여개 전극을 두뇌 피질에 심었습니다. 이 칩은 두뇌의 전기 신호를 읽기도 하고, 두뇌에 전기신호를 자극할 수도 있습니다. 두뇌와 컴퓨터를 바로 연결해주는 것이죠.

머스크는 이를 통해 비만과 우을증, 척수손상 등 신체장애 등을 치료하겠다는 구상입니다. 또한 컴퓨터의 모든 지식을 인간이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죠. 어떤 원리와 방식인지 자세히 소개합니다.



]]>
<![CDATA[검색과 입력의 시대가 가고 말과 상담의 시대가 온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31317327794532 /article/2024031317327794532 Thu, 14 Mar 2024 06:00:02 +0900 김지현 부사장, 최형균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지금까지 사람이 인터넷이나 기계와 소통하는 방식은 터치와 검색이었습니다. 생성형AI는 이를 말과 상담으로 바꿀 것입니다. 말의 시대, 상담의 시대가 오는 것이죠. 그렇다면 누구와 말을 하고 상담을 하게 될까요? 바로 AI에이전트입니다. 과거 포탈 경쟁처럼 슈퍼 AI에이전트를 둘러싼 빅테크의 경쟁도 치열해질 것이라는 SK 김지현 부사장의 전망입니다.

]]>
<![CDATA[인간 관계를 건드리는 엄청난 비즈니스가 온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31218017763746 /article/2024031218017763746 Tue, 12 Mar 2024 18:01:32 +0900 장대익 교수, 최형균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생성형AI가 이전의 기술, 이전의 도구와 가장 다른 점을 꼽으라면 사람들 사이의 관계의 문제를 건드릴 수 있다는 점일 것입니다. 사람과 기계의 관계를 바꾸면서 사람과 사람의 관계까지 바꾸게 될 것이란 얘기입니다. 영화 ‘Her’를 떠올려 보면 실감이 날 겁니다. 이 경우 소셜네트워트 이상의 엄청난 비즈니스가 창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과연 사람과 기계, 사람과 사람의 관계는 어떻게 변화하게 될까요?

]]>
<![CDATA[[MWC 총정리] 스마트폰 이후의 시대 이렇게 준비되고 있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31118137748010 /article/2024031118137748010 Mon, 11 Mar 2024 18:13:19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주로 전문가들 대상, B2B 대상이라서 CES보다 MWC는 화제가 덜 됐죠. 하지만 10만명 참관객을 끌어모으며 전세계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킨 MWC는 가장 눈여겨 봐야 할 IT 행사 중 하나로 꼽힙니다. 특히 올해는 스마트폰 이후의 시대, 5G 이후의 시대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뤄졌는데요, MWC2024 컨퍼런스를 모두 살펴본 신동형 알서포트 전략기획팀장이 우리가 얻어가야 할 5가지 인사이트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CDATA[미 국방부가 1천개 쏘아올리면 어디까지 볼 수 있을까?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4030816307775027 /article/2024030816307775027 Sun, 10 Mar 2024 07:00:01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장민주 PD


미 국방부가 향후 10년간 1,000기의 인공위성을 띄우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최근 발표했죠. 더 작고 싸게 만들 수 있게 됐기 때문입니다. 스쿨버스 사이즈의 인공위성이 백팩 사이즈만 해졌으니까요. 지구에서 일어나는 1초도 놓치지 않겠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지구에서는 더 이상 숨을 곳이 없어지고 전쟁은 우주전으로 확전이 됩니다. 과연 앞으로 우주에서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국제시사문예지 파도와 함께 알아봅니다.


]]>
<![CDATA[생성AI시대 강력한 개인이 온다. 자기효능감을 상품화해야 한다 (구본권 소장) - 티타임즈]]> /article/2024030817017784943 /article/2024030817017784943 Sat, 9 Mar 2024 07:00:01 +0900 구본권 소장, 최형균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생성형AI가 고객들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그 좌표를 이동시킬까에 대한 시리즈 2편입니다.


생성형AI는 고객들을 더 강력하고 유능한 존재로 만들어줄 것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두 가지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첫째, 강력함과 유능함의 실체는 무엇인가? 바로 감별의 능력입니다. 둘째, 강력하고 유능해진 사람들은 어떤 욕망을 추구하게 될까? 바로 자기효능감입니다. 감별능력을 갖추고 자기효능감을 추구하게 될 고객들에게 기업은 어떤 가치를 선사해야 할까요? 구본권 한겨레 사람과디지털연구소장과 함께 고민해보시죠.

]]>
<![CDATA[쇼핑회사들은 왜 비전프로 안으로 들어갔을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30717017720500 /article/2024030717017720500 Thu, 7 Mar 2024 17:30:01 +0900 배소진 기자


최근 비전프로 안에 매장을 열고 있는 유통회사들이 늘고 있습니다. 제이크루, 알로요가, 마이테레사, 데카트론 등 패션, 스포츠, 유통, 인테리어 회사 등이 비전프로 전용 앱을 내놓고 있습니다.

실물 크기의 마네킨에 배경을 바꿔가며 옷을 입혀 볼 수 있고 세세한 무늬와 질감까지 바로 눈앞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 텐트라면 펼쳐서 안으로 들어가 볼 수도 있습니다. 주택 리모텔링 회사의 인테리어 디자인을 실제 공간에 꾸며볼 수도 있습니다.

온라인 쇼핑과 오프라인 쇼핑의 장점을 모아놓았다는 XR 리테일. 과연 사람들은 비전프로를 쓰고 쇼핑을 하게 될까요?



]]>
<![CDATA[제2의 라인 후보 ‘타임트리’ 박차진 대표의 일본창업기 - 티타임즈]]> /article/2024030618057790051 /article/2024030618057790051 Wed, 6 Mar 2024 18:05:27 +0900 최재홍 교수, 최형균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일본에서 캘리더앱 ‘타임트리’를 창업해 5천만 가입자를 확보하며 제2의 라인 후보 반열로 올린 박차진 대표의 지난 10년 감동적인 창업 스토리를 들어보시죠.


“스타트업 판은 각자 풀고자 하는 문제를 붙들고서 전쟁인 거죠. 10년간 ‘타임트리’를 하면서 행복했던 시점, 지점은 있을지 모르지만 나머지는 ‘아 정말 진짜 딱하다. 너 왜 이렇게 사냐’ 싶은 이런 때가 많았습니다. 이게 엔돌핀이 나올 수가 없죠. 도파민이 거기서 왜 나와요?”


“나를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는 것은 찾아다니는 게 아니더라고요. 여기서 내공을 쌓아가면서 질문의 질을 자꾸 올려가야지 그가 나타났을 때 서로 알아보는 이런 시츄에이션이 만들어지는 거예요. 새로운 사람을 만나면 새로운 꿈을 꾸게 되는 것 같아요.”

]]>
<![CDATA[생성형AI 때문에 개인간 틈이 더 벌어진다 (김경일 교수) - 티타임즈]]> /article/2024030517207791487 /article/2024030517207791487 Tue, 5 Mar 2024 17:59:34 +0900 김경일 교수, 최형균 기자, 박의정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생성형AI가 바꾸는 것은 기술과 제품만이 아닐 것입니다. 고객도 바꿀 것입니다. 고객의 욕망을 바꾸고 삶의 양식을 바꾸고 고객이 제품을 찾는 방식도 바꿀 것입니다.


김경일 아주대 심리학과 교수는 “무엇보다 생성형AI가 개인간 틈이 벌어지는 흐름에 기름을 부을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집단에서 남이 하니깐 나도 따라해야 한다는 소셜 프레셔, 피어 프레셔가 더 약화할 거란 것이죠. 내 취향을 표현하기도 쉬워지고, 내 선택을 지지해줄 사람들을 찾기도 쉬워지기 때문입니다.


과연 생성형AI로 인해 고객의 좌표는 어떻게 이동할까요? 기업의 좌표는 어떻게 이동해야 할까요? 김경일 교수의 분석을 들어보시죠.

]]>
<![CDATA[대학 부적응자가 일본 건너가 만든 일본 국민앱 ‘타임트리’ - 티타임즈]]> /article/2024030417317790289 /article/2024030417317790289 Mon, 4 Mar 2024 17:32:31 +0900 최재홍 교수, 최형균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제2의 라인 후보라고 불리는 캘린더앱 ‘타임트리’. 일본에서만 5천만 사용자를 확보한 일본 국민앱입니다. 가족, 연인, 친구끼리 캘린더를 함께 작성하고 일정을 공유하는 앱입니다. 5천만명이 날마다 여는 앱인 것이죠. 일본을 방문한 팀쿡 애플 CEO도 찾아 감탄했던 회사입니다.


타임트리 박차진 대표는 “일상은 일정의 조합이며, 타임트리는 가족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유일무이한 서비스"라고 말합니다. “이용자 1억명 달성은 시간 문제”라고도 합니다. 박 대표로부터 일본에서 어떻게 성공할 수 있었는지 들어봅니다.

]]>
<![CDATA[오픈AI 소라(Sora)는 세련된 도쿄 여성을 어떻게 생성했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22919077775239 /article/2024022919077775239 Sun, 3 Mar 2024 07:00:01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많은 분들이 오픈AI의 영상 생성AI ‘소라(Sora)’를 보고 충격을 받았습니다. 텍스트만 집어 넣으면 마치 실제 카메라로 촬영한 것과 같은 영상을 만들어줍니다. 소라가 기존의 ‘text to video’와 다른 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물리법칙을 이해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3D로 세계를 이해한 뒤 2D로 시각화한다는 것이죠. 다음에 올 프레임을 확률적으로 예측하는 기존의 영상 생성 툴과는 근본적으로 다른다는 것이죠. 강정수 박사의 설명을 들어보시죠.

]]>
<![CDATA[[MWC 2024] 빅테크의 영역으로 진격하는 통신사들의 변신 - 티타임즈]]> /article/2024030212267739180 /article/2024030212267739180 Sat, 2 Mar 2024 12:27:00 +0900 이재원 기자, 류지인 디자인기자

이번 MWC 2024에서는 모바일시대 빅테크에 밀린 통신사들의 반격이 두드러집니다. 자체 초거대언어모델(LLM)을 통해 빅테크들의 영역이던 번역과 요약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도심항공교통(UAM) 기술도 소개했습니다. SKT는 실제 UAM을 전시하고 시연했고, KT은 UAM 운행상황을 분석하고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신기술을 선보였습니다. AI 블랙박스, 개별 앱을 열지 않아도 되는 스마트폰 등 MWC에서 볼 수 있었던 통신사들의 변신을 소개합니다.

]]>
<![CDATA[[MWC 2024] 축구광 홍재의 기자가 사심으로 뽑은 한국기업 5선 - 티타임즈]]> /article/2024030119217744971 /article/2024030119217744971 Sat, 2 Mar 2024 05:00:01 +0900 홍재의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MWC 2024에는 한국기업들도 많이 참여를 했는데요. 눈에 띄는 기업들 다섯 곳을 뽑아 봤습니다. 생성AI를 통해 노인들에게 말벗이 되어주는 돌봄인형을 만드는 효돌, 라이다와 카메라를 하나의 솔루션에 담아 3차원 이미지를 분석해주는 TISC, 축구 경기영상의 데이터를 학습해 선수와 팀의 상황, 전술까지 실시간으로 인포그래픽으로 만들어 주는 에임브로드, 온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어떤 앱과 사이트에 접속하는지 데이터를 모아 제공하는 페어리, 블록체인을 통한 투표시스템 솔루션을 제공하는 지크립토 등입니다. 함께 보시죠.

]]>
<![CDATA[[MWC 2024] 14년 MWC 현장 취재한 최재홍 교수의 MWC 가이드투어 - 티타임즈]]> /article/2024030117447730575 /article/2024030117447730575 Fri, 1 Mar 2024 17:44:16 +0900 최재홍 교수, 박의정 디자인기자

2011년부터 매년 MWC에 참석해온 최재홍 교수가 가이드하는 MWC 2024 투어입니다. 가장 중요한 1~3관을 집중적으로 훑었습니다. 통신이 어떤 비즈니스로 돈을 벌려고 하는지, 어떻게 AI가 통신과 모바일에 탑재되고 있는지, 특히 화웨이와 샤오미가 어떻게 추격자를 넘어 변신하고 있는지 함께 관람하시죠. 화웨이의 VIP만 오는 은밀한 공간도 소개합니다.



]]>
<![CDATA[[MWC2024] MWC 어디서나 퀄컴! 엔비디아 닮고 있는 퀄컴 - 티타임즈]]> /article/2024022917417712024 /article/2024022917417712024 Fri, 1 Mar 2024 07:00:01 +0900 이재원 기자, 류지인 디자인기자

이번 MWC 2024에서 가장 눈에 띄는 기업, 어디서나 그 지배력을 확인할 수 있는 기업이 바로 퀄컴입니다. 삼성, 샤오미, 아너, 도이치텔레콤 등 대부분 스마트폰 제조사와 통신사들이 퀄컴의 스냅드래곤을 앞세웠고 노트북, XR, 자동차 등 온디바이스 AI가 가능한 모든 곳에서 그 지배력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퀄컴의 전략도 점점 엔비디아를 닮고 있습니다. 온디바이스 AI를 위한 칩뿐 아니라 공간컴퓨팅에서는 애플의 반대진영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여기에다 자체 LLM과 AI 모델, 소프트웨 지원까지 구축하고 있습니다.

]]>
<![CDATA[[MWC 2024] 장대익‧이민섭의 MWC 스타트업 투어 - 티타임즈]]> /article/2024022918547792511 /article/2024022918547792511 Thu, 29 Feb 2024 20:00:01 +0900 장대익 가천대/창업대학장, 이민섭 가천대/교수, 강기훈 디자인기자, 홍재의 기자


장대익 가천대 창업대학장과 이민섭 가천대 교수가 MWC2024 스타트업들을 훑고 가장 참신한 국내외 스타트업 네 곳을 픽했습니다. 필터 대신 물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 스타트업 워터베이션, 재활용할 때 어떤 제품, 어떤 브랜드가 몇 번이나 재활용이 되는지까지 데이터로 보여주는 오이스터에이블, 아무리 작은 목소리로 속삭여도 선명하고 큰 목소리로 증폭시켜주는 앱을 개발한 네덜란드 스타트업 등이 그 주인공입니다. 어떤 제품들인지 살펴보시죠.



]]>
<![CDATA[[MWC2024] 패널토크 – MWC에서 가장 주목할 기술 - 티타임즈]]> /article/2024022918547746284 /article/2024022918547746284 Thu, 29 Feb 2024 19:02:05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이번 MWC 2024의 슬로건이 ‘Future First’입니다. 미래가 먼저라는 것이죠. 이 슬로건 아래 5G&비욘드, 연결성, 인간화하는 AI, 제조업의 디지털전환(DX), 게임체인저, 디지털 DNA 등의 주제로 전시가 되었습니다.


티타임즈가 MWC 2024 현장에서 ‘더웰컴 티타임즈 밋업’을 개최했는데요. 최재홍 가천대 교수, 장대익 가천대 창업대학장, 이종훈 엑스플로인베스트먼트 대표, 엄정한 BLT 특허법률사무소 변리사와 함께 이번에 가장 눈여겨 봐야 할 기술과 제품들을 정리했습니다.

]]>
<![CDATA[오픈AI ‘소라’와 구글 ‘제미나이’… 양쪽 기세싸움 총정리 - 티타임즈]]> /article/2024022817187757745 /article/2024022817187757745 Wed, 28 Feb 2024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오픈AI와 구글의 생성AI 기술력 과시 경쟁이 계속되고 있었습니다. 구글이 제미나이 1.0을 발표한지 얼마 되지 않아 제미나이 1.5프로를 공개했죠. 최대 100만개의 토큰을 처리하는 능력과 ‘전문가 혼합’(MoE) 아키텍처를 갖췄다고 합니다. 그러자 오픈AI가 곧바로 텍스트를 입력하면 영상을 생성해주는 소라(Sora)를 공개했습니다. 강정수 박사와 양쪽의 엎치락뒤치락 경쟁을 정리합니다.



]]>
<![CDATA[[MWC2024] 삼성 갤럭시링, 레노버 투명노트북, 샤오미 전기차… 눈에 확 띄는 신제품 4선 - 티타임즈]]> /article/2024022810507714078 /article/2024022810507714078 Wed, 28 Feb 2024 11:30:01 +0900 홍재의 기자, 류지인 디자인기자


이번 MWC 2024에서 눈에 확 들어온 4개 제품을 소개합니다.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고 기기조작까지 가능하게 할 삼성전자의 ‘갤럭시 링’, 디스플레이가 투명한 레노버의 투명 노트북, 손목에 감을 수도 있는 모토로라 벤더블 스마트폰, 그리고 마치 큰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포르쉐와 같다는 샤오미의 전기차입니다.

하나하나 직접 보도록 하시죠.

]]>
<![CDATA[[MWC2024] 화웨이, 오포, 샤오미의 AI폰… 삼성을 얼마나 따라왔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22719087799378 /article/2024022719087799378 Tue, 27 Feb 2024 19:09:16 +0900 이재원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MWC 2024가 향후 스마트폰 진화의 방향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삼성의 갤럭시24에 이어 중국의 화웨이, 오포, 샤오미가 온디바이스 AI를 장착한 스마트폰을 대거 선보였습니다. 어떤 기능들인지 바르셀로나 현장에서 소개합니다.

또한 독일의 도이치텔레콤과 중국의 아너는 사용자의 맥락을 파악해 필요한 앱들을 알아서 찾아 실행해주는 AI 앱 에이전트를 선보였습니다. 두 회사는 스마트폰에 아예 앱이 필요없는 에이전트를 구현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온디바이스AI와 AI에이전트 양쪽으로의 AI폰 진화의 방향을 소개합니다.



]]>
<![CDATA[AI 대신 직원들의 공감력으로 최고마트에 오른 ‘트레이더 조’ - 티타임즈]]> /article/2024022714287773441 /article/2024022714287773441 Tue, 27 Feb 2024 17:30:01 +0900 배소진 기자, 류지인 디자인기자


미국의 식료품점 트레이더 조. 이곳에는 셀프계산대가 없습니다. 셀프계산대를 들인다는 보도가 나오자 CEO가 “더 이상 거짓일 수 없을 정도로 거짓"이라고 밝히기도 했죠.

온라인몰도 운영하지 않고 배달도 없습니다. 물건 사려면 무조건 와야 합니다. 온다고 해도 할인쿠폰도, 리워드도 없습니다. 그럼에도 이곳은 미국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마트입니다.

바로 인공지능 대신 직원들의 공감력이 만드는 인간적인 매력 때문이죠.



]]>
<![CDATA[20년만에 구글검색의 최대강적이 나타났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22616077792828 /article/2024022616077792828 Mon, 26 Feb 2024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20여년 만에 구글 검색의 강적이 등장했습니다.


바로 퍼플렉시티(Perplexity)라는 서비스입니다. 2022년 8월 출시 이후 월 사용자가 1천만명에 달하고 엔비디아와 제프 베이조스를 비롯해 쇼피파이, 유튜브의 전 CEO도 투자했습니다. 고급정보를 원하는 사용자들에게 구글과는 전혀 다른 검색 경험을 제공하면서 무섭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시장점유율 90%의 무너지지 않을 것 같던 구글 검색이 한편으로는 생성AI에 의해, 다른 한편으로는 본업인 검색에서 사방으로 엄청난 도전을 받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
<![CDATA[사주풀이, 반려인형… 생성AI 활용한 창업 쏟아진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22317317751206 /article/2024022317317751206 Sun, 25 Feb 2024 07:00:02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오픈AI와 구글이 생성AI 기능을 확장하면서 문 닫을 위기에 처한 AI스타트업들이 늘고 있죠. 그런데 반대로 생성AI 덕분에 새로운 비즈니스를 만들고 있는 회사들도 많습니다.

AI를 훈련시켜 타로 사주 관상을 봐주는 서비스를 출시한 회사, 손자손녀 콘셉트의 시니어용 반려인형을 만든 회사, 특정 기억을 심어 AI 같지 않은 AI 캐릭터들을 만든 뒤 알아서 팟캐스트를 하고 단톡방에서 대화하도록 하는 회사 등 정말 기발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정우근 팀 리드에게 생성AI를 이용한 기발하고 톡톡 튀는 창업 사례들을 들어봅니다.





]]>
<![CDATA[AI 서비스 경쟁의 시작! MWC 2024 격전지 좌표 - 티타임즈]]> /article/2024022401007721540 /article/2024022401007721540 Sat, 24 Feb 2024 07:00:02 +0900 이재원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2024년 2월26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세계 최대의 모바일 기술 행사 MWC 2024가 열립니다. 생성형 AI가 본격적으로 우리 삶에 스며드는 원년이 될 2024년. 하드웨어 플랫폼인 모바일 시장에도 격변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디바이스의 역량만으로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 디바이스 AI, 공간에 정보를 배치하는 공간 컴퓨팅, AI의 요람 데이터센터 기술을 두고 많은 기업들이 MWC에서 격돌하는데요. 티타임즈가 기간 내내 현장에서 최신의 트렌드와 소식을 전하도록 하겠습니다.


또 27일에는 MWC 참관객들을 대상으로 '웰컴 티타임즈 밋업 in 바르셀로나' 행사를 개최합니다. 진화심리학자 장대익 교수, MWC를 13년 연속 참관하고 계시는 최재홍 교수, 엑스플로 인베스트먼트 이종훈 대표, 특허법인 BLT 엄정한 대표를 비롯한 전문가들이 MWC2024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술과 산업의 변화를 소개할 예정입니다. MWC에 가시는 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CDATA[보잉은 왜 엔진을 날개 밑이 아니라 날개 앞에 달았나?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4022216337739616 /article/2024022216337739616 Fri, 23 Feb 2024 17:00:02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장민주 PD



보잉의 항공기에서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특히 에어버스의 A320과 경쟁하기 위해 내놓은 보잉737 맥스에서 2019년부터 계속해서 사고가 발생하고 있죠. 비행 중에 동체 일부가 뜯기면서 구멍이 뻥 뚫리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급하게 만들다 보니 설계에 기본적인 문제가 있다”며 “세계 항공우주산업의 판도를 흔들 만큼 보잉이 존립의 위기에 직면했다”고 지적합니다.

보잉737 맥스의 설계에는 무슨 문제가 있을까요? 보잉의 위기로 누가 가장 수혜를 보게 될까요? 중국의 전기차 BYD가 그랬던 것처럼 중국이 만드는 항공기에 주목해야 한다고 합니다. 국제시사문예지 파도와 함께 알아보시죠.



]]>
<![CDATA[샘 올트먼의 9300조원짜리 ‘타도 엔비디아’ 플랜 - 티타임즈]]> /article/2024022218047735756 /article/2024022218047735756 Thu, 22 Feb 2024 18:26:10 +0900 이재원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7조달러, 한화 9300조원에 달하는 투자금을 모아 AI 제국을 세우려 한다는 보도가 있었죠. AI 반도체를 시작으로 AI 인프라 밸류체인을 재편해보겠다는 구상이었습니다. 실제로 샘 올트먼이 AI 반도체 기업을 창업하려는 시도도 있었고요.


하지만 올트먼의 행적을 따라가보면 그의 구상이 아직 반쪽짜리가 아닌가 합니다. 수십 년에 걸쳐 쌓인 거대한 반도체 밸류체인을 올트먼 혼자 개편하기는 어렵기 때문이죠. 그래서 결국 ‘탈 엔비디아’를 위한 투정이 아니냐는 얘기도 나오는데요. 그의 계획을 한 번 살펴봤습니다.

]]>
<![CDATA[AI에 입닫은 애플, 전략적 무능? 진짜 무능? - 티타임즈]]> /article/2024022118207744375 /article/2024022118207744375 Wed, 21 Feb 2024 18:25:09 +0900 이재원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온 세상이 AI를 외치는 중에도 잠잠한 기업이 있습니다. 바로 애플이죠. 그래도 시장은 기대했습니다. 애플은 조금 느리지만 완벽한 서비스를 선보였으니까요.


그런데 최근 분위기는 애플이 아직까지도 AI를 언급하지 않는 것은 전략이 아니라 준비된 기술이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죠. 그러나 자세히 뜯어보면 꼭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습니다.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까지 애플 나름의 준비를 해 오고 있었는데요. 애플의 AI 전략은 무엇인지 정리해봅니다.

]]>
<![CDATA[비전프로 때문에 집값 떨어지고 디스플레이산업 망한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22017387776421 /article/2024022017387776421 Tue, 20 Feb 2024 17:38:05 +0900 홍재의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2007년 아이폰이 세상에 나오면서 엄청난 연관산업을 성장시켰습니다. 과연 애플의 비전프로도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창출하게 될까요? 신동형 알서포트 전략기획팀장은 “메타버스는 디지털 온리이지만 공간컴퓨팅은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의 결합”이라면서 “메타버스와 달리 더 본질적인 혁신이고, 새로운 산업 생태계를 열 것”이라고 강조합니다. 과연 공간컴퓨팅 덕분에 뜰 산업은 무엇이고 망할 산업은 무엇일까요?




]]>
<![CDATA[배민, 야놀자, 쏘카가 생성AI로 돈 버는 법 - 티타임즈]]> /article/2024021917557753321 /article/2024021917557753321 Mon, 19 Feb 2024 17:55:00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생성형AI를 사업에 접목해 성공하는 사례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습니다. 리뷰들을 모조리 분석해 고객이 대충 이야기해도 귀신같이 추천하고, 고객의 수많은 발화 데이터를 분석해 고객의 의도를 고객보다 더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죠. 마이크로소프트 정우근 팀리드로부터 배달의민족, 야놀자, 정육각, 쏘카 등의 사례를 자세히 들어봅니다.





]]>
<![CDATA[애플 비전프로 열풍, 어떻게 올라탈 것인가? - 티타임즈]]> /article/2024021618417737452 /article/2024021618417737452 Sat, 17 Feb 2024 07:00:01 +0900 홍재의 기자, 박수형 영상디자이너

그야말로 비전 프로 열풍입니다. 출하량 목표인 50만대 중 40%인 20만대가 사전 판매가 됐고 비전 프로를 입수하기 위해 미국에 건너간 한국인들도 많습니다. 미국에서는 야외에서 비전 프로를 쓰고 다니는 챌린지까지도 유행합니다. 과연 애플의 공간 컴퓨팅 패러다임이 모바일을 대체할 혁명이 될 수 있을까요? 가능하다면 언제쯤 이뤄질까요?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
<![CDATA[암호를 잡는 자가 디지털 세상을 잡는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21518167775920 /article/2024021518167775920 Thu, 15 Feb 2024 18:17:38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SaaS는 점점 더 많아지고 서비스는 세분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글로벌회사들은 사내 사용하는 SaaS만 50여개라고 합니다. 매일 50개 서비스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한다는 것이죠. 이걸 다 기억하고 입력하는 것이 힘들다 보니 브라우저에 저장하거나 휴대폰에 저장하고 쓰게 됩니다.

하지만 정말 안전한 것은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관리해주는 SaaS를 사용하는 것이죠. 이 때문에 보안 SaaS가 점점 더 각광 받고 있습니다. 모든 서비스 위해 군림하는 보안 SaaS는 이용자가 디지털 세상으로 들어가는 관문 역할을 할 뿐더러 모든 데이터 관리의 정점에 설 수도 있습니다. 30년 개발자 박종천님과 함께 보안 SaaS의 중요성과 가능성에 대해 알아 봅니다.





]]>
<![CDATA[애플은 절실했다! 비전프로를 지금 내야했던 이유 - 티타임즈]]> /article/2024021318487755130 /article/2024021318487755130 Tue, 13 Feb 2024 18:50:38 +0900 홍재의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애플의 비전프로가 출시됐습니다. 발매전만 해도 너무 비싸서, 메타버스 열기가 식어서 안 살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죠.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인기가 대단합니다. 예상 출하량의 40%에 달하는 20만대가 사전판매로 팔려나갔고, 길거리에서는 비전프로 쓰고 다니기 챌린지가 열릴 정도입니다. 비전프로는 메타버스와 무엇이 다르고 공간 컴퓨팅은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킬까요? 신동형 알서포트 전략기획 팀장과 함께 애플이 공간 컴퓨팅 기기를 들고나온 이유와 앞으로의 변화에 대해 알아봅니다.





]]>
<![CDATA[미국은 보이는 것보다 더 강력한 지하제국이다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4020713417792816 /article/2024020713417792816 Mon, 12 Feb 2024 07:00:01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장민주 PD


“음모론이 아니다. 팩트다. 미국은 암암리에 누구도 빠져나갈 수 없는 촘촘한 네트워크의 그물망을 구축해 놓고 있다. 미국은 보이는 것보다 더 강력한 지하의 제국이다.”

예를 들어 전 세계 해저 광케이블망의 상당부분을 미국이 구축하고 관리하고 있습니다.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 인터넷 끊어버린다든지 정보를 복제할 수 있다는 것이죠. 사람 위주로 첩보 수집을 하는 CIA보다 기기로부터 정보 수집을 하는 NSA가 규모도 더 크고 예산도 더 많습니다.

미국의 지하제국은 얼마나 강력한지 국제시사문예지 파도와 함께 알아봅니다.


]]>
<![CDATA[비전프로 체험! 공간컴퓨팅이라 불릴 만하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20817487732120 /article/2024020817487732120 Fri, 9 Feb 2024 07:00:02 +0900 이재원 기자, 황정현 PD, 장민주 PD


애플의 비전프로를 티타임즈 스튜디오에 모셨습니다. 함께 체험해보시죠.


착용하는 순간 애플의 공간컴퓨팅 비전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고 할까요. 단순히 텅 빈 공간에 모니터를 띄워주는, 혹은 더 크게 보여주는 것이 애플의 공간컴퓨팅이 아니더라는 것이죠. 원하는 공간에 원하는 정보를 배치하고 이를 통해 공간과 인간이 소통하는 방식을 바꿔준다는 게 핵심인 것 같습니다.


비전프로를 미국 현지에서 긴급 공수한 폴라리스오피스의 이해석 부사장의 얘기도 함께 들어보시죠.

]]>
<![CDATA[아마존도 당황한 테무, 쉬인, 틱톡샵 돌풍 - 티타임즈]]> /article/2024020717307712082 /article/2024020717307712082 Wed, 7 Feb 2024 17:30:05 +0900 배소진 기자, 류지인 디자인기자


테무, 쉬인, 틱톡샵 등 중국 이커머스가 아마존이 버티고 있는 미국을 강타하고 있습니다. 외신에서는 ‘쉬인과 테무가 아마존을 무너뜨리고 있다’ ‘아마존은 빠르지만 비싼 테무’라고 보도하기도 합니다. 중국 이커머스는 ‘저가 → 빠른 배송 → 멤버십 혜택’이라는 아마존의 이커머스 룰을 초초초저가로 단박에 무너뜨리고 있고, 쇼핑 검색이라는 아마존의 게임 룰도 발견이라는 키워드로 엎어버리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중국 이커머스의 위력이 어느 정도인지 소개합니다.



]]>
<![CDATA[‘AI 시대의 아이폰’ 경쟁이 시작됐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20518057778679 /article/2024020518057778679 Mon, 5 Feb 2024 18:05:51 +0900 이재원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생성형 AI를 탑재한 새로운 하드웨어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 음성과 이미지만으로 기계와 소통이 가능한 멀티모달 기능에, 알아서 앱을 다 구동해주는 앱 에이전트가 있는 만큼 손으로 하나하나 터치해야 하는 지금과 같은 스마트폰은 필요 없다는 주장이죠. 테크 업계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AI 디바이스들을 살펴봅니다.

]]>
<![CDATA[생성형 AI를 어떻게 붙여야 하는지 보여준 월마트와 로레알 - 티타임즈]]> /article/2024020216587733519 /article/2024020216587733519 Sun, 4 Feb 2024 07:00:02 +0900 배소진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전통기업 가운데 생성형 AI를 가장 잘 붙이고 있는 기업을 꼽으라면 월마트와 로레알입니다. 월마트는 고객이 맥락만 입력하면 최적의 상품을 추천해주고 고객이 손가락 하나 까딱할 필요없이 냉장고를 알아서 채워줍니다. 로레알은 챗봇이 피부 진단과 상담, 화장품 추천까지 해결합니다. ‘뷰티판 챗GPT’라 불리기도 하죠. 두 회사가 어떻게 LLM을 통해 고객경험을 확확 바꾸고 있는지 소개합니다.



]]>
<![CDATA[악재×악재×악재, 전방위 압박 받는 카카오 - 티타임즈]]> /article/2024020217307772314 /article/2024020217307772314 Sat, 3 Feb 2024 07:00:01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연일 카카오와 관련된 악재 기사가 터지고 있습니다. SM엔터테인먼트 인수과정에서 주가를 조작한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고, 경영진들이 상의 없이 비싼 값으로 계열사를 인수한 사실이 밝혀져 대대적인 경영진 물갈이가 불가피해 보입니다. 카카오에서는 보도를 부인했지만, SM엔터를 재매각 할 것이라는 기사도 나오고 있죠.

카카오 내부 문제에 대한 폭로, 카카오 모빌리티 독과점 논란, 직원 개인정보침해 논란, 멜론에 대한 과징금 부과 등등 열거하기 힘들 정도입니다.

일단 김범수 창업자가 다시 카카오의 전면에 나섰습니다. 경영진 교체를 단행하고 카카오를 쇄신하겠다고 합니다. 과연 카카오는 외부의 압박과 내홍을 극복하고 새로운 카카오로 거듭날 수 있을까요?



]]>
<![CDATA[구글본사 디렉터 하다가 왜 슈퍼마켓 알바할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20116427741260 /article/2024020116427741260 Thu, 1 Feb 2024 17:30:01 +0900 김인순 기자, 구단비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12년간 구글코리아 커뮤니케이션 임원을 하다 나이 쉰에 구글 본사로 건너가 글로벌 커뮤니케이션팀 디렉터를 지낸 정김경숙님. 구글 본사를 나온 그녀의 현재 타이틀은 N잡러입니다. 미국 슈퍼마켓 트레이더 조의 알바, 스타벅스 바리스타, 공유차량 서비스 리프트의 운전사, 그리고 펫시터까지.


그녀의 삶의 목표중 하나는 영어 정복이라고 합니다. 마흔에 본격적으로 시작한 그녀의 영어공부 비결을 들어보시죠.

]]>
<![CDATA[아마존 취업하려면 아마존 인싸들의 코세라 강의 들어라? - 티타임즈]]> /article/2024013017207719069 /article/2024013017207719069 Tue, 30 Jan 2024 17:34:51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직원들 모아놓고 하는 집합교육이 점점 줄고 있습니다. 대신 SaaS(서비스형 소포트웨어)로 직원들을 교육합니다. 많은 회사가 LMS와 LXP를 잘 활용해서 구성원들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빅테크들은 어떤 플랫폼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지 교육 SaaS의 세계를 들여다 봅니다.




]]>
<![CDATA[동남아의 화약고, 지금 남중국해에서는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4012916397769887 /article/2024012916397769887 Mon, 29 Jan 2024 17:30:01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구단비 기자, 장민주 PD



'동남아시아의 화약고'라고 불리는 남중국해에서 중국, 베트남, 필리핀, 대만, 말레이시아, 미국 등 6~7개국의 이해관계가 충돌하고 있습니다. 특히 암초 사이를 메워 인공섬을 만드는 중국과 이에 대응해 좌초된 배를 거점으로 삼는 필리핀의 갈등은 점점 고조되고 있습니다. 육지보다 더 중요해질 바다의 영역싸움, 국제시사문예지 파도의 김동규 편집장과 김수빈 에디터와 함께 알아봅니다.

]]>
<![CDATA[격론! CES 무용론, 어떻게 볼 것인가? - 티타임즈]]> /article/2024012617197715648 /article/2024012617197715648 Sat, 27 Jan 2024 07:00:01 +0900 홍재의 기자, 류지인 디자인기자

최근 일각에서 CES에 대한 회의론이 일고 있습니다. 글로벌 빅테크들이 CES보다 자체행사를 통해 신제품을 발표하면서 새로운 기술 트렌드를 확인하고 어렵고, 크고 작은 한국 기업들의 전시성 참여가 과도한 데 따른 비판입니다. 단순 투어를 위한 참관이 늘고 있는 것에 대한 문제 제기도 적지 않습니다.


IT융합 전문가인 정지훈 모두의 연구소 최고비전책임자와 마이스 전문가인 김미자 더웰컴 대표, 스타트업 전문가 김영덕 디캠프/프론트원 대표와 함께 CES 회의론을 어떻게 봐야할지 격론을 벌였습니다.

]]>
<![CDATA[온디바이스AI 시대에도 엔비디아일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12517557779408 /article/2024012517557779408 Thu, 25 Jan 2024 18:02:16 +0900 이재원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2024년 시작된 생성형AI 2라운드 경쟁. 뭐 하나 허투루 넘길 수 없는 관전 포인트들이 있습니다. ① 하드웨어는 가졌지만 완성된 LLM이 없는 삼성전자와 LLM은 있어도 하드웨어가 부족한 구글의 불편한 동거. ② 학습에 사용되는 엔비디아의 GPU를 넘어 온디바이스AI에서 사용되는 추론를 위한 칩 경쟁. ③ ‘AI 시대의 아이폰’을 외치며 도전하는 AI 디바이스 경쟁. 강정수 박사와 함께 갤럭시 S24 출시와 함께 수면 위로 떠오른 생성형 AI 2라운드의 관전 포인트들을 짚어봅니다.

]]>
<![CDATA[갤럭시 S24 출시의 진짜 승자가 구글인 이유 - 티타임즈]]> /article/2024012418007726782 /article/2024012418007726782 Wed, 24 Jan 2024 18:00:42 +0900 이재원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삼성전자가 구글의 초거대언어모델 제미나이를 탑재한 AI 스마트폰 갤럭시S24를 최근 선보였습니다. 플래그십 스마트폰 중에서는 처음으로 생성형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이 됐는데요. 자동 번역 통화, 서클 투 서치와 같은 새로운 인공지능 기능들로 눈길을 끌었습니다.


그런데 갤럭시S24에 생성형 AI가 탑재된 것을 다른 관점에서 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지난해 속속 등장했던 LLM들이 집, 즉 자신만의 하드웨어를 찾는 경쟁이 시작됐다는 것이죠. 이 경쟁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강정수 박사에게 들어봅니다


]]>
<![CDATA[[글로벌 비즈니스 시리즈②] 인도에서 절대 하면 안 되는 사업 두 가지 - 티타임즈]]> /article/2024012316257786367 /article/2024012316257786367 Tue, 23 Jan 2024 17:57:59 +0900 홍재의 기자, 구단비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인도 기업과 비즈니스 할 때는 항상 뭘 취할지를 머릿속에 담아 가는 게 중요해요. 모르는 건 따져 묻고 원하는 게 있으면 달라고 주장하고 답이 안 와도 마음 상하지 말고, 좀 들이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인도에서 하지 말아야 할 두 가지 비즈니스가 있습니다. 하나는 플랫폼 비즈니스이고, 또 하나는 인건비를 절감해 준다는 비즈니스입니다.”


10여 년간 인도에서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한국 스타트업의 인도 진출을 도와주는 유니콘인큐베이터 김진아 대표로부터 인도 진출할 때 유념해야 할 팁을 들어보시죠.


]]>
<![CDATA[[CES 2024] AI 유망주들이 뽑은 CES 4선 - 티타임즈]]> /article/2024012215537762900 /article/2024012215537762900 Mon, 22 Jan 2024 17:30:01 +0900 배소진 기자, 장민주 PD, 강채은 디자인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CES는 AI 전공자들에게 좋은 경험이 되었을 것 같은데요. 그래서 티타임즈가 국내 인공지능사관학교를 운영하는 스마트인재개발원의 연구원, 수료생들과 함께 이들의 시선으로 CES 2024 현장을 훑어보았습니다. 이들 AI 유망주들이 콕 찍은 제품과 서비스를 함께 보시죠. 필요한 것만 정확히 추적하는 CCTV, 운전자 표정을 읽고 음악을 들려주는 카 뮤직플레이어 등입니다.



]]>
<![CDATA[[CES2024] 진정한 승자는 마이크로소프트였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11916307755758 /article/2024011916307755758 Sun, 21 Jan 2024 07:00:01 +0900 홍재의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CES 2024의 진정한 일등승자는 마이크로소프트였다. 참여하지도 않았지만 모든 곳에 존재했다.”

가장 신뢰받는 CES 보고서로 유명한 신동형 알서포트 전략기획팀장의 CES 2024에 대한 한마디 총평입니다. 로레알, 월마트, 인텔, 지멘스, 퀄컴, 엔비디아. 삼성, 소니까지 웬만한 회사들이 자신의 발표에서 협업을 언급한 회사가 바로 MS 였기 때문입니다.

신 팀장과 함께 이번 CES에 참석한 엔비디아, 소니, 삼성전자, LG전자, HTC, 현대차 등의 발표를 하나씩 각개격파하면서 CES 2024의 키워드를 도출해보시죠.



]]>
<![CDATA[테크 기업 고강도 정리해고, 진짜 AI 때문인가? - 티타임즈]]> /article/2024011916537730377 /article/2024011916537730377 Sat, 20 Jan 2024 07:00:01 +0900 홍재의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구글, 아마존이 또 구조조정을 단행했습니다. 디스코드도 직원의 17%를 해고했고, 유니티, 듀오링고 등도 마찬가지라고 합니다. 드러난 기업만 20~30개 정도가 됩니다. 국내 금융권에서도 콜센터 직원을 줄인다는 발표를 해 큰 논란이 됐었죠. AI에 투자할 자금 확보를 위해서, AI의 사용을 늘리기 위해서, AI가 사람을 대신 할 수 있어서. AI라는 이유 한 마디면 매우 간단합니다. 정말 AI의 일자리 습격이 시작된 걸까요? 아니면 이 모든 탓을 AI에게 돌리고 싶은 인간의 이기일까요?

]]>
<![CDATA[[CES2024] 한눈에 보는 기술, 모빌리티, 유통, 뷰티 트렌드 - 티타임즈]]> /article/2024011818067764181 /article/2024011818067764181 Thu, 18 Jan 2024 18:06:11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CES는 혁신적 제품이 출시되는 장이기도 하지만 글로벌 회사들이 자신의 미래 전략을 발표하고, 전문가들이 IT 트렌드를 놓고 비전을 제시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컨퍼런스와 기업 발표를 중심으로 CES2024를 정리합니다.

키노트 스피치를 맡은 로레알, 월마트를 비롯해 인텔, 퀄컴, 지멘스, 엘레반스의 발표와 전문가 컨퍼런스를 매년 빠르고 깊이 있는 CES 보고서로 유명한 신동형 알서포트 전략기획팀장과 함께 분석합니다.



]]>
<![CDATA[[CES 2024] 국가대항전에서 한국 스타트업들이 돋보였던 이유 - 티타임즈]]> /article/2024011317057732992 /article/2024011317057732992 Mon, 15 Jan 2024 07:00:02 +0900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최형균 기자, 구단비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CES 유레카관은 전 세계 스타트업들의 격전지인 동시에 국가 대항전입니다. CES2024에서도 한국을 비롯 미국,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뿐 아니라 전쟁중인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까지 자신의 국가관을 열었습니다. 사실상 각국의 벤처생태계의 경쟁이었습니다.


유레카관의 국가 대항전 소식과 함께 해외관람객들로부터 주목을 받은 두 곳의 한국 스타트업을 소개합니다. 망망대해에서 선박 위치를 추적하고 도착 시간을 예측해주는 회사와 메타버스 창작엔진을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
<![CDATA[[CES 2024] 생성형AI가 모든 제품의 디폴트가 됐다 (장동선, 황재선, 차경진 디브리핑) - 티타임즈]]> /article/2024011318587770823 /article/2024011318587770823 Sun, 14 Jan 2024 08:00:01 +0900 장민주 PD, 구단비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CES2024에 대한 현장 디브리핑!! 티타임즈가 CES 마지막날 유레카관에서 뇌과학자 장동선 박사, 황재선 SK디스커버리 부사장, 차경진 한양대 교수와 CES 2024 디브리핑을 진행했습니다.


생성형AI, 스마트홈, 모빌리티, 디지털 헬스케어, 메타버스, 스타트업 등 CES의 주요 분야에 대해 생생한 현장 경험을 토대로 촌철살인의 분석을 담았습니다. CES에 가지 못한 분들에게 현장의 느낌과 분석을 전합니다.

]]>
<![CDATA[[CES 2024] 퀄컴, 엔비디아, 삼성, 현대차… 온디바이스AI 제대로 보여줬다 (김지현, 최재홍 디브리핑) - 티타임즈]]> /article/2024011315287774814 /article/2024011315287774814 Sun, 14 Jan 2024 06:00:01 +0900 장민주 PD, 최형균 기자, 구단비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퀄컴이 저렇게 부활할 수도 있구나. 역시 엔비디아. 생성형AI 시대에는 퀄컴 인사이드, 엔비디아 인사이드의 시대가 펼쳐질 것이다. 새로운 칩셋 경쟁, 본격적인 온디바이스AI 시장이 열릴 것이다.”


“온디바이스AI를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 삼성전자와 현대차가 제대로 보여줬다.”


이번 CES를 방문한 김지현 SK경영경제연구소 부사장과 최재홍 가천대 교수의 디브리핑 요지입니다. 왜 삼성전자와 현대차를 생성형AI를 디바이스에 가장 잘 적용한 회사로 꼽았는지, 왜 퀄컴의 시대가 부활하면서 엔비디아와 경쟁할 것인지 두 사람의 CES 디브리핑을 들어보시죠.

]]>
<![CDATA[[CES 2024] 모빌리티로 진격하는 가전회사와 빅테크들 (최재홍, 김지현, 윤종영의 LVCC 투어) - 티타임즈]]> /article/2024011316577719256 /article/2024011316577719256 Sat, 13 Jan 2024 19:00:01 +0900 장민주 PD, 구단비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CES 전시관 중에서 전 세계 대기업들이 모인 곳이 바로 LVCC관입니다. 가장 넓고 방대한 곳이죠. 이곳을 최재홍 가천대 교수, 김지현 SK경영경제연구소 부사장, 윤종영 국민대 교수가 함께 다니며 훑었습니다.


파나소닉, 소니, 혼다 등 일본기업과 TCL, 하이센스 등 중국기업, 그리고 아마존도 들어가 있는 모빌리티관과 헬스케어까지 CES2024 전시를 통해 이들 회사들의 사업전략 전환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CDATA[[CES 2024] 최재홍 교수와 함께하는 CES 혁신상 제품 투어 - 티타임즈]]> /article/2024011313597748773 /article/2024011313597748773 Sat, 13 Jan 2024 13:59:58 +0900 최재홍 교수, 구단비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CES의 꽃은 역시 혁신상입니다. 혁신상 라인업만 봐도 새로운 기술과 제품 트렌드를 알 수 있죠. 그래서 최재홍 교수가 혁신상 제품들만 집중 투어해서 소개합니다.


식물을 공중부양시켜서 공기 중 수분을 물로 바꿔 재배하는 스마트팜, 코골이를 없애주는 움직이는 베개, 전기 에너지를 만들어주는 레깅스, 입술 화장과 입술 진단이 동시에 가능 화장품 디바이스, 샤워한 물을 다시 재생해 사용하는 이동형 사워시설 등 혁신적 제품들을 만나보시죠.

]]>
<![CDATA[[CES 2024] 생성형AI 알렉사, 얼마나 강력해졌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11215027766688 /article/2024011215027766688 Fri, 12 Jan 2024 17:00:01 +0900 배소진 기자, 장민주 PD, 구단비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아마존은 이번 CES2024에서 총 5개 부스를 운영했는데요. 한꺼번에 모아서 소개합니다. 가장 큰 특징은 생성형AI로 업그레이드한 알렉사입니다. BMW 자동차 운전석에 앉아 명령할 때도, 아이를 돌보는 어린이용 소셜로봇 ‘목시’에서도, 스마트 안경에서도 여기저기서 “알렉사. 렛츠 챗”이라며 알렉사를 부르는 소리가 들립니다. 알렉사가 얼마나 강력해지고 모든 제품에 스며들고 있는지 확인해보시죠.

]]>
<![CDATA[[CES 2024] 스타트업 전문가가 뽑은 CES ‘신박한’ 제품 5선 - 티타임즈]]> /article/2024011211247734470 /article/2024011211247734470 Fri, 12 Jan 2024 11:24:29 +0900 김영덕 디캠프/대표, 장민주 PD, 구단비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스타트업 전문가 김영덕 디캠프 대표가 이번 CES에서 가장 신박한 제품 5개를 뽑았습니다.


우선 안경 두 종입니다. 안경을 쓰고 대화하면 들리는 소리를 그대로 텍스트로 띄워주는 안경입니다. 실시간 번역도 됩니다. 청각장애인이나 외국인과 대화할 때 유용하겠죠. 또 하나는 시선을 준 곳의 소리만 들리도록 하는 안경입니다. 시끄러운 곳에서도 상대의 이야기를 또렷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TV, 전등 등을 가르키면 켜고 끌 수 있는 반지, 원격으로 가능한 햅틱 기술, 공기를 주입해 곧바로 바로 만들 수 있는 공기주입식 스마트팜 등을 소개합니다.

]]>
<![CDATA[[CES2024] 이런 제품까지~ 혁신상 휩쓴 K스타트업 10선 - 티타임즈]]> /article/2024011119567783224 /article/2024011119567783224 Fri, 12 Jan 2024 07:00:01 +0900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최형균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이번 CES2024 혁신상을 수상한 곳이 전 세계 총 379개입니다. 이중 160여개가 한국기업이고 그중에서도 대부분이 스타트업입니다. 이중 가장 ‘핫’한 10개의 한국 스타트업을 방문했습니다.


휠체어를 타고 운동하는 러닝머신, 환자 스스로 혈액 투석을 하는 장치, 블록체인 기반의 오프라인 투표시스템, 각 방의 구조와 인테리어를 기성품처럼 고르면 모듈처럼 전체 집을 조합해 주는 서비스 등 혁신 서비스를 직접 만나보시죠.

]]>
<![CDATA[[CES 2024] 빅테크와 완성차의 AI, 자동차경험 경쟁이 가속화한다 (모빌리티) - 티타임즈]]> /article/2024011118557767969 /article/2024011118557767969 Thu, 11 Jan 2024 19:30:01 +0900 이재원 기자, 장민주 PD, 구단비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CES2024의 모빌리티 분야는 경쟁의 경계가 완전히 무너졌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마존, 소니, LG전자 등 빅테크가 AI 소프트웨어를 앞세워 직접 차를 만들거나 차량 내부를 공략하고 있습니다. 이에 맞서 현대차, 기아차 등 완성차 회사들도 AI를 통해 차량 내부의 경험을 확 바꾸고 있습니다.


아마존, 소니, LG전자, 현대차, 기아차, 캐터필러, 존디어가 보여주고 있는 모빌리티의 미래를 현장에서 소개합니다.

]]>
<![CDATA[[CES 2024] 회사와 집에서 일할 AI비서들이 총출동했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11117557791637 /article/2024011117557791637 Thu, 11 Jan 2024 17:55:26 +0900 이재원 기자, 장민주 PD, 구단비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CES2023이 인공지능 기술의 파도를 보여줬다면 CES2024에서는 AI 쓰나미를 보는 듯합니다. 그중에서도 집과 회사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AI비서들이 총출동했는데요.


학교 등에서 총기 소지자를 식별하는 보쉬의 카메라, 눈을 보고 건강상태를 확인해주는 일본 NEC의 카메라, MS의 챗GPT를 탑재한 제품들, 그리고 업무 효율화를 위한 삼성SDS의 생성AI 솔루션 등이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특히 삼성SDS의 솔루션은 이제 기업들의 관심이 LLM(초거대언어모델)을 어떻게 도입할 것인지를 넘어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로 바뀌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CDATA[[CES 2024] 생성AI 탑재한 홈 기기, 어떤 제품들이 선보였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11018237729586 /article/2024011018237729586 Wed, 10 Jan 2024 20:00:01 +0900 배소진 기자, 장민주 PD, 최형균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이번 CES를 관통하는 키워드가 바로 생성형AI입니다. 그래서 생성형AI를 스마트홈에 구현한 기기들을 소개합니다. 역시 삼성전자와 LG전자를 빼놓고 얘기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집사 역할을 하며 사람들과 감정까지 교류하는 AI에이전트 로봇, 안에 있는 식재료를 촬영해 레시피를 추천하는 냉장고, 냉장고와 연결돼 알아서 달구어지는 인덕션 등 다양한 홈 기기들을 보시죠.


이들 회사가 강조하는 것은 단순히 더 똑똑해진 기기의 기능보다는 생성형AI를 통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제안입니다.

]]>
<![CDATA[[CES 2024] 온디바이스 AI, 어떤 제품들이 선보였나 - 티타임즈]]> /article/2024011019037753733 /article/2024011019037753733 Wed, 10 Jan 2024 19:03:36 +0900 이재원 기자, 장민주 PD, 최형균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이번 CES 2024에서는 인터넷 연결없이 개인 디바이스에서 생성AI를 구동하는 온디바이스 AI 제품들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칩들이 선보였습니다.


우선 칩을 둘러싼 퀄컴과 인텔의 경쟁입니다. 퀄컴 CEO는 10일(현지시간) 기조연설에서 “온디바이스 생성형AI는 우리가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꿀 잠재력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온디바이스 AI 제품들로는 삼성전자가 자체 생성형AI 모델 가우스를 탑재한 홈 로봇과 냉장고, 청소기를 선보였고 LG전자자 역시 홈 에이전트, 그리고 구글 역시 다양한 기기를 선보였습니다.


윤곽을 드러내는 온디바이스 AI 생태계를 CES 2024 현장에서 소개합니다.

]]>
<![CDATA[[CES 2024] 생성AI 탑재한 TV가 홈의 사령부가 된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10918597730251 /article/2024010918597730251 Tue, 9 Jan 2024 18:59:15 +0900 이재원 기자, 장민주 PD, 최형균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CES 2024 공식 개막을 앞둔 7일(현지시간) 주최 측인 CTA는 ’미디어 데이 - Tech Trends to Watch‘ 행사에서 인공지능, 모빌리티, 스마트홈 분야 주목해야 할 테크 트렌드를 발표했습니다.


CTA는 “미래 기술트렌드는 수직만이 아니라 수평적으로도 발전하고 있다”고 강조합니다. 하나의 기술이 한 분야에서 수직적으로만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기술영역에 침투하고 있다는 것이죠.


CTA는 또 스마트홈과 관련해 “스마트홈 경쟁의 핵심 디바이스는 스피커가 아니라 TV”라며 “생성형AI를 탑재한 TV가 스마트홈의 사령부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아울러 “스마트홈 경쟁이 제품에서 콘텐츠로 확장하고 있다”고도 전합니다. 넷플릭스, 디즈니, 틱톡이 CES에 출격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CTA가 예측하는 2024년 테크 트렌드를 CES 현장에서 소개합니다.

]]>
<![CDATA[[CES 2024] 언베일드 행사에서 픽한 혁신상 4곳 - 티타임즈]]> /article/2024010918187770405 /article/2024010918187770405 Tue, 9 Jan 2024 18:18:28 +0900 김영덕 디캠프/대표, 구단비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CES 2024 공식 개막을 앞둔 7일(현지시간) 미디어를 대상으로 혁신상을 받은 제품 등을 소개하는 CES 언베일드(unveiled) 행사가 열렸습니다. 스타트업 전문가 김영덕 디캠프 대표가 현장에서 픽한 4개의 제품을 보시죠. AI로 1분 만에 스테이크 굽는 그릴, 유리창처럼 투명한 태양광 패널, 무거운 물건을 번쩍 들어 올리게 해주는 슈트, 가정용 캡슐 커피머신 같은 아이스크림 머신 등입니다.

]]>
<![CDATA[참가자도, 주최자도 코엑스 1타N피 활용법 - 티타임즈]]> /article/2024010518137756625 /article/2024010518137756625 Mon, 8 Jan 2024 17:30:01 +0900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대표, 김영덕 디캠프/대표, 구단비 기자, 강채은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전시행사가 있을 때 참관객들은 정말 참관만 하고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시행사를 하는 주최자들도 열심히 뛰고서는 본인들만 만족하는 경우가 많죠. 그렇다면 보러오는 사람들은 어떻게 참관객을 넘어 참가자가 되고, 주최자들은 전시행사 앞 뒤로 오롯이 성과를 챙길 수 있을까요?


이번 오깡비에서는 코엑스 김태은 이노베이션 파트장과 함께 코엑스 1타N피 활용법을 알아봅니다.

]]>
<![CDATA[[글로벌 비즈니스 시리즈①] 인도에서는 절대 약점을 드러내지 마라 - 티타임즈]]> /article/2024010517267743179 /article/2024010517267743179 Sun, 7 Jan 2024 07:00:01 +0900 홍재의 기자, 구단비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장민주 PD


"인도에서는 절대 약점을 드러내면 안 된다. 약점을 드러내는 순간 이들은 그게 돈이 된다는 것을 본능적으로 안다. 그 돈을 취하는 데 한치의 망설임도 없다. 아무리 마음이 급하고 속이 새까맣게 타들어가도 약점을 드러내지 마라.“


세계 인구 1위로 등극한 기회의 나라 인도에서 비즈니스를 하겠다면 어떤 점을 유념해야 할까요? 10여년 동안 인도 현지에서 비즈니스를 하고 있는 유니콘인큐베이터의 김진아 대표로부터 리얼한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
<![CDATA[왜 유럽과 미국의 격차는 갈수록 벌어질까? - 티타임즈]]> /article/2024010517287785599 /article/2024010517287785599 Sat, 6 Jan 2024 07:00:01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구단비 기자, 강기훈 PD, 장민주 PD



지금 40~50대에게는 독일과 프랑스 등 유럽은 낭만으로나 사상적으로나 로망이었습니다. 그럭저럭 2008년까지만 해도 미국과 유럽의 명목 GDP는 비슷했죠. 하지만 미국과 유럽연합은 갈수록 격차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제레미 리프킨이 말했던 유러피안 드림도 사라진 지 오래입니다.


대체 유럽연합은 어디서부터 꼬인 것일까요? 국제시사문예지 파도의 김동규 편집장과 김수빈 에디터와 함께 그 이유 세 가지를 알아봅니다.

]]>
<![CDATA[[CES2024] 기조연설 월마트, 로레알 보면 CES 트렌드를 알 수 있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10417157743896 /article/2024010417157743896 Thu, 4 Jan 2024 17:30:01 +0900 배소진 기자



CES 기조연설자를 보면 그 해 CES의 트렌드를 간파할 수 있습니다. 올해 기조연설자 가운데 가장 주목받는 사람은 월마트의 더그 맥밀런 CEO와 로레알의 니콜라 히에로니무스 CEO입니다.


두 사람의 기조연설 키워드는 모두 생성형AI입니다. 생성형AI가 리테일과 뷰티 등 산업 전방위적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죠. 이들이 말하는 리테일테크와 뷰티테크의 비전은 무엇일까요?



]]>
<![CDATA[스타트업은 특허출원 이전에 상표등록부터 무조건 하라 - 티타임즈]]> /article/2024010316547765043 /article/2024010316547765043 Wed, 3 Jan 2024 17:30:01 +0900 김인순 기자, 최형균 기자, 박선희 영상디자이너, 장민주 PD

“지식재산 특허를 신경 쓰기 전에 먼저 상표는 무조건 등록해야 한다. 백종원의 얘기처럼 상표는 아이의 출생 등록이다.”


“특허를 출원할지 말지부터 먼저 결정을 해야 한다. 특허라는 것이 출원을 하면 모든 것이 공개가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코카콜라는 레시피를 특허 출원하지 않고 있다.”


“기술 침해를 당했다면 ‘억울해요’ 언론 플레이도 대단히 좋은 전략이다. 단 증거만 있으면 말이다.”


스타트업의 고민중 하나가 특허 관련입니다. 특허는 스타트업에겐 엄청난 무기이지만 비용을 감수하고 특허 출원을 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한다면 무엇을 출원을 해야 할지 말이죠. 그래서 이창민 아이피링크 파트너스 대표 변리사로부터 스타트업의 특허에 대한 모든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
<![CDATA[베트남에선 영어보다 한국어 잘하면 연봉이 높다 - 티타임즈]]> /article/2024010216427734917 /article/2024010216427734917 Tue, 2 Jan 2024 17:30:02 +0900 최재홍 교수, 구단비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장민주 PD


“베트남 비즈니스 할 때는 테이블 머니, 언더 머니 아니면 우리나라 말로 뒷돈, 이걸 인정해줘야 합니다. 베트남은 이를 합법적인 비용이라고 생각해요. 정보비용이라는 거죠. 그러면 기브 앤 테이크가 확실한 게 베트남이에요.”


성공적으로 베트남에 진출하려면 꼭 꼭 알아야 할 베트남의 비즈니스 문화 2편입니다. 급행료에 대한 개념이 우리나라와는 많이 다르다는 사실, 그리고 사내문화 역시 많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사내 워크숍을 열면 목숨 걸고 춤, 노래 등 장기자랑을 준비하는 곳이 베트남입니다.

]]>
<![CDATA[뇌 정보 '복사+붙여넣기' - 죽지 않는 세상이 온다 - 티타임즈]]> /article/2023122915527721928 /article/2023122915527721928 Mon, 1 Jan 2024 07:00:01 +0900 홍재의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앞으로는 명절에 성묘를 가서 절을 하는 대신 조상님과 대화를 하다가 돌아오게 될지도 모릅니다. 이미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도 있다고 하죠.

AI를 활용해 죽은 사람을 부활시키는 기술은 앞으로 어떻게 이용될까요?

'인간복제' 기술과 'AI부활' 기술이 더욱 발전된다면 인간의 영생을 위해 쓰일 수도 있습니다. 뇌의 정보를 읽어 백업해두고 새로운 신체에 복구하면 되는 것이죠. 물론 먼 미래의 일이지만 기술 발전의 방향만큼은 확실합니다. 그래서 인공지능윤리정책포럼 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명주 서울여대 교수는 지금 당장 AI윤리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
<![CDATA[[밤에 듣는 미술관 오프라인 강좌②] 죽은 토끼를 안고 미술관을 돌아다니는 남자의 비밀 - 티타임즈]]> /article/2023122910527754093 /article/2023122910527754093 Sun, 31 Dec 2023 07:00:01 +0900 장민주 PD


지난 9월 '밤에 듣는 미술관' 샤이니타이거 작가와 함께 한 '현대미술 오프라인 강좌'의 편집본입니다.


미학자 아서 단토는 “예술의 규칙이 사라졌다”며 ‘예술의 종말’을 선언했습니다. 누구든지 예술가가 될 수 있고, 어떤 사물이든 예술이 될 수 있다는 뜻이죠. 그렇다면 사물과 예술은 무슨 관계가 있을까요? 이 질문에서 시작된 것이 바로 ‘개념 미술’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피에로 만초니, 요셉 보이스, 플럭서스 운동, 비토 아콘치, ‘퍼포먼스의 대모’ 마리나 아브라모비치, 포인셰발 등 개념 미술과 퍼포먼스 아트에 대해 알아봅니다.


]]>
<![CDATA[알리, 테무, 큐텐. 중국 직구가 쿠팡을 위협한다! - 티타임즈]]> /article/2023122916587731814 /article/2023122916587731814 Sat, 30 Dec 2023 07:00:02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국내 이커머스 시장 점유율, 사용자 수면에서 중국 직구 쇼핑몰인 알리 익스프레스가 3~4위까지 치고 올라왔다고 합니다. 테무, 쉬인을 비롯해 지마켓 창업자인 구영배 대표가 만든 큐텐까지 중국 판매자를 중심으로 하는 해외 직구 플랫폼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특히 큐텐은 위메프, 티몬, 인터파크 커머스를 인수하며 몸집을 키우고 있죠.

오죽하면 쿠팡의 경쟁자는 11번가나 G마켓이 아니라 중국 직구 플랫폼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쿠팡과 알리의 한 판 승부는 어떻게 전개될까요?



]]>
<![CDATA[푸틴, 발칸반도에 다시 전쟁의 불 지핀다? - 티타임즈]]> /article/2023122817307788276 /article/2023122817307788276 Fri, 29 Dec 2023 16:00:01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구단비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유럽의 화약고로 불리는 발칸반도. 최근 이곳 코소보와 세르비아 사이에 무력 충돌이 발생했습니다. 발칸반도 제2의 전쟁을 러시아가 뒤에서 조정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서방의 지원과 관심을 분산하겠다는 전략이란 것이죠. 국제시사문예지 파도의 김동규 편집장과 김수빈 에디터와 함께 다민족, 다종교의 발칸반도 역사와 최근 이 지역 전쟁 발발 가능성에 대해 분석해 봅니다.

]]>
<![CDATA[CES 2024! 주목해야 할 트렌드&격전지 좌표 - 티타임즈]]> /article/2023122818057735035 /article/2023122818057735035 Thu, 28 Dec 2023 18:05:21 +0900 이재원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2024년 1월9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하는 CES 2024의 핵심 키워드는 단연 생성형 AI입니다. "모든 회사가 AI 회사가 되는 세상"이라는 게리 샤피로 CTA 회장의 말처럼 IT가 아닌 영역과 AI가 결합이 가속화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기조연설에도 화장품 회사 로레알, 유통 회사 월마트가 이름을 올렸습니다. 테크 회사가 아닌 기업이 AI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제대로 보여준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모빌리티, 디지털 헬스, 푸드테크, 생성형 AI 디바이스 등 미리 확인해야 할 CES 2024의 체크 포인트를 미리 정리했습니다. 티타임즈는 CES 기간 내내 현장에서 최신의 트렌드와 소식을 전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CDATA[10년전 한국에서 재벌집 막내아들처럼 비즈니스 하려면 - 티타임즈]]> /article/2023122616267794924 /article/2023122616267794924 Tue, 26 Dec 2023 17:30:02 +0900 최재홍 교수, 구단비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글로벌 진출은 대기업뿐 아니라 스타트업들에게도 사활이 걸린 문제입니다. 특히 한국이 앞선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로 성공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베트남, 인도, 일본, 사우디 등을 주목해야 합니다.


그래서 이들 나라의 비즈니스에 대해 가장 정통한 전문가들을 모시고 글로벌 비즈니스 시리즈를 연재합니다. 1편은 한국인들이 이미 15만명이나 살고 있는 베트남입니다.

2015년부터 베트남에서 사업을 해오고 있고 최근 ‘챗GPT도 알려 주지 않은 베트남 비즈니스’를 출간한 '핑거비나' 이정훈 대표로부터 베트남의 비즈니스 문화에 대해 들어봅니다.


10년전 한국과 가장 닮은 나라, 여성들이 강한 나라, 순수하면서도 술을 많이 마시는 나라 베트남에서 성공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CDATA[한국 대기업 싫어하는 일본, 한국 스타트업은? - 티타임즈]]> /article/2023122218237749078 /article/2023122218237749078 Mon, 25 Dec 2023 08:00:01 +0900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대표, 김영덕 디캠프/대표, 구단비 기자, 홍재의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일본인들에게 한국의 대기업은 일본의 대기업을 베껴 성공한 회사라는 인식이 강하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한국 스타트업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할까요? 배울 것이 많고 일본의 디지털 전환에 도움이 되는 기업이라는 인식이 있다고 하네요.


한국 스타트업에 있어서도 일본 시장은 아주 매력적입니다. 우리나라보다 7배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고, 일본 고객들은 유료 결제에 더 열린 마음을 갖고 있다죠. 게다가 일본 정부가 지난해 말 발표한 '스타트업 육성 5개년 계획'에 따르면 2027년까지 투자액을 10조엔 규모로 늘리겠다고 합니다. 한국 스타트업이 일본에 진출하지 않을 이유가 있습니다.


다만, 일본에서 창업하거나 일본 시장에 진출할 때 유념해야 될 몇 가지 사항들이 있습니다. 스타트업 전문가 '오리' 김영덕 디캠프 대표와 '깡이'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 대표에게 들어보시죠.

]]>
<![CDATA[[밤에 듣는 미술관 오프라인 강좌①] 미국이 사랑하는 작가, 잭슨 폴록! 그를 탄생시킨건 사회주의 리얼리즘이었다 - 티타임즈]]> /article/2023121917497772793 /article/2023121917497772793 Sat, 23 Dec 2023 19:00:01 +0900 장민주 PD


지난 9월 '밤에 듣는 미술관' 샤이니타이거 작가와 함께한 '현대미술 오프라인 강좌'의 편집본입니다.


예술의 범위는 정말 다양합니다. 작가들은 예술에 자신을 투영하기도 하고, 시대를 반영하기도 하죠. 긴 시간을 거쳐 현대미술에 이르기까지 예술의 사조는 끊임없이 변화되어 왔습니다. 이번 시간에서는 '근대미술의 시작점'이라 불리는 앙리 마티스, 앙드레 드랭(야수파), 콜라주 기법을 발명한 피카소&브라크, '추상미술의 아버지' 칸딘스키, 초현실주의 창시자 달리, 미국 추상표현주의 잭슨 폴록 등 20세기 예술의 변화와 그 속에서 피어난 작가들의 작품에 대해 알아봅니다.

]]>
<![CDATA[죽은 사람이 산 사람의 직업을 위협하기 시작했다 - 티타임즈]]> /article/2023122118287728565 /article/2023122118287728565 Thu, 21 Dec 2023 18:28:44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과거에는 실재하지 않는 그래픽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한 장 한 장 손으로 그리거나 오랜 컴퓨터 그래픽 작업을 해야 했죠.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되면서 이제는 클릭 몇 번이면 세상에 없던 장면을 만들어내거나 정지해 있는 사진을 움직이는 영상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여기에 음성 합성 기능을 덧붙이면 죽은 사람을 디지털로 살려낼 수도 있죠.

'딥페이크'라 부르는 이 기술이 다양한 분야로 빠르게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AI 디에이징에 활용돼 사람을 젊게 보이게 만들거나 '딥누드'에 악용돼 헐벗은 모습처럼 사진을 바꿔주기도 하죠. CT사진 등에 적용하면 없던 병을 만들어내거나 있는 병을 없는 것처럼 보이게 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런 딥페이크 기술이 빠르게 보급되면 우리의 세상은 어떻게 바뀔까요? 그리고 어떤 혼란이 생겨날까요? AI전문가이자 인공지능윤리정책포럼 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명주 서울여대 교수와 함께 상상하기 힘들었던 우리의 미래를 예측해 봅니다.



]]>
<![CDATA[배달의민족이 돈 줘가며 취준생들 가르치는 이유 - 티타임즈]]> /article/2023122018047763372 /article/2023122018047763372 Wed, 20 Dec 2023 18:04:49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왜 이렇게 뽑을 사람이 없을까 한숨만 쉬고 계신가요? 좋은 인재를 얻기 위해서는 좋은 채용 프로세스를 갖고 있어야 합니다. 우리가 원하는 인재상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정의하고 핏이 맞는 사람을 찾아야 합니다. 원하는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교육을 미리 시켜야하죠.

기업의 채용 프로세스를 바꿔줄 SaaS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채용의 과정을 어떻게 혁신해 성공했는지 30년 경력의 박종천 개발자에게 들어보시죠.



]]>
<![CDATA[왜 스타트업들은 일본과 사우디를 주목해야 할까? - 티타임즈]]> /article/2023121918267772482 /article/2023121918267772482 Tue, 19 Dec 2023 18:26:19 +0900 홍재의 기자, 구단비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스타트업 투자 트렌드의 한 챕터가 지나가고 있다고 합니다. 몇 년전만 해도 플랫폼, 유통, 게임 분야라면 쉽게 투자를 받을 수 있었지만 최근 투자자금이 가장 많이 빠진 곳이 바로 이 분야라고 합니다. 또한 창업자 주도의 스타트업 생태계가 투자자 우위의 시장으로 바뀐 것도 큰 변화입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투자자금은 어떤 분야로 몰릴까요? 스타트업의 겨울은 언제쯤 회복이 될까요? 최성진 코리아스타트업포럼 대표로부터 들어봅니다.



]]>
<![CDATA[회사원의 고통과 시간낭비를 덜어주는 사스들 - 티타임즈]]> /article/2023121818157768455 /article/2023121818157768455 Mon, 18 Dec 2023 18:15:49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업무를 하다보면 핵심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은 그리 길지 않죠. 하루 일과 중에 잡무에 허비되는 시간이 상당 부분을 차지합니다. 특히나 외근이 잦은 직군이거나 출장이 많다고 하면 더하죠. 비행기 표 끊고, 숙소 알아보고, 영수증 증빙하는데 하루가 다 가기도 합니다. 이런 잡무를 사스 툴로 대신할 수 있게 된다면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요? 직원은 핵심 업무에 더 많은 시간을 쏟을 수 있게 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습니다. 사스에 소비되는 비용이 아깝지 않겠죠.

회사를 운영하는데 꼭 필요한 법정 교육, 증빙, 급여 관리 등을 대신해 주는 사스들이 있습니다. 글로벌 기업들은 어김 없이 사용하는 툴이죠. 30년 개발자 박종천 님이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애드민(Admim) 사스를 소개해 드립니다.



]]>
<![CDATA[편의점을 혁신적으로 경영할 방법 없을까? - 티타임즈]]> /article/2023121517517786827 /article/2023121517517786827 Sun, 17 Dec 2023 07:00:02 +0900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대표, 김영덕 디캠프/대표, 구단비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장사는 쉽지 않습니다. 퇴직하고 많이 차리는 편의점도 마찬가지이죠. 요즘은 젊은 분들도 편의점 창업에 도전한다고 하는데 좀 더 혁신적으로 편의점을 경영할 방법이 없을까요?


스타트업 전문가 '오리' 김영덕 디캠프 대표와 '깡이'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 대표로부터 편의점을 해보겠다면 꼭 알아야 할 3가지를 살펴봅니다.

]]>
<![CDATA[트위치 한국 철수, 누구의 탓인가? - 티타임즈]]> /article/2023121518277726679 /article/2023121518277726679 Sat, 16 Dec 2023 07:00:02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트위치'가 한국 철수를 발표했죠. 댄 클랜시 트위치 CEO는 직접 트위치 방송을 통해 철수 이유를 밝히면서 "한국에서 네트워크 비용을 감당할 수 없어 철수를 결정했다"고 말습니다.

후폭풍이 거셉니다. 트위치가 철수 이유로 밝힌 '망사용료' 문제가 다시금 불거졌고요, 트위치를 시작으로 다른 글로벌 기업들도 한국을 떠나는 것이 아니냐!? 이런 우려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분들도 많죠.

반대로 언론에서는 트위치의 경영 악화가 트위치가 한국 시장에서 철수하는 진짜 이유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아프리카TV, 네이버, 틱톡, 유튜브 등 트위치 철수 이후 반사이익을 볼 기업들도 주목받고 있죠. 트위치 한국 철수의 진실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트위치를 즐겨 찾던 시청자들과 트위치 스트리머들은 이제 어떤 길을 걷게 될까요?



]]>
<![CDATA[키신저는 왜 미 지배층을 위한 전범이라 불리나 - 티타임즈]]> /article/2023121415427751730 /article/2023121415427751730 Thu, 14 Dec 2023 17:30:01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구단비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헨리 키신저 전 미 국무장관이 지난달 29일(현지시간) 100세를 일기로 별세했습니다. 사후 그에 대한 평가는 엇갈립니다. 미중 관계를 개선시켰다는 공도 있지만 약소국에 자행했던 일에 대해서는 ‘전범’이라는 꼬리표가 늘 붙어다닙니다. 특히 베트남, 캄보디아에서의 수십만명 학살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죠. 국제시사문예지 파도의 김동규 편집장과 김수빈 에디터와 키신저가 어떤 사람이었는지 분석합니다.

]]>
<![CDATA[“테슬라는 앞으로 구글처럼 돈 벌 겁니다” (강정수 박사) - 티타임즈]]> /article/2023121215537730223 /article/2023121215537730223 Tue, 12 Dec 2023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테슬라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FSD는 테슬라만 쓰는 게 아니라 토요타도 쓰고, 포드도 쓰고, 혼다도 쓰는 날이 올 것입니다. 전기차 앱스토어 시장도 테슬라가 주도하게 될 것입니다. 전형적인 빅테크의 길을 가는 것이죠. 구글이 안드로이드 운영체계로 돈 버는 것처럼 말이죠. 폭발적으로 이윤율이 성장하는 것이죠. 테슬라의 독주는 2026년부터 시작될 것입니다.”


테슬라의 FSD와 휴머노이드 옵티머스, 그리고 스타링크까지 얼마나 폭발력을 가지고 있는지 강정수 박사와 함께 알아봅니다.

]]>
<![CDATA[챗GPT로 나를 브랜딩하고 돈까지 벌 수 있는 방법 - 티타임즈]]> /article/2023121115117771127 /article/2023121115117771127 Mon, 11 Dec 2023 17:30:02 +0900 최재홍 교수, 구단비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챗GPT를 무기로 우리 자신이 강력한 브랜드가 되는 방법은 없을까요? 챗GPT를 통해 나만의 노하우, 나만의 통찰을 끄집어내고, 다시 챗GPT를 통해 이를 다양한 콘텐츠로 만든다면 나의 영향력이 커질 것입니다. 나의 퍼스널 브랜딩이 자동으로 되는 것이죠. 나의 방법론과 생각을 담은 콘텐츠를 판매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방법을 김윤경 팬덤퍼널 대표로부터 들어봅니다.



]]>
<![CDATA[AI전문가 4명이 보는 ‘2024년 생성AI 트렌드’ [티타임즈 오픈토크 요약본②] - 티타임즈]]> /article/2023120818207777412 /article/2023120818207777412 Sun, 10 Dec 2023 08:00:01 +0900 최형균 기자, 장민주 PD

티타임즈가 지난 달 16일 개최한 오픈토크 세션1 ‘2024 생성형AI가 모든 걸 집어삼킨다’의 요약본입니다.


현장의 생생한 질의 응답과 민감한 얘기는 담지 못했지만 2024년 생성형AI가 어떤 영향을 몰고 올 지 인사이트를 얻어보시기 바랍니다. 김지현 SK경영경제연구소 부사장, 오순영 KB국민은행 금융AI 센터장, 차경진 한양대 비즈니스 인포메틱스학과 교수, 윤종영 국민대 교수·투썬AI 스쿨 센터장 등 4명의 패널이 슈퍼앱, AI에이전트, 생성형AI를 통한 고객경험 혁신을 주제로 내년을 전망했습니다.

]]>
<![CDATA[조직문화 전문가 4명의 ‘2024년 이런 조직이 성공한다’ [티타임즈 오픈토크 요약본①] - 티타임즈]]> /article/2023120818197775726 /article/2023120818197775726 Sun, 10 Dec 2023 07:00:01 +0900 구단비 기자, 장민주 PD

티타임즈가 지난 달 16일 개최한 오픈토크 세션2 ‘공감할 줄 아는 조직이 가장 창의적인 조직이다’의 요약본입니다. 현장의 다이내믹했던 질의응답과 분위기를 그대로 담지는 못했지만 우리의 조직은 갈등을 어떻게 해결하고 어떤 문화를 갖추어야 할지 인사이트를 얻어보시기 바랍니다. 박웅현 TBWA 조직문화 연구소장, 신수정 KT 부사장, 장대익 가천대 창업대학장, 황성현 퀀텀인사이트 대표, 김영덕 디캠프 대표가 참여해주셨습니다.

]]>
<![CDATA[밥집 차리고 골프대회 열고~ 넷플릭스 요즘 왜이러나? - 티타임즈]]> /article/2023120817487722493 /article/2023120817487722493 Sat, 9 Dec 2023 07:00:01 +0900 배소진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최근 넷플릭스가 부업에 열심입니다. 먹고, 쇼핑하고, 체험하는 상설매장 두 곳을 곧 열 예정이고요. 얼마 전에는 F1 드라이버들과 PGA투어 선수들이 대결하는 골프대회도 열어 생중계했습니다. 돈을 벌기 위해서죠. 본업만으로는 힘들기 때문입니다. 드라마에 나오는 음식을 먹고 드라마를 체험할 수 있는 매장으로 콘텐츠의 부가가치를 올리고, 스포츠 생중계로 광고수익을 올리겠다는 것입니다.



]]>
<![CDATA[AI의 창작물은 동종교배 때문에 열성화된다 (김명주 교수) - 티타임즈]]> /article/2023120717327773806 /article/2023120717327773806 Fri, 8 Dec 2023 17:00:02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영국 법원 판결을 빅데이터 분석해 보니 점심을 먹고 난 뒤의 판결이 더 후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영국 법원의 정의는 포도당에 있다’는 말도 나옵니다. 그래서 AI가 사람보다 더 공정하다는 이유로 AI에 자꾸 맡기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한 번 가면 다시는 못 돌아옵니다. 어느 순간부터 AI가 사람의 운명까지 결정하게 되는 것이죠. 이건 굉장히 위험합니다.”


인간의 역할을 AI에 하나씩 양보하게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 돌이킬 수 없는 사태를 막기 위해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인공지능 윤리 전문가 김명주 서울대 교수에게 들어봅니다.

]]>
<![CDATA[일론 머스크는 테슬라에 눈뿐 아니라 귀까지 달았다 - 티타임즈]]> /article/2023120715527765702 /article/2023120715527765702 Thu, 7 Dec 2023 17:30:02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테슬라가 베타 단계인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FSD(Full Self Driving) 12를 곧 출시할 예정입니다. 버전11이 자율주행 레벨2 단계인 반면 버전12는 레벨3, 혹은 레벨4라는 얘기까지 나옵니다.


테슬라의 자율주행의 비밀을 강정수 박사와 함께 알아봅니다. GPT와 같은 거대언어모델을 적용해 300만 줄로 쓰인 코드를 없애버렸고, 멀티모달을 적용해 차량에 눈(카메라)뿐만이 아니라 귀(보이스)까지 달아줬다고 합니다. 차량들이 학습하는 영상, 소리 데이터들은 도조 컴퓨터와 연결돼 추론에 이용되고 있죠.

]]>
<![CDATA[30년 개발자가 사스, AI 회사를 분석하는 방법 - 티타임즈]]> /article/2023120616557799988 /article/2023120616557799988 Wed, 6 Dec 2023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수백 개 회사의 사스(SaaS)를 하나로 연결해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한 회사만 해도 수십 개의 SaaS를 활용해 업무를 하기 때문에 각 서비스가 연동되지 않으면 생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죠. 그래서 이 모든 서비스를 하나로 이어주는 '플랫폼'과 같은 서비스는 지금, 현 시장에 가장 필요한 서비스입니다.


회사를 분석하고, 시장을 분석하고, 사업기회와 투자기회를 찾으려면 이를 분석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지금 필요한 서비스, 시장이 원하는 기업을 찾을 수가 있게 되죠. 30년 개발자이자 각종 IT기업에서 자문 역할을 하고 있는 박종천 개발자의 노하우를 들어봅니다.


]]>
<![CDATA[전기차 대신 하이브리드 집중했던 토요타가 옳았다고? - 티타임즈]]> /article/2023120517367786917 /article/2023120517367786917 Tue, 5 Dec 2023 17:39:17 +0900 최형균 기자, 홍재의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최근 전기차 시장이 축소되고 있다는 보도가 여기저기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토요타 회장은 “전기차의 현실이 마침내 드러나는 중”이라고 말했고 일부 언론은 “토요타가 옳았다”는 보도까지 하고 있습니다. 이런 와중에 테슬라는 사이버트럭을 출시했죠


그래서 강정수 박사와 긴급 전기차와 테슬라 분석 시리즈를 시작합니다. 정말 전기차로의 전환이 흐물흐물해지는 것일까요? 테슬라의 주가는 어떻게 될까요?

]]>
<![CDATA[챗GPT가 들어간 냉장고, 에어컨, 로봇청소기는 어떤 모습일까? - 티타임즈]]> /article/2023120416597730317 /article/2023120416597730317 Mon, 4 Dec 2023 17:30:01 +0900 최재홍 교수, 최형균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챗GPT는 그 자체로 서비스에 머무를까요? 아닙니다. 수많은 가전과 기기에 탑재돼 하드웨어를 혁신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챗GPT가 탑재된 TV, 냉장고, 세탁기, 로봇청소기, 에어컨을 상상해보십시오. 여기에다 전혀 새로운 디바이스까지 시도가 되고 있습니다. 안경, 시계, 반지 그리고 옷에 꽂는 핀까지 말이죠. 그래서 챗GPT는 제조업을 혁신하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김지현 SK경영경제연구소 부사장의 얘기를 들어보시죠.

]]>
<![CDATA[삼성전자 직원들은 왜 오가며 키오스크를 찍을까? - 티타임즈]]> /article/2023120116467784921 /article/2023120116467784921 Sun, 3 Dec 2023 07:00:01 +0900 배소진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빌게이츠, 워런 버핏의 롤모델인 세계최대 면세점 DFS의 창업자 찰스 척 피니. 그런 그가 평생 해왔던 게 있습니다. 바로 기부입니다. 다른 사람들 몰래 기부한다고 ‘자선사업계의 제임스 본드’라고도 불렸습니다. 평생 80억 달러(10조원)를 기부하고 자신은 빈털터리로 최근 세상을 떠났죠. 그의 지론도 “기부하고 싶으면 살아있는 지금 기부하라. 죽어서 기부하는 것보다 훨씬 더 즐겁다”라는 것입니다.

이처럼 기부를 뒤로 미루지 않고 출퇴근하면서, 밥 먹으러 가면서, 산책가면서 일상에서 실천하는 회사가 있습니다. 바로 삼성전자입니다. 이곳 직원들은 사내 곳곳에 설치된 키오스크를 터치하며 1,000원씩 기부합니다. 이렇게 해서 2015~2022년까지 모은 금액만 26억4,000만원입니다. 580명의 아동에게 전달이 됐죠. 억만장자 부럽지 않은 1,000원의 힘을 보여준 삼성의 나눔키오스크를 소개합니다.



]]>
<![CDATA[인간 뛰어넘는 AI의 출현? 오픈AI의 CEO 축출 미스터리 - 티타임즈]]> /article/2023120110027712373 /article/2023120110027712373 Sat, 2 Dec 2023 07:00:02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오픈AI 이사회는 샘 올트먼을 왜 축출하려 했을까요? 사건의 비밀을 풀 실마리는 Q*(큐스타)라는 AI입니다. 수학문제를 풀 수 있는 AI라고 하는데 물론 아직은 초등 수학 수준이라고 합니다. 그럼에도 그동안 생성형AI는 논리력이 필요한 수학문제 추론은 불가능한 영역으로 평가받아 왔습니다. 그래서 Q*(큐스타)가 AGI라고 불리는 인간지능과 유사하거나 혹은 인간을 뛰어넘는 능력을 갖춘 AI 등장의 서막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초등 수학 문제를 풀면 금방 대학 수학 문제도 풀 수 있다는 것이죠.


대체 그날, 오픈AI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났던 것일까요? 이 사건은 단순히 한 기업의 CEO가 권력 싸움에서 밀려났다가 다시 돌아온 사건으로 남진 않을 것 같습니다. 그날, 어떤 일이 있었던 것인지 그리고 이 사건이 우리에게 미칠 영향은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
<![CDATA[오픈AI 쿠데타, FTX 사태 뒤에는 ‘효율적 이타주의’ 사상이 있다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3120109517744644 /article/2023120109517744644 Fri, 1 Dec 2023 17:00:02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구단비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오픈AI 쿠데타가 ‘5일 천하’로 막을 내렸지만 쿠데타의 사상적 배경인 ‘효율적 이타주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사상은 오픈AI 쿠데타뿐 아니라 코인거래소 FTX의 파산 사태와도 관련이 되어 있다고 합니다. 실리콘밸리의 부자들을 강타한 효율적 이타주의가 어떤 철학인지 국제시사문예지 파도의 김동규 편집장, 김수빈 에디터와 함께 알아봅니다.

]]>
<![CDATA[나도 태양광발전소 주인이 될 수 있다! - 티타임즈]]> /article/2023113015507715361 /article/2023113015507715361 Thu, 30 Nov 2023 17:39:19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전세계 탄소감축 정책으로 재생에너지는 계속 성장할 수밖에 없는 시장입니다. 석유시대에는 에너지 소유권이 석유 생산국에만 있었죠. 하지만 재생에너지 시대에는 다릅니다. 내가 태양광발전소에 투자를 해서 주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태양광에너지 발전, 투자, 소비까지 개미군단을 하나로 묶어주는 플랫폼이자 협동조합을 구성하게 해주는 에이치에너지를 소개합니다. 이 회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개인은 어떻게 재생에너지의 주인이 될 수 있는지 확인해보시죠.




]]>
<![CDATA[네이버 CUE:는 검색의 경험을 어떻게 바꿀까? - 티타임즈]]> /article/2023112816457722912 /article/2023112816457722912 Tue, 28 Nov 2023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우리는 인터넷으로 검색을 할 때 무의식적으로 검색을 어떻게 해야할지 작전을 짭니다. 무엇을 검색해서 조합해야 할지, 어떤 검색어가 최선의 선택일지를 고민하게 되죠. 과거에는 맛집을 잘 검색하려면 '장소'와 함께 '오빠'라는 단어를 함께 넣어야 분위기 좋은 맛집이 잘 검색된다는 꿀팁이 공유되기도 했죠.

앞으로는 이런 작전을 짜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개떡 같이 말해도 찰떡 같이 알아듣는 생성AI가 있기 때문이죠. 원하는 바를 이야기만 하면 검색의 목적을 귀신 같이 파악하고 원하는 결과를 제공해주게 됩니다. 생성AI가 검색 경험과 검색 습관을 어떻게 바꿀지 네이버 큐:를 만든 전문가에게 직접 들어보시죠.



]]>
<![CDATA[아직도 엑셀 써서 6개월? 포스코 다니면서 너무 답답해서 만든 회사 - 티타임즈]]> /article/2023112316457753320 /article/2023112316457753320 Mon, 27 Nov 2023 17:30:02 +0900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대표, 김영덕 디캠프/대표, 최형균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회사설명을 다니면서 수많은 부정적 피드백을 받고 번아웃이 왔다. 3명 공동창업자들은 갈등도 생겼다. 한달간 딱 멈추고 창업했을 때의 원점으로 돌아갔다. 그랬더니 길이 보이기 시작했다. 더 쉬워졌다.”


포스코에 다니면서 공장자동화 AI솔루션 사내벤처를 만든 앰버로드 임언호 대표의 이야기입니다. 요즘 스타트업계에서 ‘핫’한 회사입니다.


포스코에서 스마트팩토리 공정설계를 담당하다가 엔지니어 입장에서 현장의 답답했던 문제를 해결하겠다며 창업했죠. 6개월 걸리던 공정설계 작업을 AI솔루션을 통해 하루 만에 가능하도록 했다고 합니다.


이런 AI솔루션을 개발하기까지 어떤 고통이 있었고, 극복했는지 ‘오깡비’에서 들어보시죠.

]]>
<![CDATA[오픈AI 이사들이 샘 올트먼 축출 시도한 이유 (김명주 서울여대 교수) - 티타임즈]]> /article/2023112417497719308 /article/2023112417497719308 Sun, 26 Nov 2023 07:00:01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오픈AI 이사들은 왜 샘 올트먼 축출을 시도했을까요? 그 이유를 이해하려면 ‘딥러닝의 아버지’ 제프리 힌튼 교수와 그의 수제자이자 오픈AI 이사로 쿠데타를 주도했던 일리야 슈츠케버에 주목해야 합니다.


제프리 힌튼 교수는 구글에서 거대언어모델 개발에 깊숙이 관여했습니다. 구글이 챗GPT보다 더 우수한 언어모델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위험성을 고려해 발표하지 않았다고 할 때 부사장이었죠. 구글을 나오면서 그는 “구글에서 딥러닝을 개발한 것을 후회한다. 앞으로 인류는 AI 때문에 엄청난 이득을 얻겠지만 그 부작용과 역기능을 막기 위해서 이득의 두배가 넘는 돈을 지불해야 할 것이다”라고 했죠. 제프리 힌튼의 아바타로 불리자 그의 수제자였던 인물이 바로 일리야 수츠케버입니다.


오픈AI는 설립목적이 안전한 인공일반지능(AGI) 개발입니다. AI 개발이 아니라 ‘안전한’ AI 개발이 목적입니다. 오픈AI 이사회가 오픈AI 경영을 맡겠다는 일론 머스크의 제안을 거절한 것도 이때문이었죠. 이번 쿠데타 역시 샘 올트만이 너무 앞서간다고 판단한 이사회의 결정이었다는 것입니다.


신념이 이해관계보다 더 중요한 사람들이었던 것이죠. 이 사건의 본질을 김명주 서울여대 교수와 분석해 드립니다.




]]>
<![CDATA[바닥친 게임 산업 이제 반등만 남았다? - 티타임즈]]> /article/2023112418247715528 /article/2023112418247715528 Sat, 25 Nov 2023 07:00:01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지난주는 게임업계의 큰 잔칫날이었습니다. 고척스카이돔에서 열린 롤드컵 결승은 티켓 리셀 가격이 수백만원을 넘을 정도로 인기를 끌었구요. 광화문에서 열린 거리응원에도 수만명이 모여들었습니다. 부산에서는 지스타2023이 열렸죠. 많은 게임사들이 신작을 발표하면서 관심을 받았고, 엔씨소프트의 김택진 대표가 현장을 방문해 깜짝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습니다.


올해를 되돌아보면, 2023년은 국내 게임업계에 있어 우울한 한 해였습니다. 주요 게임사들의 주가는 반토막을 넘어 3분의 1토막이 났구요, 이렇다 할 성공 사례를 찾아보기도 힘들었습니다. PC게임 분야에서는 외산게임에 안방을 완전히 내주었고, P2E 게임 분야에서는 잡음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게임 업계는 바닥을 치고 반등할 수 있을까요? 성황리에 끝난 롤드컵부터 국내 게임 업계의 미래까지 조망해봅니다.



]]>
<![CDATA[5일 천하 오픈AI 쿠데타 정리 - 승자는 샘 올트만, 좋아할 수만 없는 MS - 티타임즈]]> /article/2023112317587789432 /article/2023112317587789432 Thu, 23 Nov 2023 18:51:00 +0900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오픈AI의 쿠데타가 5일 천하로 막을 내렸습니다. 샘 올트만이 오픈AI로 복귀하고 새 이사회를 구성하게 됐습니다. 쿠데타 세력이 축출이 된 것이죠. 이번 오픈AI 사태의 파장을 김지현 부사장과 정리합니다.


“최고의 승자는 샘 올트만이다. 더 강력한 리더십과 전 세계적 위상, 직원들의 신뢰까지 얻었다. 샘 올트만의 야망과 독주가 시작될 것이다. 더 속도를 낼 것이다. 챗GPT가 '넘사벽'이 될 수 있다.”


“샘 올트만을 MS가 흡수한다고 할 때만 해도 MS가 최고 승자였다. 하지만 이제 사티아 나델라는 기뻐할 수만은 없을 것이다. 샘 올트만이 너무 커버렸다. 오픈AI가 MS의 잠재적 경쟁자가 될 수 있다.”


“구글 등 나머지 회사들의 고민은 더 커질 것이다. 오픈AI가 속도전을 낼 것이기 때문이다. 내년 범용의 AI에이전트, 자비스, 생태계를 장악하는 경쟁에서 구글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어쨌든 이번 사태는 AI가 인류를 위한 것이 되어야 한다, 통제불가능한 AI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문제제기였다는 점에서 건강한 싸움이었다.”

]]>
<![CDATA[내년 AI앱 쓰나미가 온다. 제2의 카톡, 배민이 쏟아질 것 - 티타임즈]]> /article/2023112117177753819 /article/2023112117177753819 Tue, 21 Nov 2023 17:30:02 +0900 최재홍 교수, 최형균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오픈AI의 쿠데타, 샘 알트만의 MS 합류, 오픈AI 직원 770명 중 710명의 탈 오픈AI 선언 등 IT전반에 오픈AI발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래도 우리는 큰 그림을 놓쳐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래서 2024년 생성AI가 촉발할 IT트렌드 변화의 핵심을 ‘IT트렌드 2024’를 출간한 김지현 SK 부사장과 정리합니다. 축약하면 아이폰 이후처럼 “AI 앱스토어의 원년이 될 것이다”라는 것입니다.


“챗GPT 하나가 중요한 게 아니라 똑똑한 AI 기반의 서비스를 개발팀이 없어도 누구나 만들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제2의 다음, 카카오톡, 배민, 우버, 에어비앤비가 나올 수 있는 모멘텀이 만들어졌다.”


“예를 들면 사주풀이와 운세상담도 바뀔 수 있다. 수많은 사주풀이 AI챗봇이 나오는 거다. 심지어 얘는 터키어, 불어도 하고 미국에서 서비스도 할 수 있다. 내가 하는 게 아니라 내가 가르친 애가”

]]>
<![CDATA[샘 알트만 축출 위한 오픈AI 쿠데타의 배경은? - 티타임즈]]> /article/2023112018177799263 /article/2023112018177799263 Mon, 20 Nov 2023 18:17:13 +0900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AI가 무엇인지를 보여준 오픈AI의 지난 주말 쿠데타는 AI 역사에서 역사적 사건이 아닐 수 없습니다. 쿠데타의 명분이 ‘빅테크에 종속되지 않은 인류 보편을 위한 AGI(인공일반지능) 개발’이기 때문입니다. 오픈AI 내부에서 AI개발이 지금과 같은 속도와 방식으로는 안된다고 들고 일어난 것이죠.

11월 20일 현재 쿠데타는 성공한 것 같습니다. 미국 IT매체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샘 알트만의 복귀 협상이 결렬되면서 샘 알트만은 오픈AI를 떠나기로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강정수 박사를 긴급초대해 쿠데타의 과정과 쿠데타가 미칠 파장에 대해 알아봅니다.




]]>
<![CDATA[일론 머스크는 생성형AI로 자율주행을 어떻게 바꿀까? - 티타임즈]]> /article/2023111718357723576 /article/2023111718357723576 Sat, 18 Nov 2023 07:00:01 +0900 홍재의 기자, 이재원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일론 머스크는 거대언어모델(LLM)을 자율주행에 어떻게 적용할까요?


이미 테슬라는 소리를 적용하는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컴퓨터 비전이 아니라 사람들이 말하는 소리가 점점 커지는 것을 듣고 자율주행차가 앞에 사람들이 오고 있다는 것을 판단하는 것이죠.


IT전문가 강정수 박사는 LLM이 음주운전 차량을 확인하는 데도 큰 역할을 하면서 향후 자율주행에 있어서 LLM이 핵심 역할을, 컴퓨터 비전이 보조적인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거라는 분석입니다.


이와 함께 12월에 발표예정인 구글의 생성AI 제미나이, 그리고 애플의 생성AI 구상도 분석합니다.



]]>
<![CDATA[오픈AI 데브데이 리뷰 - 누구나 유튜버 되듯 AI챗봇 만든다 - 티타임즈]]> /article/2023111708057759531 /article/2023111708057759531 Fri, 17 Nov 2023 08:05:35 +0900 홍재의 기자, 이재원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지난 6일(현지시간) 오픈AI가 개발자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코딩을 못해도 누구나 나만의 AI챗봇을 만들 수 있는 ‘GPTs’, 이용자들이 직접 만든 AI챗봇을 이용하고 사고팔 수 있는 ‘GPT 스토어’, 300페이지 책 한 권을 통째로 입력할 수 있는 ‘GPT4 터보’ 등 엄청난 발표들을 쏟아냈습니다.


특히 유튜브가 누구나 콘텐츠를 만드는 UCC(User Created Contents)의 시대를 연 것처럼 GPTs는 유저 제너레이티드 봇, 유저 제너레이티드 AI의 시대를 열 거라는 전망입니다.


예를 들어 아버지의 일기장, 아버지와의 카톡내용 등 기록을 입력하면 아버지AI를 만들어 돌아가신 후에도 대화를 할 수 있는 것이죠. 여기다 GPT 스토어가 개인들이 만든 AI의 시장을 만들면서 마치 AI의 유튜브 시대가 도래할 거라는 전망입니다.


오픈AI 발표 내용의 의미를 국내 최고의 IT트렌드 전문가 강정수 박사와 분석해 봅니다.

]]>
<![CDATA[네이버 AI검색, Cue: 챗GPT와 어떻게 다른가요? - 티타임즈]]> /article/2023111518367767645 /article/2023111518367767645 Wed, 15 Nov 2023 18:36:19 +0900 홍재의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네이버의 AI검색 'Cue:'가 베타서비스를 끝내고 곧 정식 서비스에 적용될 예정입니다. Cue:는 챗GPT와는 달리 검색에 최적화해 설계됐다고 하는데요,

그러다보니 사용방법도 판이하고 같은 챗봇임에도 전혀 다른 결과물을 제공해 줍니다. 특히 사진, 쇼핑, 영상 등까지 추천해주기 때문에 UI면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Cue:가 다른 생성AI 서비스와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Cue:의 기술 총괄을 맡은 김용범 Naver Search US Chief Scientist와 기획 및 디자인 총괄을 맡은 김재엽 Search Creative X 책임리더에게 직접 들어봅니다.



]]>
<![CDATA[아마존 AWS가 클라우드 파는 회사인 줄 아셨죠? - 티타임즈]]> /article/2023111418227755455 /article/2023111418227755455 Tue, 14 Nov 2023 18:22:48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아마존은 온라인 쇼핑몰이 아니라 클라우드 서비스인 AWS로 돈을 법니다. 그렇다면 AWS는 클라우드를 팔아 돈을 벌까요? 사실 AWS는 엄청난 교육·지원 생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AWS를 잘 쓰는 법을 가르치고, 인증해주고, 지원해주고, 필요하면 개발까지 도와주죠. AWS 혼자 할 수 없기 떄문에 이를 지원해주는 파트너사도 있습니다.

SaaS를 만드는 회사가 집중해야 될 사업모델이 바로 이것입니다. 제품 하나 판매하고 주기적 업데이트해주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거죠.



]]>
<![CDATA[왜 미중 양극체제는 환상인가? (국제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3111018207710862 /article/2023111018207710862 Sun, 12 Nov 2023 07:00:02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구단비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미중 양극체제가 올 것이다’라는 말은 환상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최근 많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중국의 경제력, 군사력, 소프트파워 모든 면에서 가라앉고 있기 때문입니다.


과연 ‘중국에 미래가 있느나’라는 의심까지 나오고 있고, 오히려 미국 주도의 일극체제가 오랜 시간 계속될 것이라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국제시사문예지 파도의 김동규 편집장과 김수빈 에디터가 미중 양국의 군사력, 통화패권, 소프트파워를 분석하며 전세계가 일극, 양극, 다극의 어떤 체제로 움직일 것인지 전망합니다.

]]>
<![CDATA[스타트업들이 왜 소멸위기의 경북 영주시로 몰려갈까? - 티타임즈]]> /article/2023111018007751041 /article/2023111018007751041 Fri, 10 Nov 2023 18:00:45 +0900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이재원 기자

부석사 무량수전, 소수서원, 영주사과라는 관광자원과 특산물을 가진 영주는 사실 각광받는 관광지가 아닙니다. 숙박, 교통 등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인데요. 그러다보니 인구절벽과 지방소멸 문제를 맞닥들여야 하는 처지가 됐습니다. 악순환에 빠진 것이죠.

이런 영주에 사업기회가 있다며 뛰어든 8개의 스타트업과 액셀러레이터가 있습니다. 영주가 스타트업에게 엄청난 기회가 될 거라는 것이죠. 남들이 보지 못한 사업기회를 포착해 영주로 모여든 8개의 스타트업은 어떤 변화를 일으키고 있을까요?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블루포인트파트너스와 8개의 스타트업의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
<![CDATA[회사 클라우드에서 몰래 암호화폐 채굴이? - 티타임즈]]> /article/2023110716447784404 /article/2023110716447784404 Tue, 7 Nov 2023 17:30:02 +0900 김인순 기자, 최형균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요즘 기업마다 엄청난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물론 보안 때문에 자체 서버를 사용하는 기업도 있지만 이제는 클라우드가 대세이죠. 그래서 클라우드 보안이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과연 클라우드에 회사의 기밀을 올려놓아도 괜찮을까요? 클라우드에서는 어떤 유형의 보안사고가 가장 많을까요? 어떻게 막아야 할까요? 베스핀글로벌 정현석 상무로부터 들어봅니다.

]]>
<![CDATA[룰루레몬이 왜 펠로톤 운동복을 팔까? - 티타임즈]]> /article/2023110616517742250 /article/2023110616517742250 Mon, 6 Nov 2023 17:00:35 +0900 배소진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요가복의 최강자 룰루레몬과 홈트레이닝의 대명사 펠로톤은 앙숙입니다. 펠로톤이 요가복을 팔고, 룰루레몬이 가정내 운동장비를 팔면서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고 있었죠.

그러던 두 회사가 손을 잡았습니다. 룰루레몬은 펠로톤 로고가 박힌 요가복을 팔고, 펠로톤은 룰루레몬에 자신의 운동콘텐트를 제공하는 것이죠.

서로의 영역을 빼앗으려던 두 회사는 왜 뭉쳤을까요? 서로 영역을 침범하다 생긴 앓던 이를 다시 상대를 이용해서 빼겠다는 것입니다. 상대를 이용해 나이키와 대적하려는 이이제이 전략입니다.

]]>
<![CDATA[[오깡비] 붕어빵 장사를 억대 비즈니스로 만들 아이디어 - 티타임즈]]> /article/2023110317067753917 /article/2023110317067753917 Sun, 5 Nov 2023 07:00:01 +0900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대표, 김영덕 디캠프/대표, 구단비 기자, 이석진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국내 최고의 스타트업 전문가 ‘오리’ 김영덕 디캠프 대표와 ‘깡이’ 강정은 이노브릿지파트너스 대표가 창업을 주제로 ‘오깡비’(오리와 깡이의 비즈니스 여행) 코너를 시작합니다.


스타트업 방법론을 활용해 우리 주변의 자영업을 혁신하고, 동시에 전도유망한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첫 번째 주제는 겨울철 국민간식 붕어빵입니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달라진 게 없는 영세한 붕어빵 장사를 어떻게 스타트업처럼 혁신할 수 있을까요? 붕어빵 장사를 억대의 사업으로 만들 방법은 없을까요?

]]>
<![CDATA[역대 최대 실적 기록한 메타, 망할 징조가 보인다? - 티타임즈]]> /article/2023110318217787915 /article/2023110318217787915 Sat, 4 Nov 2023 07:00:02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망가졌느니, 어르신만 하는 SNS니 해도 여전히 전세계에서 제일 잘나가는 소셜 서비스는 페이스북입니다. 온라인 광고 수익 규모만 봐도 여실히 드러나죠.

그런데 최근 들어 유명인을 사칭한 가짜 광고부터 페이스북 운영진을 사칭한 피싱 메시지까지 스캠이 부쩍 증가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신고를 해도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는 것 같지 않고, 게시글 노출 정책도 수시로 바뀌는 탓에 점점 사용하기가 불편해집니다.

그 와중에 메타는 어닝 서프라이즈에 가까운 3분기 실적을 내놨는데요, 지난해 말 3분의1 토막 났던 메타 주가도 올 여름부터는 지속적인 고공행진 중입니다. 망가지는 페북 혹은 잘나가는 페북. 그 사이에서 페북은 어디 위치해 있을까요? 페북-인스타그램-왓츠앱 연합은 틱톡에 결국 밀리고 말게 될까요?




]]>
<![CDATA[해외에서 연구되는 불로장생의 아이디어들 (국제 시사문예지 파도) - 티타임즈]]> /article/2023110215247717559 /article/2023110215247717559 Thu, 2 Nov 2023 17:30:01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구단비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최근 실리콘밸리 등에서 불로장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고 합니다. 신체리듬이 느려서 평균수명이 200년인 북극고래처럼, 큰 덩치에도 불구하고 암 발병률이 낮은 코끼리처럼, 자연적으로 노화해서 죽는 사례가 관찰된 적이 없다는 바닷가재처럼 말입니다. 이런 동물들을 연구하거나 혹은 후생유전학적으로 노화를 만드는 요인을 통제하면 사람도 120년, 150년 아니 영원히 살 수 있는 방법이 있지 않겠냐는 것이죠. 신의 영역에 도전하는 불로장생 연구가 어디까지 왔는지 국제시사문예지 파도와 함께 알아봅니다.

]]>
<![CDATA[개인형 LLM이 등장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이승환 박사) - 티타임즈]]> /article/2023103118237769827 /article/2023103118237769827 Tue, 31 Oct 2023 18:23:34 +0900 이재원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나만의 초거대언어모델(LLM)이 등장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내 PC의 작업물로, 혹은 내가 공부해야 할 것을 학습하게 한 뒤 나 대신 일하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웹툰 작가라면 내가 그린 그림을 공부시킨 뒤 대신 그려달라고 하게 할 수도 있겠죠.


이런 개인형 LLM, 개인들을 위한 AI에이전트가 내 PC에서, 내 스마트폰에서 돌아가는 날이 머지 않았습니다. 슈퍼개인, 강력한 개인이 탄생하게 되는 것이죠.


생성형AI가 개인화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어떤 사람이 강력한 개인이 될 수 있을까요? 이승환 박사에게 들어봅니다.

]]>
<![CDATA[90년 된 레고가 팬 커뮤니티를 활용하는 방법 - 티타임즈]]> /article/2023103018027794129 /article/2023103018027794129 Mon, 30 Oct 2023 18:58:00 +0900 이재원 기자, 류지인 디자인기자


창업 90년이 넘었는데도 계속해서 성장하는 장난감 회사 레고. 하지만 이 레고도 늘 잘 되기만 한 것은 아닙니다. 유사품의 공세와 비디오게임의 등장으로 한때 회사가 사라질 뻔한 위기도 있었는데요. 이를 극복하고 다시 레고가 살아날 수 있었던 비결이 바로 팬 커뮤니티와 디지털 전환입니다. 레고가 디지털 기술로 판을 깔아줬더니, 팬 커뮤니티가 형성됐고요. 이 팬들이 오히려 나서서 레고의 혁신을 이끌어주는 선순환 구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레고의 강력한 커뮤니티 전략에 대해 알아봅니다.

]]>
<![CDATA[행사의 모든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한 ‘이벤터스’ - 티타임즈]]> /article/2023102715017753249 /article/2023102715017753249 Sun, 29 Oct 2023 07:00:01 +0900 장민주 PD


행사 한번 열 때마다 골치아픕니다. 그래서 소개합니다. 요즘 스타트업 분야에서는 웬만하면 이 회사의 툴을 이용한다는 ‘이벤터스’.

모객, 홍보, 진행, 참가자 데이터 관리까지 모든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한 서비스입니다. 행사가 매출의 출발점인데 참석자들의 데이터가 개최 회사의 CRM 툴과도 연동이 됩니다.

이벤터스가 행사 참가자는 20% 더 늘리고, 비용은 27%를 더 절감하게 할 수 있다는데 안영학 대표로부터 그 이유를 들어보시죠.


]]>
<![CDATA[스타벅스는 왜 ‘엑스트라 핫’ 아메리카까지 팔까? - 티타임즈]]> /article/2023102717037781704 /article/2023102717037781704 Sat, 28 Oct 2023 07:00:01 +0900 최재홍 교수, 이석진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고객들의 선택을 받는 서비스는 공통점이 있어요. 자신의 감정과 시간, 관심을 아끼고 싶어하는 소비자들의 심리를 읽었기 때문입니다. 디지털 시대 소비자들의 기저에는 이런 감.시.관의 프레임이 있습니다.”


“기술에만 집착하다가 정작 사람을 놓치면 안 됩니다. 그래서 고객들의 페인포인트뿐 아니라 열망포인트까지 읽어야 합니다. 소비자들이 열망하는 지점이 바로 의미, 재미, 상징입니다.”


소비자들의 마음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 고객의 심리를 알아차릴 수 있는 프레임은 없을까요? ‘소비자의 마음을 읽어드립니다’라는 책을 쓴 고려대 송수진 교수에게 들어봅니다.


]]>
<![CDATA[슬랙과 넷플릭스의 요금제 딜레마 - 티타임즈]]> /article/2023102617537747003 /article/2023102617537747003 Thu, 26 Oct 2023 17:59:40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기업용 메신저 서비스 '슬랙'과 온라인 스토리지 시장을 연 '드롭박스' 사이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구글, MS와 같은 빅테크 기업들의 견제를 받고 있다는 사실이죠. 빅테크 기업들은 기업용 협업툴을 하나의 세트로 묶어 이용자들에게 판매하고 있습니다. 반면, 슬랙이나 드롭박스와 같은 서비스는 각각의 영역으로만 사업 모델이 한정돼 있죠. 그러다보니 수익을 만들어내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데요, SaaS 회사가 겪고 있는 딜레마에 대해 분석해 봅니다.




]]>
<![CDATA[아마존의 10년 오프라인 실험 중간점검 - 티타임즈]]> /article/2023102518487737290 /article/2023102518487737290 Wed, 25 Oct 2023 18:49:10 +0900 배소진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몇 달 전 '아마존 고'가 막대한 운영 비용을 감당하지 못하고 잇달아 폐점하고 있다는 소식이 있었죠.


사실 아마존고만이 아닙니다. 아마존북스, 아마존4스타, 아마존프레시, 아마존살롱, 아마존스타일 등 아마존은 수많은 오프라인 실험에 나섰고 슬그머니 접은 것이 한 두곳이 아닙니다.


아마존은 돈을 못벌고 있을 때가 가장 무섭다고 하지만, 왜 이익을 못내면서 오프라인에 목을 매고 있는 걸까요? 수많은 실험과 실패 속에서 아마존은 무엇을 배우고 있는 것일까요?



]]>
<![CDATA[‘애플의 비전프로 vs 메타의 퀘스트’ 누가 승자가 될까? - 티타임즈]]> /article/2023102416567779617 /article/2023102416567779617 Tue, 24 Oct 2023 17:30:01 +0900 이재원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애플의 비전프로가 메타 퀘스트3 가격의 8배가 될 거라고 합니다. 하지만 가성비가 아니라 가심비, 공간 컴퓨팅이라는 경험을 고려하면 내년 비전프로가 출시되면 난리가 날 겁니다. 막연한 가상세계가 아니라 좀 더 현실적인 메타버스가 오는 것이죠. 내년에는 메타버스 기기들이 본격적으로 경쟁하는 원년이 될 거예요.”


내년 초 출시예정인 애플의 MR(혼합현실) 헤드셋인 비전프로가 출시되면 그 파급력은 어느 정도일까요? 막연했던 메타버스의 개념은 어떻게 달라지게 될까요? 국내 최고의 메타버스 전문가 이승환 박사에게 들어봅니다.

]]>
<![CDATA[게임 만들던 회사가 최고의 업무용 메신저를 만들게 된 비결 - 티타임즈]]> /article/2023102318317733458 /article/2023102318317733458 Mon, 23 Oct 2023 18:31:16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이번 시간에는 SaaS의 다양한 분야 중 가장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생산성 카테고리를 다뤄봅니다. 생산성 툴 중 가장 유명한 회사로는 슬랙을 꼽을 수 있는데요,

슬랙은 원래 게임을 만들던 회사에서 내부 커뮤니케이션 메신저로 사용하던 솔루션이었다고 하죠. 게임은 망했지만 그들이 쓰던 솔루션은 이제 구글, MS가 견제하는 세계 최고의 서비스가 됐습니다. 슬랙이 성공한 3가지 비결과 함께 생산성 카테고리 내에 있는 눈여겨 봐야 할 회사들을 짚어 봅니다.



]]>
<![CDATA[LLM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눈으로 확인시켜 드립니다 - 티타임즈]]> /article/2023102017267766691 /article/2023102017267766691 Sun, 22 Oct 2023 07:00:02 +0900 홍재의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기업이 생성형AI를 도입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어떤 모델을 사용할 것이냐 일 것입니다. 그래서 직적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거쳐 오픈AI의 GPT,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 구글의 팜2, 앤트로픽의 클로드에게 업무를 지시해 봤습니다. 어떤 모델이 가장 훌륭하게 일을 해냈을까요? 눈으로 직접 비교 해보시죠.



]]>
<![CDATA[카카오의 다음은? - 티타임즈]]> /article/2023102017237781518 /article/2023102017237781518 Sat, 21 Oct 2023 07:00:01 +0900 홍재의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배재현 카카오 투자총괄대표가 구속수사를 받게 됐습니다. SM엔터테인먼트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시세를 조종한 혐의입니다. 재판 결과 시세 조종 혐의가 사실로 드러나게 된다면 카카오뱅크 운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하죠. 이뿐 아니라 카카오는 다음 포털 때문에 여론조작 의심을 받고 있구요, 각 회사의 리더들은 법인카드 남용, 제 식구 챙기기 등의 의혹을 받으며 리더십 리스크를 노출하고 있습니다. 흔들리는 카카오는 어떻게 될까요? 현 카카오의 상황에 대해 점검 해봅니다.



]]>
<![CDATA[전격 테스트!! 오픈AI, 구글, 네이버… 어느 AI가 최고일까? - 티타임즈]]> /article/2023101915427766997 /article/2023101915427766997 Thu, 19 Oct 2023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오픈AI, 네이버, 구글, 앤트로픽 등 다양한 생성형 AI가 출시되면서 이를 활용해 만든 앱 서비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LLM 앱을 모아 놓은 앱 마켓도 등장하고 있죠.

LLM앱의 성능과 소요비용을 좌지우지 하는 가장 큰 요소는 바로 어떤 LLM을 쓸 것이냐 일텐데요, 그래서 LLM 앱 마켓을 운영하는 올거나이즈의 이창수 대표와 전격 테스트를 진행해 봤습니다.

챗GPT와 하이퍼 클로바X, 팜2, 클로드 이 중 가장 좋은 LLM 모델은 무엇일까요?



]]>
<![CDATA[챗GPT는 손정의, 조니 아이브와 무얼 하려고 하나? - 티타임즈]]> /article/2023101617237736976 /article/2023101617237736976 Tue, 17 Oct 2023 17:30:02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챗GPT의 오픈AI와 손정의의 소프트뱅크, 아이폰을 디자인한 조니 아이브가 손을 잡았습니다. 이들은 무엇을 하려는 것일까요? IT전문가 강정수 박사의 설명을 들어보시죠.


“이제 하드웨어까지 고민하기 시작했다는 겁니다. 직접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싶다라는 거예요. 에어팟과 같은 이어폰을 만들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오픈AI가 에어팟을 만들면 어떻게 될까요? 동시 통역이 가능해지는 겁니다. 여행 가서 자유자재로 대화가 가능해요.”


“메타도 선글라스에 메타AI를 연결시켰습니다. 이제부터는 다양한 기기에 AI를 어떻게 연결시킬 것인가라는 경쟁에 들어갈 겁니다. 어떤 AI가 성능이 좋으냐 이런 경쟁은 물밑 경쟁으로 완전히 들어갈 겁니다. 이제 인터페이스 경쟁입니다. 테크 퍼스트가 아니라 커스터머 퍼스트의 경쟁입니다.”



]]>
<![CDATA[“내 말, 영어로 통역해줘~” 챗GPT와 메타AI가 이제 이런 것까지 돼? - 티타임즈]]> /article/2023101615267759111 /article/2023101615267759111 Mon, 16 Oct 2023 17:39:55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여러분은 챗GPT와 메타AI의 멀티모달이 어디까지 진화했는지 아시나요? 멀티모달은 읽기, 쓰기뿐 아니라 보기, 듣기, 말하기까지 다 된다는 것입니다.


이미 챗GPT는 애플의 시리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입니다. GPT4를 쓰신다면 “너가 이 영어 유튜브 듣고 한국말로 얘기해줘”라고 해보십시오. 혹은 “내가 지금 한국어로 얘기하는 것을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로 바꿔서 말해줘”라고 해보십시오.


IT전문가인 강정수 박사는 멀티모달을 장착한 챗GPT는 멀티모달의 메신저 서비스로 진화하는 수순을 밟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메타는 또 어떤가요? 최근 레이벤과 만든 스마트글래스는 내가 보고 있는 것을 함께 보면서 AI와 대화할 수 있습니다. “수도가 고장 났는데 보여? 어떻게 고치면 되지?” 여행을 갔다면 “내가 지금 보고 있는 게 뭐야? 설명 좀 해줘” 이런 것들이 모두 가능합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이모티콘도 생성해 DM으로 상대에게 전달할 수도 있습니다.


챗GPT가 멀티모달이 되는 메신저가 되고, 메타AI가 무료로 이모티콘을 마음대로 생성할 수 있게 한다면 카카오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요?



]]>
<![CDATA[노인들 운동관리 해주는 청년들의 스타트업 '노리케어' - 티타임즈]]> /article/2023101311087725160 /article/2023101311087725160 Sun, 15 Oct 2023 07:00:02 +0900 장민주 PD


"노인들에게 맞는 PT와 영양 관리는 따로 있습니다. 그래서 청년들이 뭉쳤습니다."


젊은 운동지도사, 영양관리사들이 노인들만 포커싱해서 만든 스타트업이 있습니다. 바로 리브라이블리(Live-Lively). 사명 그대로 노년을 살 맛 나게 해주겠다는 미션입니다.


노인들에게 특화된 맞춤형 PT와 영양관리까지 해줍니다. 복지관이나 데이케어센터를 통하면 노인들은 무료로 배울 수 있고, 집에서 프라이빗한 개인 맞춤형 PT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리브라이블리 지창대 대표로부터 '노리케어' 서비스를 들어보시죠

]]>
<![CDATA[하마스의 이스라엘 도발 배경에는 빈살만이 있다 - 티타임즈]]> /article/2023101318117728699 /article/2023101318117728699 Sat, 14 Oct 2023 07:00:01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구단비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하마스는 어차피 싸워도 안될 텐데 왜 이스라엘을 도발했을까요?


사우디 빈살만 왕세자의 최근 행보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현재 사우디와 이스라엘 사이에 국교정상화가 논의 중이고 이를 바이든이 중재하고 있습니다. 내년 대선의 업적으로 삼겠다는 것이죠. 바이든은 이를 위해 빈살만에게 미국과의 방위협약, 핵기술 제공 등을 대가로 제시하고 있죠.


문제는 하마스 같은 강경세력입니다. 아랍에 평화가 오면 입지가 줄어들 수밖에 없으니 마지막 승부수를 던진 게 아니냐는 것이죠. 전쟁으로 판을 키우면 전 아랍이 단결할 가능성이 높으니까요.


국세시사‧문예지 파도(PADO)의 김동규 편집장과 김수빈 에디터와 함께 전쟁의 배경, 그리고 겉으로는 인상 좋아 보이는 빈살만이 실제로는 어떤 인물인지 살펴봅니다.

]]>
<![CDATA[다시 보자 메타버스, 블록체인! 그러면 코인 가격은? - 티타임즈]]> /article/2023101217377771404 /article/2023101217377771404 Thu, 12 Oct 2023 18:00:38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초거대 언어모델(LLM) 덕분에 메타버스, 블록체인을 다시 봐야 합니다.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메타버스에 LLM이 접목된 생태계가 도래하는 것이죠. 코인도 다시 봄이 오나고요? ...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어요.”


“1세대 스마트 스피커가 멍텅구리였잖아요. 이걸 극복하게 해주는 게 초거대언어모델(LLM)이에요. 로봇에도, 세탁기와 냉장고에도 LLM이 적용되는 것이죠. 스마트홈 시장이 부활하는 겁니다. 꿈꿨던 IoT의 미래가 구현되는 것이죠.”


테크 트렌드를 빼고 내년 트렌드를 논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그 어떤 트렌드도 테크 트렌드의 중력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그래서 티타임즈가 준비한 ‘김지현의 2024 IT트렌드 강좌 – LLM이 모든 것을 집어삼킨다’. 오늘은 테크라이터 김지현님으로부터 강좌에 어떤 내용을 담았는지 들어보는 두 번째 시간.


☞ 기업차원 구매문의

ttimes6000@gmail.com / (02)724-7718 (강좌 소개자료를 보내드립니다)


☞ 개인 수강

http://ttimes.liveklass.com/

]]>
<![CDATA[애플, 메타, 삼성, LG… 스마트폰 이후 최대의 하드웨어 경쟁이 온다 - 티타임즈]]> /article/2023101217127716922 /article/2023101217127716922 Thu, 12 Oct 2023 17:31:04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테크 트렌드를 빼고 내년 트렌드를 논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그 어떤 트렌드도 테크 트렌드의 중력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그래서 티타임즈가 준비한 ‘김지현의 2024 IT트렌드 강좌 – LLM이 모든 것을 집어삼킨다’. 오늘은 테크라이터 김지현님으로부터 강좌에 어떤 내용을 담았는지 들어봅니다.


“2024년에는 스마트폰 이후 최대의 하드웨어 경쟁이 벌어질 거예요. 초거대언어모델(LLM)이 결합되는 디바이스죠. 대표적으로 MR(혼합현실) 디바이스입니다. 애플이 ‘비전프로’로 참전했고 삼성전자, LG전자도 참전했죠. 소니도 당연히 시장에 들어올 거고요.”


“우리가 기술을 볼 때는 점, 선, 면으로 봐야 합니다. 개별적인 점들이(기술들이), 상호 연결되어서 어떻게 선을 만드는지, 면은 결국 기업 입장에서 비즈니스 모델입니다. 이 모든 연결의 중심에는 LLM이 있습니다. 2024년은 메타버스, IoT, 스마트홈, 스마트카, 로봇 등 모든 기술이 LLM을 중심으로 연결되는 원년이 될 겁니다.”


☞ 기업차원 구매문의

ttimes6000@gmail.com / (02)724-7718 (강좌 소개자료를 보내드립니다)

☞ 개인 수강

http://ttimes.liveklass.com/



]]>
<![CDATA[창업자랑 싸우고 시키는 일 안하고 실패해도 되는 회사 '라이엇' - 티타임즈]]> /article/2023101116467771047 /article/2023101116467771047 Wed, 11 Oct 2023 17:41:09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라이엇 게임즈가 지난해 리그오브레전드(LoL) 10주년 기념 이벤트를 성대하게 열었죠. 이 이벤트를 준비하는데만 2년의 시간이 걸렸고, 마크 메릴 창업자는 이벤트의 PM(프로젝트 매니저) 역할까지 맡았다고 합니다. 이벤트 하나 준비하는데 왜 이렇게 오랜 시간이 걸렸을까요? 왜 굳이 창업자가 PM까지 도맡아야 했을까요?

그건 관련된 모든 직원들을 하나하나 찾아가 설득하는 작업이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업무에 더해 추가적인 업무를 해야 되는 직원들에게 '이 이벤트가 왜 필요하고'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이해시키지 못하면 직원들이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죠. 라이엇 게임즈는 이런 조직이라고 합니다. 플레이어(고객)를 최선으로 두고 행동하되 이것이 정말 궁극적인 '플레이어 포커스'인지 모두가 동의해야 하는 조직 말이죠.




]]>
<![CDATA[우크라이나, 데이터센터 파괴돼도 멀쩡히 돌아가는 이유는 - 티타임즈]]> /article/2023101017327782212 /article/2023101017327782212 Tue, 10 Oct 2023 17:32:27 +0900 김인순 기자, 이석진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2009년 디도스 공격을 막아낸 주역인 당시 안랩 CEO 김홍선 SC제일은행 행장으로부터 듣는 해킹 이야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정부의 데이터 센터를 크루즈 미사일로 완전히 파괴시켰지만 우크라이나의 시스템은 제대로 돌아가고 있어요. 그 이유는 바로 ~ ”


“해킹의 주체가 외로운 해커일 거라고 생각하는데 이제는 국가지원 해킹 그룹입니다. 스케일이 다르죠. 제일 유명한 곳이 북한, 이란, 러시아, 중국 4강입니다. 요즘 가장 중요한 공격 트렌드는 바로 ~ “


“세상에는 두 종류의 기업이 있습니다. 해킹을 당한 기업과 해킹 당한 걸 모르는 기업. 사이버보안은 ‘경영’입니다.”

]]>
<![CDATA[하루종일 CNN 틀어놓는다? ‘많이’가 아니라 ‘제대로’ 들어야죠 - 티타임즈]]> /article/2023100616047748584 /article/2023100616047748584 Mon, 9 Oct 2023 07:00:02 +0900 홍재의 기자, 구단비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언어는요.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중에 무조건 리스닝부터 하는 거예요. 리스닝할 때는 많이 듣는 게 중요한 게 아니예요. 제대로 들어야해요. 설거지할 때도 CNN 틀어놓는다? 그렇게 자꾸 들으면 귀가 열린다? 이건 굉장히 잘못된 얘기예요. 개 짖는 소리를 오래 들으면 이해가 된다는 말과 비슷한 거예요.”


"인생을 마라톤이라고 하는 이유는 구간 성적이 의미가 없기 때문이죠. 영어 공부도 그런 것 같아요. 끝이 없는 거죠. 저는 지난주에도 영어를 배웠어요. 제가 꼭 드리고 싶은 말은 영어도 중간 성적은 의미가 없다. 그러니까 옛날에 토익이 몇점이었다가 아무 소용 없다는 거죠."


이제 제대로 영어공부를 해보시죠. 호두랩스 김민우 대표와 영어를 제대로 공부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
<![CDATA[골치아픈 공장관리 해결하는 디지털공장장 ‘공장장닷컴’ - 티타임즈]]> /article/2023100518147799071 /article/2023100518147799071 Sun, 8 Oct 2023 07:00:02 +0900 장민주 PD


전국에 산업단지가 1240개, 공장이 72만채입니다. 그런데 공장도 주택처럼 임대가 많습니다. 그래서 전기요금, 관리비 관리 등 골치아픈 일이 많죠. 이런 문제를 자동화 솔루션으로 해결한 회사가 있습니다.

바로 공장장닷컴. 임대인(공장주)에게는 임대료와 관리비를 장부로 정리해주고 소방안전, 전기안전 등 외주계약 관리와 더 좋은 업체 물색도 가능하게 해줍니다. 임차인(입주공장)에게는 전기 사용패턴을 기반으로 수백만~수천만원에 달하는 전기요금을 AI로 예측해주니 돈도 아낄 수 있습니다.

임대인에게는 편리함, 임차인에게는 투명성과 예측가능성을 제공해주는 공장장닷컴을 소개합니다.


]]>
<![CDATA[죽음의 계곡에 빠진 메타버스, 부활할 일만 남았다? - 티타임즈]]> /article/2023100618587776794 /article/2023100618587776794 Sat, 7 Oct 2023 07:00:01 +0900 홍재의 기자, 박수형 디자인기자

최근 컴투스의 메타버스 자회사 컴투버스의 구조조정 소식이 들려왔죠, 컴투버스 서비스가 출시되자마자 벌어진 일이라 업계의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동시에 메타는 '메타 커넥트 2023' 행사를 열고 퀘스트3를 공개했는데요, 얼마전 애플이 발표한 비전 프로와 정면 승부를 벌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 죽은 줄 알았던 메타버스인데 빅테크부터 국내 기업까지 아직 많은 회사들이 메타버스에 손을 놓지 않고 있구요, 가상 아이돌 '이세계 아이돌'과 '플레이브'는 상상 못할 인기를 누리고 있죠. 대체 메타버스의 미래는 어떻게 되는 것일까요?




]]>
<![CDATA[국산화율 90%, 중국의 반도체 자립 시나리오 - 티타임즈]]> /article/2023100515407765894 /article/2023100515407765894 Thu, 5 Oct 2023 17:30:02 +0900 이재원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얼마 전 발표된 중국의 대표 스마트폰 제조사 화웨이의 새 스마트폰 '메이트 60 프로'가 테크업계에 충격을 줬습니다. 메이트 60 프로에 탑제된 프로세서 '기린9000s' 칩이 7나노미터 공정으로 제조됐기 때문이죠. 그것도 중국의 파운드리 기업 SMIC를 통해서입니다.


2019년 미국의 반도체 제재 이후 14나노미터 이하로는 가지 못했던 중국의 파운드리 기술력이 어느덧 10나노미터에 도달한 셈인데요. 정말 미국의 제재가 실패한 것인지, 그리고 제재 이후 꾸준히 제기돼온 중국의 반도체 자립 시나리오가 현실화 한 것인지를 짚어봅니다.

]]>
<![CDATA[[황성현 몰아보기] 심리적 안전감이 구성원들을 춤추게 한다 - 티타임즈]]> /article/2023092717387795340 /article/2023092717387795340 Tue, 3 Oct 2023 07:00:02 +0900 홍재의 기자, 구단비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여러분은 구성원 각자가 용기를 가지고 새로운 시도에 나서는 진취적인 조직이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바로 심리적 안전감입니다. 내가 다른 의견을 말해도 불이익이나 비난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 내가 아이디어를 내면 ’그래 한번 해보자. 안 되면 할 수 없지‘라며 조직이 지지해줄 거라는 믿음입니다.


티타임즈가 황성현 퀀텀인사이트 대표의 ‘심리적 안전감’ 강의 3편을 한데 묶었습니다. ① 잘 될 거라는 생각, 어려울 거라는 생각~ 황금비율은 2.9대 1 ② ‘네가 뭘 안다고?“ ”그럼 네가 해봐“ 이런 조직이 가망 없는 이유 ③ 리더는 힘든 때일수록 ’나만 고생해‘ 희생증후군 버려라


]]>
<![CDATA[[구본권 몰아보기] AI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능력 ’메타인지‘ - 티타임즈]]> /article/2023092715537727607 /article/2023092715537727607 Mon, 2 Oct 2023 07:00:02 +0900 최재홍 교수, 이석진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주위에 성공한 사람들을 한번 둘러보십시오. 비결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가장 성실했기 때문에? 운이 좋아서? 능력이 있으니까? 틀린 말은 아니지만 살다보면 그렇게 성실하지 않고 운이 있는 것도 아니고 능력이 출중한 것도 아닌데 성공한 사람들도 많습니다.


오히려 ’자신을 가장 잘 활용한 사람‘들이 성공한 경우가 많습니다. 자신을 가장 잘 활용하는 것, 즉 자신의 강점, 한계와 가장 관계를 잘 맺은 사람들이라는 것이죠.


티타임즈가 구본권 한겨레신문 사람과디지털연구소장의 ‘메타인지’ 강의 3편을 묶었습니다. ① 내 한계를 알아야 나를 가장 잘 활용할 수 있다 ② 성공을 결정하는 가장 큰 변수는 호기심이다 ③ 멍청한 인간들이 결론을 내고 싶어한다.


]]>
<![CDATA[[2023 반도체 이슈 총정리] 꼭 알아야 할 반도체 시장 지각변동 - 티타임즈]]> /article/2023092717387796319 /article/2023092717387796319 Sun, 1 Oct 2023 07:00:02 +0900 이재원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류지인 디자인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2023년에도 반도체 전쟁은 이어지고 있습니다. 반도체를 설계하는 단계부터 제조하는 단계까지 많은 기업들이 경쟁을 하고 있는데요. 이제 전 세계 주요 국가들이 전략 자원으로 접근하면서 반도체 산업을 바라보는 셈법은 더욱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생성 AI 시대를 맞아 반도체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까지 확장하는 엔비디아의 비전부터, 패권을 놓고 벌이는 한국, 대만, 미국의 파운드리 전쟁, 그리고 미국의 지원을 등에 업은 일본의 참전, AI 반도체 시장을 좌지우지하는 메모리 반도체 이야기까지 살펴봅니다.

]]>
<![CDATA[고금리에 장사 없다. 부동산시장 더 위축될 것 - 티타임즈]]> /article/2023092718127720342 /article/2023092718127720342 Sat, 30 Sep 2023 07:30:01 +0900 배문성 이사, 최형균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연준이 점도표 금리를 계속 올리지 않습니까? 아직도 연준은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거죠. 추월하지 못하고 뒷북만 치는 거죠. 금리에 장사 없습니다. 고금리가 두고두고 경제를 압박할 겁니다.” (안근모 대표)


“사람들의 예상과 달리 금리가 올라버리고, 더 오래 고금리가 지속된다면 하반기 주택 수요도 줄 것입니다. 부동산 시장은 용기 있게 지르기보다 그냥 관망하는 쪽으로 접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배문성 이사)


미국을 지탱하던 초과저축이 줄고, 미국의 역대급 재정적자로 국채금리도 상승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부동산 시장에는 직격탄입니다. 앞으로 주택 시장은 어떻게 될까요?



]]>
<![CDATA[미국 역대급 재정적자로 악성의 중립금리 상승이 온다 - 티타임즈]]> /article/2023092718067760790 /article/2023092718067760790 Sat, 30 Sep 2023 07:00:02 +0900 배문성 이사, 최형균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최근 미 연준이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문제는 점도표였습니다. 연내 추가 인상뿐 아니라 장기간의 고금리도 예고했습니다. 무엇보다 시장이 경악했던 것은 중립금리 자체가 상승했다는 연준의 인식입니다. 인플레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잠재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는 금리수준이 높아졌다는 것이죠.


중립금리가 잠재성장률 상승으로 인해서라면 환영할 만하지만 문제는 미국의 역대급 재정적자 때문이라는 것이죠. 정부의 역대급 차입이 구조적인 것이라면 장기금리가 상승할 수밖에 없죠. 경제가 고금리에 노출되는 시간도 더 길어질 수밖에 없게 됩니다.

]]>
<![CDATA[[박웅현 몰아보기] 아이디어가 흐르는 창의적인 팀을 만들려면 - 티타임즈]]> /article/2023092717287728785 /article/2023092717287728785 Thu, 28 Sep 2023 07:00:02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여러분은 구성원 각자가 용기를 가지고 새로운 시도에 나서는 진취적인 조직이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바로 심리적 안전감입니다. 내가 다른 의견을 말해도 불이익이나 비난을 받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 내가 아이디어를 내면 ’그래 한번 해보자. 안 되면 할 수 없지‘라며 조직이 지지해줄 거라는 믿음입니다.

티타임즈가 황성현 퀀텀인사이트 대표의 ‘심리적 안전감’ 강의 3편을 한데 묶었습니다. ① 잘 될 거라는 생각, 어려울 거라는 생각~ 황금비율은 2.9대 1 ② ‘네가 뭘 안다고?“ ”그럼 네가 해봐“ 이런 조직이 가망 없는 이유 ③ 리더는 힘든 때일수록 ’나만 고생해‘ 희생증후군 버려라




]]>
<![CDATA[훌륭한 인재를 뽑으려면 다른 회사 인재도 관리해야 한다 - 티타임즈]]> /article/2023092616477725029 /article/2023092616477725029 Tue, 26 Sep 2023 17:30:01 +0900 윤종영 교수, 최형균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우리가 원하는 인재는 우리한테 먼저 오지 않습니다. 채용정보를 여러 사이트에 올려놓고 ‘자~ 인재분들, 와주세요’라고 한다면 절대 오지 않을 겁니다. 우리가 원하는 인재는 어떤 사람들인지, 어디에 있는지를 먼저 파악한 다음 ‘아웃바운드의 채용’에 나서야 합니다. 설령 다른 회사에 있더라도 들어오기 전부터 관리를 해야 하는 것이죠.”


우버 아시아와 클라우드키친 아시아에서 채용을 총괄했던 앤드류 김 파인드 대표로부터 어떻게 인재를 채용해야 할지 ‘아웃바운드 채용’ 전략에 대해 들어봤습니다.

]]>
<![CDATA[AI챗봇에 밀고당기기 납품협상 맡겨버린 월마트 - 티타임즈]]> /article/2023092516587789902 /article/2023092516587789902 Mon, 25 Sep 2023 17:30:01 +0900 배소진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생성AI를 어떻게 활용할지 많은 기업이 고민인데요. 월마트 사례를 소개합니다.


예를 들어 월마트의 납품업체가 10만여개인데 협상을 AI챗봇에 맡겨버리는 실험입니다. AI챗봇이 가격협상을 하는 것입니다. 소매가에 미칠 영향, 다른 납품업체와의 조건을 분석해 밀고당기기를 하는 것이죠. 납품가격을 올려주지 않는 대신 챗봇이 계약기간을 길게 해주기도 합니다. 납품업체의 75%가 사람보다 AI와 협상하는 게 더 낫다고 합니다.


고객 개인화에도 생성AI를 활용한다고 합니다. 각 고객의 구매이력을 학습한 챗봇은 고객의 한두 마디에 알아서 주문을 해주거나, 대화의 맥락을 파악해 맞춤형으로 새로운 물건을 추천해 주는 것이죠.

]]>
<![CDATA[미 국방부가 중국의 대만침공 워게임 돌려봤더니 결과는? (파도 김동규 편집장 & 김수빈 에디터) - 티타임즈]]> /article/2023092212287754421 /article/2023092212287754421 Sun, 24 Sep 2023 07:00:01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이석진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미중갈등이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는 곳 중의 하나가 바로 대만입니다. 과연 중국은 대만을 침공할까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것처럼 그럴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만일 중국이 대만을 침공하면 승산이 있을까요? 미국과 중국이 전면전을 벌인다면 그 결과는 어떻게 될까요? 국세시사‧문예지 파도(PADO)의 김동규 편집장과 김수빈 에디터와 함께 미국, 중국, 대만 등의 군사력 등 종합적으로 전쟁 가능성을 짚어봅니다.


]]>
<![CDATA[미국이 멱살을 잡으면 구글은 쪼개진다? - 티타임즈]]> /article/2023092217547776114 /article/2023092217547776114 Sat, 23 Sep 2023 07:00:02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미국 정부와 구글 사이의 반독점 소송이 시작 됐습니다. 최악의 경우 구글이 여러 개로 쪼개질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는데요, 과거 비슷한 사례에서는 어떤 결론이 났는지 알아보고 이같은 소송이 국내에 미칠 영향까지도 알아봅니다. 아울러 망사용료, 규제 샌드박스, 플랫폼 규제 등 국내 IT 업계의 발목을 잡고 있는 3가지 규제가 반드시 없어져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들어봅니다.



]]>
<![CDATA[생성AI 규제? 이렇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 티타임즈]]> /article/2023092117137776025 /article/2023092117137776025 Thu, 21 Sep 2023 17:38:01 +0900 홍재의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안심하고 그 서비스를 활용하거나 제품을 써야만 생성 AI 시장이 열립니다. 안정성 있는 기술을 확보하는 것이 AI 시장에서 앞서나갈 수 있는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

챗GPT 등장 이후 AI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인간의 통제 범위를 넘어선 AI가 등장하기 전에 규제해야 된다는 의견도 많죠. 이를 위해 국제표준기구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등이 발빠르게 표준 정립에 나서고 있습니다. 안전한 AI를 개발하기 위한 규제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이재호 시립대 인공지능학과 교수가 알려드립니다.




]]>
<![CDATA[미국판 컬리? 배민B마트? 15조원 인스타카트의 비결 - 티타임즈]]> /article/2023092017507792646 /article/2023092017507792646 Wed, 20 Sep 2023 20:00:02 +0900 배소진 기자, 류지인 디자인기자


고객을 대신해 마트를 돌며 장을 봐주는 미국의 식료품 배달업체 인스타카트가 19일(현지시간) 나스닥에 데뷔했습니다. 상장 첫날 12%(장중 한때 43%) 상승하면서 시총 112억달러(15조원)를 기록했습니다.


물류창고와 배송트럭이 필요없고 재고도 없기 때문에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인데다 최근 리테일광고(매출의 28%)와 커머스 솔루션 판매로 수익모델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위험요인도 적지 않습니다.


인스타카트가 어떻게 돈을 벌고 있고, 벌려고 하는지, 위험요인은 무엇인지 분석합니다.



]]>
<![CDATA[생성AI도 꼰대AI가 가르쳐야 신뢰성이 확보된다 (이재호 서울시립대 교수) - 티타임즈]]> /article/2023091918237785447 /article/2023091918237785447 Tue, 19 Sep 2023 18:23:11 +0900 홍재의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지금의 AI가 위험한 것은 데이터 기반이기 때문입니다. 수많은 데이터를 넣어 결과를 생성하는 귀납적인 모델이기 때문입니다. 왜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설명이 안되는 것이죠.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연역적 방식인 전통적 AI 방법론을 이용해야 합니다.”

한마디로 AI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꼰대 AI’의 방법론, 즉 연역적 원칙을 가진 AI가 생성형AI에서 피드백을 주고 감시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미 국내에서도 AI의 안전한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표준을 만들고 있습니다. 국제기구에서 AI 신뢰성 표준을 만들고 있는 프로젝터 리더이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가이드라인' 제정을 주도한 이재호 시립대 인공지능학과 교수로부터 안전한 AI 개발을 위한 조건이 무엇인지 들어봅니다.



]]>
<![CDATA[“영어 잘하고 싶으세요? 00은 중요하지 않아요” - 티타임즈]]> /article/2023091816187710111 /article/2023091816187710111 Mon, 18 Sep 2023 17:30:02 +0900 구단비 기자, 홍재의 기자, 박수형 디자인기자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난히 북미발음에 집착해요. ‘R’과 ‘L’, ‘P’와 ‘F’, ‘B’와 ‘V’ 발음에 대한 집착이 있어서 발음이 유창하면 영어를 잘한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전세계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사람 중에 67%는 북미 발음을 쓰지 않아요. 인도식, 동남아식 영어 등 엄청 많거든요. 발음과 유창성이 집착하는 것은 골프로 치면 드라이버에만 집착하는 거랑 비슷한 거예요."


"우리나라 사람들은 내가 모른다고 티내는 것을 병적으로 싫어하세요. 그런데 미국에서 일하다 보면 이런 표현을 굉장히 많이 써요. Are we on the same page? 우리 지금 같은 페이지를 보고 같이 이야기하는 것 맞지? 혹은, Are we clear~? 중간중간에 확인하고 가는 거죠. 또, let me rephrase~. 네가 한 말을 내가 다시 해볼게, 혹은 Correct me if I’m wrong~. 내가 잘못 말하면 고쳐줘, 이런 표현 말이죠. 분명히 내가 설명했는데 나중에 또 물어보면 굉장히 실례인 거예요. 이해도 못했으면서 왜 가만히 있었어? 지금 나랑 일하겠다는 거야 말겠다는 거야? 이런 거죠"


호두랩스 김민우 대표로부터 정말 영어를 잘한다는 무엇인지 들어보시죠.

]]>
<![CDATA[고객설문조사 스트레스 확 줄여준다 (파프리카데이터랩 김유빈 공동대표) - 티타임즈]]> /article/2023091514457730894 /article/2023091514457730894 Sun, 17 Sep 2023 07:00:02 +0900 장민주 PD


고객 설문조사를 할 때 가장 번거로운 것이 주관식 답변 분석하는 것과 이전의 설문조사와 연결해 분석하는 것일 겁니다. 이 문제를 해결한 스타트업 파프리카데이터랩을 소개합니다.

이 회사의 생산성도구 ‘왈라’는 생성형 AI를 통해 주관식 답변도 카테고리별로 분류하고,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도 분석해 준다고 합니다. 이전의 다른 설문조사와 교차분석도 해주죠.

금보다 귀한 가치를 가진 파프리카의 씨앗처럼 설문조사의 데이터를 기업들이 귀하게 저장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해주겠다는 김유빈 공동창업자를 만나보시죠.


]]>
<![CDATA[‘코스트코보다 더하다’ 최강마트 알디의 저가 비결 - 티타임즈]]> /article/2023091518197728134 /article/2023091518197728134 Sat, 16 Sep 2023 07:00:02 +0900 이재원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독일의 슈퍼마켓 ‘알디’는 ‘듣도 보도 못한 물건만 판다’던 서민 마트였습니다. 그랬던 알디가 최근 미국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마트로 선정되는 등 인기 폭발입니다. 더욱이 주차장에서 포르쉐와 벤츠를 찾는 게 어렵지 않을 정도로 부자들도 줄서서 입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인플레 때문인 것도 있지만 ‘품질 좋은 물건’을 워낙 압도적으로 싼 가격에 팔고 있기 때문이죠. 알디는 어떻게 이렇게 싼 가격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한마디로 코스트코의 극한 버전입니다.

]]>
<![CDATA[스노우플레이크는 어떻게 마케팅해서 72조원 회사가 됐나? (스노우플레이크 CMO 데니스 퍼슨) - 티타임즈]]> /article/2023091514317787862 /article/2023091514317787862 Fri, 15 Sep 2023 17:30:02 +0900 김인순 기자, 이석진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데이터 관리가 기업의 최대 과제가 되면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회사가 있습니다.


바로 스노우플레이크입니다. 여기저기 흩어진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한 곳에 모으고 처리하고 분석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입니다. 2020년 상장해 시총이 72조원(540억달러)에 달하는 글로벌 기업입니다.


이곳 데니스 퍼슨 최고마케팅 책임자(CMO)로부터 B2B 마케팅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들어봅니다.


]]>
<![CDATA[손님의 X까지 치웠던 알바 85개월, 하늘 보며 엉엉 울었다 - 티타임즈]]> /article/2023091416387786233 /article/2023091416387786233 Thu, 14 Sep 2023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장민주 PD

티타임즈가 곧 사회로 나올 Z세대의 솔직담백한 토크 행사에 다녀왔습니다. 광고대행사 TBWA의 ‘망치’입니다. “망치면 어때? 그래 망치자!”라고 할 때의 망치입니다.


‘모든 인생은 제대로 쓰이기만 한다면 한 권의 소설감이다’라고 한다죠. 요즘 Z는 어떤 생각, 어떤 고민을 하고 사는지 쏟아내는 서사에 한번 감정이입을 해보시죠.


알바 85개월을 하며 손님들의 X까지 치워야 했던 21살, 늘 남을 배려해야 한다는 강박 때문에 불안장애 속에서 살아야 했던 20살 청년들의 이야기입니다.


“세상은 권선징악이 통하지 않더라”는 이들은 어떻게 힘든 현실을 이겨내고 있을까요?

]]>
<![CDATA[왜? 빅테크부터 스타트업까지 SaaS에 뛰어드나? - 티타임즈]]> /article/2023091316527749687 /article/2023091316527749687 Wed, 13 Sep 2023 17:32:07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소프트웨어 회사라고 불리던 대부분 회사가 SaaS(사스) 회사가 되고 있는데요, 글로벌 SaaS 시장은 2030년 스마트폰 시장의 2배가 넘는 170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합니다. 회사가 돌아가려면 무조건 사스를 사용해야 할 것이라는데요 이미 미국 대부분의 회사가 평균 30여개 사스 제품을 이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사스 시장이 왜 유망한지 알아봅니다.



]]>
<![CDATA[“이직은 가장 잘나갈 때 하는 겁니다” (전 우버 아시아 채용총괄 앤드류 김) - 티타임즈]]> /article/2023091217327771196 /article/2023091217327771196 Tue, 12 Sep 2023 17:33:09 +0900 윤종영 교수, 최형균 기자, 박선희 디자이너

“가장 이직하기 좋을 때는 내가 제일 잘 나갈 때입니다. 그때가 내가 가장 많은 얘기를 가고 싶은 회사에 자신 있게 해줄 수가 있어요. 내가 필요 없을 때 내 얘기를 듣고 싶어 하는 사람들은 별로 없거든요.”


“가고 싶은 회사들을 리스트업을 해서 먼저 연락해 나를 알려야 합니다. 다음 직장은 어디로 가지? 라는 생각으로 만나는 게 아니라 꾸준히 커리어 파이프라인을 만들어 가는 거죠. 이런 이야기들을 꾸준히 했던 분들은 나중에 너무 쉽게 들어가는 거죠.”


우버 아시아와 클라우드키친 아시아에서 채용을 총괄했던 앤드류 김 파인드 대표로부터 내가 가고 싶은 회사로 옮기는 비결을 들어봤습니다.

]]>
<![CDATA[“성공은 무한게임, 커뮤니티 자본에 달렸다” (전정환 전 센터장) - 티타임즈]]> /article/2023091116337728965 /article/2023091116337728965 Mon, 11 Sep 2023 17:30:01 +0900 최재홍 교수, 구단비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고 하는데 타인이 땅을 사도록 그들을 돕고 사촌을 맺는 사람이 진정한 커뮤니티 자본의 소유자입니다. 어떤 식으로든 나에게 돌아오기 때문이죠.”


“성공은 유한게임이 아니고 무한게임이고 장기적입니다. 정해진 기간 안에서 1등을 하느냐 꼴찌를 하느냐, 이기냐 지느냐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죠. 경제적 자유를 얻어서 은퇴했어, 이러면 유한게임입니다. 이때부터는 놀고먹어야죠. 하지만 저는 지속적으로 재미있는 일을 하면서 돈도 적절하게 벌고 싶어요. 그러면 가장 중요한 것이 커뮤니티 자본입니다.”


경제적 자본보다 커뮤니티 자본이 더 중요하다고 말하는 전정환 전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장의 이야기를 들어보시죠.


]]>
<![CDATA[엔비디아와 인텔이 줄서서 기다리는 반도체, HBM - 티타임즈]]> /article/2023090919397712743 /article/2023090919397712743 Sun, 10 Sep 2023 07:00:02 +0900 이재원 기자, 류지인 디자인기자


최근 엔비디아와 인텔, 그리고 AMD가 새로운 제품을 내놓을 때마다 강조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HBM 탑재이죠. 이는 컴퓨터 연산을 위해 꼭 필요한 메모리 반도체의 일종인데요. 연산용 반도체를 만드는 회사들이 이를 경쟁적으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HBM은 어떤 메모리 반도체인지, 어떤 장점이 있는지, 그리고 어떤 회사들이 이를 주도하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
<![CDATA[네이버AI 클로바X, 네이버는 돈 벌 수 있을까? - 티타임즈]]> /article/2023090816277713401 /article/2023090816277713401 Sat, 9 Sep 2023 07:00:02 +0900 홍재의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네이버의 '클로바X' 써보셨나요?

챗GPT, 바드와 비교했을 때 어떠신가요?

곧 검색 AI인 큐(CUE):도 출시한다고 하는데요

과연 네이버는 AI 전환으로 돈을 벌 수 있을까요?


네이버는 한편으로는 클로바X, 큐 등 AI에 엄청난 투자를 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B2B로 돈을 벌겠다는 전략입니다. 클라우드 기반으로 기업이 LLM과 자체 AI서비스를 만들 수 있게 하겠다는 것이죠. 과연 네이버AI는 오픈AI와 구글, 국내에서는 KT 등과의 경쟁에서 승산이 있을까요?


]]>
<![CDATA[1분 숏폼영상 크리에이터, 한 달에 얼마나 버나요? (김가현 뉴즈 대표) - 티타임즈]]> /article/2023090716257722164 /article/2023090716257722164 Thu, 7 Sep 2023 17:30:02 +0900 김인순 기자, 구단비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그리고 틱톡까지. 1분 이내 숏폼 영상의 춘추전국시대입니다. 그런데 숏폼 크리에이터들은 과연 얼마나 벌까요? 여전히 기회가 있을까요?


숏폼 크리에이터들의 MCN인 뉴즈의 김가현 대표는 ”부업으로 하다 본업이 된 크리에이터, 월 2000만~3000만원씩 수익을 올리는 크리에이터들도 있다“고 합니다. 숏폼 크리에이터로 성공할 수 있는 비결은 무엇일까요?

]]>
<![CDATA[자가진화하는 AI 곧 나온다, 언제? (카이스트 장동인, 황성주 교수) - 티타임즈]]> /article/2023090518047756062 /article/2023090518047756062 Tue, 5 Sep 2023 18:04:13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오는 13일 국내외 AI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제 6회 ‘AI Summit Seoul’이 열립니다. 서밋에서 발표할 황성주, 장동인 카이스트 교수를 미리 모시고 ‘자가진화하는 AI’에 대해 집중적으로 들어봤습니다.

지금은 AI를 설계하고, 학습시키는 과정에서 사람의 손이 엄청나게 들어갑니다. “AI라고 쓰고 개고생이라고 읽는다”라고 할 정도라고 합니다. 인공지능이 인공지능을 만들 수는 없을까요? 인공지능이 스스로 업데이트하며 진화할 수 없을까요? 사람이라는 베이비시터 없이 혼자 성장할 순 없을까요?

세계적 인공지능 석학 중 한명인 황성주 교수는 “몇 년 지나지 않아 가능할 것이다. 인공지능이 인간을 완전히 능가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합니다.



]]>
<![CDATA[머신러닝으로 돈버는 3가지 방법 (30년 개발자 박종천) - 티타임즈]]> /article/2023090413537789934 /article/2023090413537789934 Mon, 4 Sep 2023 17:30:02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B2B는 사용자가 원하는 게 아니라 필요한 것을 만들어야 합니다. 둘의 차이는 돈을 내느냐, 안내느냐 이죠. 필요하면 돈을 냅니다. 사용자의 목소리를 믿을 게 아니라 사용자의 돈을 믿어야 하는 것이죠. 비타민이 아니라 결정적인 순간에 돈을 낼 수밖에 없는 진통제를 팔아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


30년 개발자 박종천님의 사스(SaaS) 강의 2편입니다. B2B 사스는 어떻게 돈을 벌 수 있을까요? 특히 운영에 엄청난 돈이 드는 머신러닝 기반의 사스는 어떻게 돈 벌 수 있을까요? 3가지 방법을 소개합니다.



]]>
<![CDATA[이 회사가 믿을 만한 여행동반자를 연결해주는 비결 - 티타임즈]]> /article/2023090113237768429 /article/2023090113237768429 Sun, 3 Sep 2023 07:00:01 +0900 장민주 PD


여행은 즐겁지만 준비는 난해합니다. AI를 기반으로 여행계획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트립메이트’. 현지에서 만나 함께 여행할 동반자도 연결해 준다고 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사람으로 말이죠.

그런데 이 회사가 전기차충전 서비스를 하다 여행서비스로 피봇한 과정이 드라마틱합니다. “피봇을 두려워 말라”는 체인라이트닝 장성수 대표의 얘기를 들어보시죠.

]]>
<![CDATA[AI패자에서 AI승자로 돌아온 어도비 - 티타임즈]]> /article/2023090117087789190 /article/2023090117087789190 Sat, 2 Sep 2023 07:00:02 +0900 배소진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한 발 늦은 줄 알았던 어도비의 생성 AI '파이어플라이'가 뜨거운 반응입니다.

실제업무에 도움되는 기능과 저작권 문제를 깔끔하게 해결하면서 디자이너, 영상편집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죠. 월가에서도 어도비가 "AI패자에서 AI승자로 빠르게 이동했다"며 어도비를 ‘숨겨진 AI 수혜주’로 꼽고 있습니다. 경제적 해자를 가진 기업이 생성 AI 기술로 얼마나 더 강력해질 수 있는지 어도비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
<![CDATA[나의 커뮤니티는 어떻게 자본이 되는가? - 티타임즈]]> /article/2023083118007734661 /article/2023083118007734661 Thu, 31 Aug 2023 18:00:55 +0900 최재홍 교수, 구단비 기자, 박수형 디자인기자



“삶의 가장 중요한 기술이 커뮤니티와 관계 맺기입니다. 그 사람의 커뮤니티를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어요. 커뮤니티도 일종의 근력이라고 생각하면 이를 꾸준히 쌓아나가야 나이 들어도 새로운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게 멈춰버리면 갑자기 (삶이) 무너질 수 있습니다.”


“우리는 노후를 위해 경제적 자본을 쌓고 있습니다. 복리로 불려야 한다고 하죠. 그런데 커뮤니티와 같은 비경제적 자본 없이 과연 우리가 행복할 수 있을까요? 커뮤니티 자본도 분산투자하고 복리로 키워나가야 하지 않을까요?”


“제주도가 로컬 크리에이터의 성지가 된 것도 지역차원의 커뮤니티 자본 때문입니다. 제주도민들은 60여년전부터 감귤산업을 일구고, 야자수를 심으며 환경자본을 만들었습니다. 그러다 대도시에 답답해하던 분들이 내려오면서 인적자본이 보태졌죠. 제주도 특유의 텃세, 그러니까 ‘괸당문화’ 때문에 양쪽의 갈등도 있었지만 융합이 되면서 커뮤니티 자본을 만들 수 있었던 것입니다.”


제주에서 7년간 창업생태계를 일군 전정환 전 제주창조혁신센터장은 왜 개인도, 지역도 “커뮤니티가 자본”이라고 하는 것일까요?

]]>
<![CDATA[일본은 초거대AI 못 만들잖아요. 왜 그런지 아세요? (네이버 하정우 센터장) - 티타임즈]]> /article/2023082916277740158 /article/2023082916277740158 Tue, 29 Aug 2023 17:30:02 +0900 홍재의 기자, 이석진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초거대AI를 프리트레이닝 등 기반부터 완전히 스스로 만들 수 있는 기업‧국가와 그냥 공개되어 있는 모델을 파인튜닝하거나 활용하는 기업‧국가로 나뉘게 될 겁니다. 앞으로 AI경쟁은 국가대항전입니다.”


“네이버의 초거대AI는 20년동안 검색엔진을 지켜오면서 만들어온 플랫폼 덕분에 양질의 데이터를 쌓아놓았기 때문에 가능했던 거에요. 일본은 지금 못 만들고 있잖아요. 그건 데이터가 없어서 그런 겁니다. 그래서 플랫폼이 만악의 근원이 아니라 혁신을 만들 수 있는 원동력이 되기도 하는 것이죠.”


세계에서 세 번째로 초거대AI를 만들어낸 네이버의 하정우 센터장은 한국의 초거대AI 경쟁력이 세계 2~3위라고 말합니다. 이를 수성하기 위해서는 초거대AI 생태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
<![CDATA[인간본성을 알아야 조직내 갈등을 해결할 수 있다! 기업을 위한 공감마인드셋 강좌 출시 - 티타임즈]]> /article/2023082816207786336 /article/2023082816207786336 Mon, 28 Aug 2023 17:00:02 +0900 박준영 크로스IMC/대표, 강채은 디자인기자

왜 시키는 일만 하지?

왜 회사밖의 일에 더 열심이지?

왜 메신저만 하고 말을 안 섞으려 하지?


기업의 리더와 구성원들이 가장 많이 토로하는 조직내 갈등의 사례들입니다. 이런 갈등들은 결국 인간본성을 이해해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티타임즈가 기업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진화심리학자 장대익과 브랜드 컨설턴트 박준영의 ‘인간본성에 기반한 공감마인드셋 프로젝트’ 강좌 시리즈. 9가지 대표적인 조직내 갈등을 심리학과 인지과학의 인간본성에 대한 통찰로 그 실체를 밝히고 풀어봅니다.


수많은 기업이 일하는 방식 혁신을 위해 구글의 OKR, 아마존의 워킹백워드, 호칭과 직급 파괴 등을 도입해 왔습니다. 하지만 일하는 방법론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바로 ‘나는 어떤 구성원이고 싶은가, 동료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싶은가’라는 공감마인드셋입니다.


※기업 구매문의 : ttimes6000@gmail.com / (02)724-7718 (강좌 소개자료를 보내드립니다)

※개인 수강은 https://ttimes.liveklass.com/

]]>
<![CDATA[미국은 어쩌다 좀비마약, 펜타닐의 나라가 됐나? (PADO × TTIMES) - 티타임즈]]> /article/2023082516077771751 /article/2023082516077771751 Sun, 27 Aug 2023 07:00:02 +0900 김동규 파도/편집장, 김수빈 파도/에디터, 구단비 기자, 강채은 디자인기자

지금 미국에서는 1년에 7만명 이상이 ‘좀비 마약’ ‘합성 마약’으로 불리는 펜타닐로 죽어가고 있습니다. 바이든 행정부의 최대 골칫거리 가운데 하나입니다.

미국은 어쩌다 이 지경이 됐을까요?


미국이 ‘진통제의 천국’이라는 것에서 힌트를 찾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미국의 슈퍼마켓에 가면 한 면 전체가 진통제입니다. ‘통증에 대한 관점’이 유럽이나 한국과는 다르죠. ‘통증은 찾아내서 박멸을 해야 할 대상’이라는 것이죠. 그러다보니 더 약물 중독에 노출이 되기 쉬운 것 같습니다.


문제는 한국도 펜타닐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대두하고 있다는 것이죠.

]]>
<![CDATA[타다, 뱅크, 모바일, 증권… 토스는 이게 다 감당이 되나? - 티타임즈]]> /article/2023082517187757327 /article/2023082517187757327 Sat, 26 Aug 2023 07:00:02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디자이너

최근 타다와 더스윙의 '타다' 매각 협상이 결렬됐습니다. 지난 4월 첫 소식이 전해지고 최근에는 실사까지 이뤄졌던 사안이라 매각 무산의 책임이 어느쪽에 있는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도 큰데요, 그 와중에 토스뱅크는 첫 월간 흑자를 기록했다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올 한해만 해도 직원 해고 논란, 토스 모바일 개통 시작, 토스뱅크 투자 유치 시도, 각종 신사업 진출 등 엄청난 소식이 끊이지 않고 들려오는데요, 지난해 IPO 연기까지 더한다면 예측이 힘들 정도로 급변하는 상황을 컨트롤하는 게 신기할 정도입니다. 현재 토스는 어떤 상황인지, 향후 어떤 미래를 꿈꾸는지에 대해 진단해 봅니다.

]]>
<![CDATA[“AI주권 필요하다. 그런데 오픈AI에 말라죽으나, 네이버에 말라죽으나” (박태웅 의장) - 티타임즈]]> /article/2023082418277718107 /article/2023082418277718107 Thu, 24 Aug 2023 18:27:55 +0900 홍재의 기자, 이석진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AI주권이란 말은 일리가 있습니다. 그런데 동시에 생각해봐야 할 게 있습니다. 그렇기 않아도 거대 포털의 독과점이 강한데 그립이 센 몇 개 회사들을 더 밀어주면 국내 생태계가 말라죽는 걸 피할 수 없지 않느냐? ‘오픈AI에 말라죽으나, 네이버에 말라죽으나 똑같은 건데’라는 말을 할 수가 있어요.”


IT계의 구루 박태웅 한빛미디어 의장의 지적입니다. 한국어 데이터에 담긴 한국의 문화, 관습, 역사가 영어권의 거대한 데이터셋에 휩쓸려 실종되는 것을 막는다는 측면에서 AI주권은 필요하지만, 일부 국내 초거대AI 회사만 집중 지원할 경우 국내 AI 생태계, 소프트웨어 생태계에 왜곡이 올 수 있다는 것이죠.


]]>
<![CDATA[챗GPT, 바드에 맞설 네이버 AI의 그림은 이겁니다 (하정우 네이버 센터장) - 티타임즈]]> /article/2023082316477747284 /article/2023082316477747284 Wed, 23 Aug 2023 20:00:02 +0900 홍재의 기자, 황정현 디자인기자


“초거대AI 전쟁은 이제 국가대항전으로 흘러가고 있습니다. 생태계 전쟁입니다.”

오픈AI의 챗GPT, 구글의 바드에 맞서는 국내 대표주자 네이버.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센터장은 “초거대AI와 각종 서비스를 연결하는 생태계 조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오픈AI도 한편으로는 API를 통해 챗GPT 생태계를 밖으로 확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플러그인을 통해 생태계를 안으로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네이버 역시 클로바X에 수많이 앱들을 연동해 새로운 비즈니스가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합니다. 네이버의 대화형 AI서비스 클로바X는 어떤 모습일지, 어떤 생태계를 만들려고 하는지 하 센터장에게 들어보시죠.



]]>
<![CDATA[왜 돈이 죄다 사스로 몰리나 - 티타임즈]]> /article/2023082215347736112 /article/2023082215347736112 Tue, 22 Aug 2023 17:30:01 +0900 홍재의 기자, 최형균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요즘은 뭐든지 사스(SaaS)화 되고 있습니다. 급여, 채용, 인사, 개발, 검증, 테스트, 데이터 관리, 로깅, 리포팅 모든 게 사스인 시대입니다. 기업은 사람 뽑는 대신 후선업무를 사스로 돌립니다.


그래서 돈도 사스로 몰리고 있습니다.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유니콘 목록을 봐도 대부분이 사스회사입니다. 우리가 투자해서 돈 벌 수 있는 기회도 사스에 있는 것이죠.


30년 개발자 박종천님의 주식강의 시즌2를 시작합니다. 시즌1에서 빅테크 8개 회사를 분석했다면, 시즌2에서는 가장 유망한 사스회사를 하나씩 집중 분석합니다.



]]>
<![CDATA[챗GPT가 도구(플러그인)를 사용하게 되자 벌어진 일 (박태웅 의장) - 티타임즈]]> /article/2023082117417777372 /article/2023082117417777372 Mon, 21 Aug 2023 17:45:37 +0900 홍재의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인류는 도구를 사용하게 되면서 비약적인 발전을 했죠. 인공지능도 마찬가지입니다. 최근 오픈AI가 베타 버전으로 챗GPT에 도구(플러그인)를 붙였는데요. 챗GPT를 엄청나게 위력적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인류는 문자와 책을 발명하면서 문명을 만들었습니다. 인공지능도 마찬가지입니다. 인공지능도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글이 아니라 책으로 공부하면서 성능이 엄청나게 높아지고 있다고 합니다.

박태웅 한및미디어 의장에게 챗GPT가 어떻게 더 똑똑해지고 있는지 들어봅니다.





]]>
<![CDATA[와비파커, 올버즈, 캐스퍼는 왜 끝도 없이 추락하고 있나? - 티타임즈]]> /article/2023081818027757470 /article/2023081818027757470 Sun, 20 Aug 2023 07:00:02 +0900 이재원 기자, 박의정 디자인기자


유통업계의 '파괴적 혁신'으로 주목받은 D2C 모델이 위기입니다. D2C 트렌드를 대표하던 와비파커, 올버즈, 캐스퍼 모두 주가가 폭락하며 끝도 없이 추락하고 있는데요. 그 이유를 3가지로 분석합니다. 낮은 진입장벽, 기업의 본질적 경쟁력의 부족, 그리고 늘어나는 광고비용입니다.

]]>
<![CDATA[아마존고가 도둑을 귀신 같이 잡아냈던 비결은 '사람의 모니터링' - 티타임즈]]> /article/2023081818537788121 /article/2023081818537788121 Sat, 19 Aug 2023 07:00:01 +0900 홍재의 기자, 강기훈 디자인기자

아마존이 자신의 미래기술을 집약해 야심차게 추진하던 '아마존 고' '아마존 프레시' 등 무인매장을 줄이고 있는데요. 최근 시애틀 아마존 본사를 다녀온 국내 최고의 아마존 전문가 최재홍 교수와 함께 아마존고 철수설이 사실인지, 아마존의 무인매장 전략이 어떻게 수정되고 있는지 분석합니다.



]]>
<![CDATA['밤에 듣는 미술관' 샤타작가의 오프라인 강의를 엽니다 - 티타임즈]]> /article/2023081716117719952 /article/2023081716117719952 Thu, 17 Aug 2023 19:30:02 +0900 장민주 PD



'밤에 듣는 미술관' 샤이니타이거 작가의 교양 현대미술 오프라인 강좌를 준비했습니다.

샤타 작가의 매혹적인 목소리로 앤디 워홀, 백남준, 데이비드 호크니, 곤잘레스 토레스, 무라카미 다카시 등 현대미술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작가, 떠오르는 작가들을 만나보십시오. 현대미술이 어려운 분, 현대미술을 알고 싶은 분들 모두 초대합니다.


날짜 : 9월 17일/24일 (전체 2회) : 14시~17시

장소 : 서울 강남구 봉은사로 516 B1층 (언커먼 갤러리)

신청 : https://ttimes.liveklass.com/classes/158893



]]>
<![CDATA[리더는 힘든 때일수록 ‘나만 고생해’ 희생증후군 버려야 (황성현 대표) - 티타임즈]]> /article/2023081618097778128 /article/2023081618097778128 Wed, 16 Aug 2023 18:09:17 +0900 홍재의 기자, 박선희 디자인기자

“리더들은 힘든 시기일수록 ‘희생증후군(sacrifice syndrome)’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나만 희생해, 나만 고생해’라는 생각을 끊어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구성원들을 비난하게 되고 강압적이게 되고 자신의 심리적 안전감도 바닥으로 떨어집니다. 조직내 불안감이 확산되죠.”

“윗세대는 자신의 상태가 ‘성인모드’인지 늘 점검해야 합니다. 구성원들은 ‘가족 같은 회사는 없어’, ‘재미없고 마음에 안들면 떠날거야’라며 회사를 계약관계로 생각하는데 윗세대는 ‘넌 내 사람이야’, ‘네가 가족 같이 생각돼서’라는 ‘부모모드’라면 갈등이 일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조직내 세대갈등은 어떻게 해결되어야 하는지, 스타트업 리더들은 어려운 시기를 어떻게 헤쳐나가야 하는지 황성현 퀀텀인사이트 대표로부터 들어봅니다.



]]>
<![CDATA[최근 챗GPT가 멍청해진 이유는 (박태웅 한빛미디어 의장) - 티타임즈]]> /article/2023081416187790660 /article/2023081416187790660 Tue, 15 Aug 2023 07:00:02 +0900 홍재의 기자, 이대경 디자인기자

‘AI 강의’ 책을 출간한 박태웅 한빛미디어 의장과 최근 AI 이슈를 점검합니다.

-최근 GPT-4의 응답 품질이 떨어졌다는 논란이 많은데 품질 저하의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요?

-MS오피스에 GPT-4를 장착해 테스트중인 MS 직원들이 그 성능 때문에 너무 피곤해한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금의 GPT 모델로 인간을 뛰어넘는 AGI(일반인공지능)가 가능할까요?

-인공지능에 인간의 몸을 입히려는 일론 머스크의 시도가 왜 더 파괴적일까요?

-샘 알트만, 하사비스, 제프리 힌튼 등이 윤리적 AI 개발을 위해 힘을 합쳤는데 그 배경은 무엇일까요?



]]>